2023/10/18
길 잃은 페미니즘 : "'우리'의 영역을 불허한다."
숙명여대 트랜스젠더 여성 A씨의 입학을 두고 거센 찬반 입장이 오가는 것을 보면서 뼈아픈 상실감을 느꼈다. 가부장제의 권력 카르텔을 해체하겠다고 목소리 높이던 자매들이 페미니즘을 앞세워 또 다른 약자를 배격하는 모습이 기이했기 때문이다. 숙명여대에 입학 허가를 받은 A씨는 지난해 8월 태국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법적으로 성별 정정을 마친 상태였다. 그럼에도 재학생들은 A씨의 존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반대 이유는 단 한 가지였다. 트랜스젠더 여성은 여성이 될 수 없다는, 그 확고한 믿음이 A씨를 추방시킨 것이다.
그들의 태도는 페미니즘이 화합으로 가는 유일한 길이라는 생각을 산산조각 냈다. 생물학적 여성만을 '우리'의 영역에 포함시키겠다는 선언은 정상/비정상, 이성/감정이라는 이분법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가부장제의 프레임을 조금도 탈피하지 못했으며, 기존의 권력체제를 그대로 수용했다. 자매들의 일그러진 신념 앞에서 권력에 도전하고 경계 밖에서 성찰하는 페미니즘의 본위는 지워졌다.
결국 심적 부담감을 이기지 못한 트랜스젠더 여성 A씨가 입학을 포기하면서 소동은 일단락되었지만, 사건의 여파는 나를 집요하게 붙들었다. 퀴어를 배제한 페미니즘 운동은 '양성애자 시스젠더 여성'이라고 정체화한 내게도 큰 상처로 남았기 때문이다. 다양성과 차이를 힘으로 삼는 페미니즘이 집단의 결속을 강화시키는 무기로 탈바꿈한 이유는 무엇일까? 트랜스젠더 여성이 생물학적 여성을 위협할 것이라는 두려움은 어디에서 기인했을까? 나는 이 물음에 '수치심'이라는 양가적 감정으로 대답해보려고 한다.
낙인찍기 : 익명의 대자보와 황색 언론, 네티즌
'수치심'이란 일반적으로 자신의 치부가 드러났을 때 부끄러움을 느끼...
@신승아 더는 혐오로 인해서 한 사람도 잃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이 고인의 죽음 앞에 당당할수 있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악담 보라색, 하늘색 좋아해서 써봤는데 노란색이 최고입니다!!
@송시무스 그 확고한 믿음이 나치의 인종 청소를 가능케 했고, 흑인 노예 제도를 법적으로 허용했고, 여성 차별을 공고화했죠. 과거의 역사가 명백한 가르침을 주고 있는데, 21세기에 너무도 당연하게 혐오라는 무기를 내세워 또 다른 소수자를 배격하고 있으니 속에서 천불이 납니다.
예전에 어느 시사 프로그램에서 고 변희수 하사 님과 인터뷰하신 분의 증언이 떠오릅니다. 군대 얘기가 나오면 얼굴에 화색이 돌고 너무 즐거워했다고, 천생 군인이었다고 하셨어요. 그런데 성 정체성 하나로 자신의 꿈이 좌절되자 깊이 절망하셨대요...
이제 더는 한 사람도 잃어서는 안 된다는 마음으로 이 문제를 바라봐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제2, 제3의 변희수 님이 나올지도 모르니까요..
어맛 ! 승아 님도 노란생연필로 밑줄을 긋는군요 ?
어떤 확고한 믿음은 때때로 끔찍한 일을 정당화하게 만드는
동력이 된다는 말을 들은적이 있었습니다. 그 확고한 믿음이
누군가한테 끔찍한 칼날이 된다면 그 믿음을 버려야 하는데
버리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 상당히 슬프고 화가 납니다.
이 글을 보니 고인이 된 변희수 하사님이 떠오릅니다. 분명 그 분도 꿈이 있었고 자랑스러운 군인이 되고 싶다는 믿음이 있었지만 그 꿈이 사그라져 고인이 된 분의 이야기 말이죠.
페미니즘이라는 이름으로 군대를 전역했다는 이유로 가지면 안 되는 열등감을 남한테 퍼붙을 권리는 없다는 것을 알기를. 그러지 않으면 결국 그 특권의식으로 퍼붙은 열등감은 자신한테 돌아간다는 것을 그들이 알기를 바랍니다.
@신승아 더는 혐오로 인해서 한 사람도 잃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이 고인의 죽음 앞에 당당할수 있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송시무스 그 확고한 믿음이 나치의 인종 청소를 가능케 했고, 흑인 노예 제도를 법적으로 허용했고, 여성 차별을 공고화했죠. 과거의 역사가 명백한 가르침을 주고 있는데, 21세기에 너무도 당연하게 혐오라는 무기를 내세워 또 다른 소수자를 배격하고 있으니 속에서 천불이 납니다.
예전에 어느 시사 프로그램에서 고 변희수 하사 님과 인터뷰하신 분의 증언이 떠오릅니다. 군대 얘기가 나오면 얼굴에 화색이 돌고 너무 즐거워했다고, 천생 군인이었다고 하셨어요. 그런데 성 정체성 하나로 자신의 꿈이 좌절되자 깊이 절망하셨대요...
이제 더는 한 사람도 잃어서는 안 된다는 마음으로 이 문제를 바라봐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제2, 제3의 변희수 님이 나올지도 모르니까요..
어맛 ! 승아 님도 노란생연필로 밑줄을 긋는군요 ?
어떤 확고한 믿음은 때때로 끔찍한 일을 정당화하게 만드는
동력이 된다는 말을 들은적이 있었습니다. 그 확고한 믿음이
누군가한테 끔찍한 칼날이 된다면 그 믿음을 버려야 하는데
버리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 상당히 슬프고 화가 납니다.
이 글을 보니 고인이 된 변희수 하사님이 떠오릅니다. 분명 그 분도 꿈이 있었고 자랑스러운 군인이 되고 싶다는 믿음이 있었지만 그 꿈이 사그라져 고인이 된 분의 이야기 말이죠.
페미니즘이라는 이름으로 군대를 전역했다는 이유로 가지면 안 되는 열등감을 남한테 퍼붙을 권리는 없다는 것을 알기를. 그러지 않으면 결국 그 특권의식으로 퍼붙은 열등감은 자신한테 돌아간다는 것을 그들이 알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