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히 짓껄여봄] 영화를 한 번만 보신다는 어떤 평론가님의 오만과 그것이 가능한 사회에 관하여
2024/07/20
우리나라 유튜브업계에서 가장 유명한 영화 평론가는 이동진 씨다. 이동진 씨의 평론은 어느 정도는 신뢰할 만하다. 여기서 어느 정도라고 말한 건, 그저 들어줄만 하고, 어느 정도 참고점을 알려준다는 의미이다. 왜냐하면 그는 서사의 본질에 대하여 전혀 모르는, 그저 문화 해설사, 혹은 베테랑 기자 정도의 감각을 가지고 있다고 할만 하다.
그의 평론을 듣다 보면, 이것이 서사에 관한 평론인지, 아니면 그냥 남의 나라에 있는 어떤 역사적 사건에 대한 해설인지 모르겠다는 느낌이 든다.
우리가 서사를 즐기는 이유는 원체험을 원해서이다. 내가 체험하지 않은 걸 체험함으로써, 내게 주는 어떤 깨달음을 느껴보기 위해서다. 즉, 우리가 서사를 통해 원하는 것은 최종적인 지혜다. 그러나 이동진 씨의 평론은 그냥 사건의 구성 요소를 관찰하였으며, 그것을 보도해드린다는 기자적인 느낌이 강하다. 아, 맞다. 그는 원래 기자였지.
그렇다면, 우리가 지혜를 원체험을 통해 얻기 위해서 필요한 감각은 무엇인가? 바로 감정이다. 사람의 마음, 감정. 서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주인공이 A->B로 가는 어떤 체험을 하며 변화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체험을 느끼는 도중 느끼는 어떤 감정이다. 서사를 구성하는 사람의 대다수는 그 감정을 바로 나의 어떤 것에 대한 죽음에 관하여 써내는 것이다. 왜 어떤 것에 대한 죽음을 사람들이 서사에서 다루느냐? 그건 서사를 창작해보려고 고뇌하는 한 사람의 입장에서 이야기해드릴 수 있다. 아무리 잘 읽어내는 사람도 주인공의 어떤 부분에 대한 죽음으로 이야기를 풀지 않으면, 못 알아 먹는다. 솔직히 말해보세요. 언제 남의 일에 관심이 그렇게 많습니까?
뭘 먹어야 잘 먹었다고 소문날까?라고 말하는 친구들에게 늘 말해주는 말이 있다. 뭘 잘못 먹어야 소문이 난다고. 식중독에 의한 입원, 혹은 급사, 이 정도 되야 소문이 난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은 전혀 남의 일에 별로 관심이 없다. 내가 대화를 하고 난 후에, 대화를 복기해보고 난 다음에 느끼는 건, 나는 남이 전달...
그의 평론을 듣다 보면, 이것이 서사에 관한 평론인지, 아니면 그냥 남의 나라에 있는 어떤 역사적 사건에 대한 해설인지 모르겠다는 느낌이 든다.
우리가 서사를 즐기는 이유는 원체험을 원해서이다. 내가 체험하지 않은 걸 체험함으로써, 내게 주는 어떤 깨달음을 느껴보기 위해서다. 즉, 우리가 서사를 통해 원하는 것은 최종적인 지혜다. 그러나 이동진 씨의 평론은 그냥 사건의 구성 요소를 관찰하였으며, 그것을 보도해드린다는 기자적인 느낌이 강하다. 아, 맞다. 그는 원래 기자였지.
그렇다면, 우리가 지혜를 원체험을 통해 얻기 위해서 필요한 감각은 무엇인가? 바로 감정이다. 사람의 마음, 감정. 서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주인공이 A->B로 가는 어떤 체험을 하며 변화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체험을 느끼는 도중 느끼는 어떤 감정이다. 서사를 구성하는 사람의 대다수는 그 감정을 바로 나의 어떤 것에 대한 죽음에 관하여 써내는 것이다. 왜 어떤 것에 대한 죽음을 사람들이 서사에서 다루느냐? 그건 서사를 창작해보려고 고뇌하는 한 사람의 입장에서 이야기해드릴 수 있다. 아무리 잘 읽어내는 사람도 주인공의 어떤 부분에 대한 죽음으로 이야기를 풀지 않으면, 못 알아 먹는다. 솔직히 말해보세요. 언제 남의 일에 관심이 그렇게 많습니까?
뭘 먹어야 잘 먹었다고 소문날까?라고 말하는 친구들에게 늘 말해주는 말이 있다. 뭘 잘못 먹어야 소문이 난다고. 식중독에 의한 입원, 혹은 급사, 이 정도 되야 소문이 난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은 전혀 남의 일에 별로 관심이 없다. 내가 대화를 하고 난 후에, 대화를 복기해보고 난 다음에 느끼는 건, 나는 남이 전달...
@악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우와!!!! 대박!!!! 비판의 장인!!!!!
@서형우 저도 언제 기회가 된다면 이 책 다시 읽고 한번 대차게 비판 글 하나 쓸까 생각하고 책장 뒤지는데... 이 책이 왜 안 보이나요 ? 이거 문학사상인가 하는 책 디자인 더럽게 하는 출판사에서 나온 책인데 안 보이네요. 쩝... ㅎㅎㅎㅎ 아, 시발.. 찾았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언제가 될진 모르겠으나 함 다시 읽어봐야겠아요. 내용이 가물가물.
하여튼 전 이 책 읽으면서 내내 갸우뚱거렸습니다.
이 사람 주장은 사람 살기 좋은 환경의 땅에 살면 사람들이 많이 모이고, 사람이 많이 모이면 문화가 형성되고, 문화가 형성되면 체계적인 기술 발전이 이루어진다. 사람이 많다 보니 똑똑한 사람도 상대적으로 많아서 발명가도 더 많다. 그래서 유라시아가 세계를 정복했다. 다시 말하자면 인구수가 많을수록 발명가도 많다.
그렇다면 중국은 왜 축구를 못하죠 ???????????????????????
@악담 헉!!!! 극렬한 공감이 느껴집니다!!!! 우와!!! 이 책 읽히고 대학원생들에게 비판해주기를 바라는 모습을 약간을 내비친 제 서울대 대학원 때 이론사 강의 전담교수보다, 훨씬 잘 까고 확실하게 까시네요!!!! 그러니까 서울대 망국론 이야기 나오지!!!!
@서형우 아 !!!!! 이동진이 총균쇠를 가장 좋아한다고요 ? 와우, 언빌리버블하네요. ㅋㅋㅋㅋㅋㅋ 개인적으로 저는 이 책이 서울대생이 가장 많이 본 책 1위에 뽑혔을 때, 저는 이렇게 말했습죠. 이래서 서울대망국론이 나온다고.
이 책은 정말 문제가 많은 책이에요. 논리적 비약과 모순이 너무 심했으니까요. 하도 오래 전에 읽은 책이라 여기서 자세히 설명은 못하겠습니다만. 이 책은 논리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정말 말도 안 되는 책이거든요. 기억을 더듬업자면..
다이암몬드는 문명의 결정적 요소는 환경으로 위도가 바슷한 좌우로... 유라시아가 문명의 승자가 되었다고 주장하잖아요. 철 생산으로 총을 만들 수 있었고 유럽의 무기술이 결국은 세계를 지배했다고. 그런데 유라시아 하면 중국도 포함하지 않나요 ? 왜 중국은 총이 발달하지 않은거죠 ????
이책에서 또하나의 논리모순은 스페인과 잉카의 차이를 설명할 때였는데
잉카와 스페인의 차이는 스페인은 배를 만들었고 잉카는 배를 만드는 기술이 없었다.
스페인은 어덯게 배를 만들었냐. 중앙집권제도 때문에 국가적으로 배를 생산할 수 있었다. 그렇다ㅕㄴ 잉카는 왜 망했냐. 강력한 중앙집권제도 때문이다. 아니 시발... 한쪽은 중앙집권 때문에 성공했다고 말하고 다른 한쪽은 중앙집권 땜에 망했다고 말하고. 이게 무슨 얼어죽을 명저입니까. 이거 사이비 과학책이에요.
@악담 정확히는 한 번만 본다고 선언하신 게 아니라, 영화를 몇 번 보시냐는 유튜브 진행자의 질문에 한 번만 보고, 그걸 복기하는 경우가 더 많다고 약간은 폼잡으며 말했습죠. ㅋ. 마치 영화를 2회독 3회독 하는 사람들이 초짜라도 되는 것처럼. ㅋ.
저는 갈등의 구도만큼이나 갈등을 추동하는 어떤 감정들과 그것의 내밀한 원인을 살피는 걸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그의 평론에는 그런 건 전혀 안중에도 없습니다. 당연하죠. 영화를 한 번 보고, 그것도 메모하면서 보면, 어떻게 그런 걸 살핍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렇게 하는 걸 고수의 감상법인양 하면서, 남의 나라 역사적 사건 배경 설명하듯이 영화의 갈등을 소개하는데. ㅋ. 그래도 다른 영화유튜버들보단 들어줄만한 평론을 하긴 하더군요. ㅋ. 참고할만한 지점은 있으니까. ㅋㅋㅋㅋ.
그는 어떻게 보면 영화계의 먼나라 이웃나라입니다. 진짜 깊이가 없이 넓게 파면 어떤 한계들이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랄까? 무슨 독서광인처럼 행세하지만, 최고로 꼽는 책이 총, 균, 쇠. 지표면의 80%를 차지하는 유라시아 대륙에서 지표면의 20%를 차지하는 아메리카 대륙보다 앞서서 많은 발명들이 일어난 어떤 것을 설명하기 위해 온갖 현란한 포장들을 해놓은 책. ㅋㅋㅋㅋ. 총, 균, 쇠는 오리엔탈리즘을 비판하는 척하는 글을 쓰지만, 실상은 따지고 보면 오리엔탈리즘이 극도로 발현되어 있는 글의 뽄세... 스페인의 남아메리카 정복에서 사실은 그들이 내분을 이용했기에 가능했던 걸 모두 총과 균과 쇠 탓을 하는 도입부로 사람들 이목만 확 잡는 도서 되시겠다.
이동진의 파이아키아는 유튜브판 먼나라 이웃나라입니다.
과잉해석 남발일 수도 있으나, 정작 깊게 파야 할 땐 하나도 깊이가 없는 해석을 하는 게 전 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장면이 왜 생겨났는지, 그는 생각이란 걸 하지 않고, 그것의 구도 속에서 무엇과 무엇을 연결시키기만 급급하죠.
이동진 유튜버가 영화는 한 번만 본다고 선언하셨다구요 ? ㅎㅎㅎㅎ 천재인가 보네요. 트릐포도 영화는 세 번 보아야 제대로 이해가 가능하다고 했는데.. 첫 번째는 순수한 영화적 쾌락으로써의 관람, 두 번째는 분석을 위한 관람.. 세 번째는 뭐더라.. 하여튼. 사실 1회 관람으로는 줄거리 따라가기도 쉽지 않습니다. 저는 처음에는 줄거리 위주로 보고, 두 번째는 미장센 위주로 보고, 세 번째는 다시 아무 생각 없이 다른 시각으로 들여다 봅니다. 전 이 동진 특유의 과잉 해석 남발에 대하여 심한 반감을 가지고 있는 1인입니다. 그의 해석의 과잉이 좀 중2병스럽다고나 할까. 이동진은 자신이 품은 열정보다 지나치게 과잉 대표되는 경향이 있죠. 그냥 지식 잡상인 같다고나 할까요. 이걸 마치 교주처럼 떠받드는 신도들이 그의 말만 듣고 영화를 평가하고 있으니 구토감이 들 뿐입니다.
@서형우 저도 언제 기회가 된다면 이 책 다시 읽고 한번 대차게 비판 글 하나 쓸까 생각하고 책장 뒤지는데... 이 책이 왜 안 보이나요 ? 이거 문학사상인가 하는 책 디자인 더럽게 하는 출판사에서 나온 책인데 안 보이네요. 쩝... ㅎㅎㅎㅎ 아, 시발.. 찾았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언제가 될진 모르겠으나 함 다시 읽어봐야겠아요. 내용이 가물가물.
하여튼 전 이 책 읽으면서 내내 갸우뚱거렸습니다.
이 사람 주장은 사람 살기 좋은 환경의 땅에 살면 사람들이 많이 모이고, 사람이 많이 모이면 문화가 형성되고, 문화가 형성되면 체계적인 기술 발전이 이루어진다. 사람이 많다 보니 똑똑한 사람도 상대적으로 많아서 발명가도 더 많다. 그래서 유라시아가 세계를 정복했다. 다시 말하자면 인구수가 많을수록 발명가도 많다.
그렇다면 중국은 왜 축구를 못하죠 ???????????????????????
@서형우 아 !!!!! 이동진이 총균쇠를 가장 좋아한다고요 ? 와우, 언빌리버블하네요. ㅋㅋㅋㅋㅋㅋ 개인적으로 저는 이 책이 서울대생이 가장 많이 본 책 1위에 뽑혔을 때, 저는 이렇게 말했습죠. 이래서 서울대망국론이 나온다고.
이 책은 정말 문제가 많은 책이에요. 논리적 비약과 모순이 너무 심했으니까요. 하도 오래 전에 읽은 책이라 여기서 자세히 설명은 못하겠습니다만. 이 책은 논리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정말 말도 안 되는 책이거든요. 기억을 더듬업자면..
다이암몬드는 문명의 결정적 요소는 환경으로 위도가 바슷한 좌우로... 유라시아가 문명의 승자가 되었다고 주장하잖아요. 철 생산으로 총을 만들 수 있었고 유럽의 무기술이 결국은 세계를 지배했다고. 그런데 유라시아 하면 중국도 포함하지 않나요 ? 왜 중국은 총이 발달하지 않은거죠 ????
이책에서 또하나의 논리모순은 스페인과 잉카의 차이를 설명할 때였는데
잉카와 스페인의 차이는 스페인은 배를 만들었고 잉카는 배를 만드는 기술이 없었다.
스페인은 어덯게 배를 만들었냐. 중앙집권제도 때문에 국가적으로 배를 생산할 수 있었다. 그렇다ㅕㄴ 잉카는 왜 망했냐. 강력한 중앙집권제도 때문이다. 아니 시발... 한쪽은 중앙집권 때문에 성공했다고 말하고 다른 한쪽은 중앙집권 땜에 망했다고 말하고. 이게 무슨 얼어죽을 명저입니까. 이거 사이비 과학책이에요.
이동진 유튜버가 영화는 한 번만 본다고 선언하셨다구요 ? ㅎㅎㅎㅎ 천재인가 보네요. 트릐포도 영화는 세 번 보아야 제대로 이해가 가능하다고 했는데.. 첫 번째는 순수한 영화적 쾌락으로써의 관람, 두 번째는 분석을 위한 관람.. 세 번째는 뭐더라.. 하여튼. 사실 1회 관람으로는 줄거리 따라가기도 쉽지 않습니다. 저는 처음에는 줄거리 위주로 보고, 두 번째는 미장센 위주로 보고, 세 번째는 다시 아무 생각 없이 다른 시각으로 들여다 봅니다. 전 이 동진 특유의 과잉 해석 남발에 대하여 심한 반감을 가지고 있는 1인입니다. 그의 해석의 과잉이 좀 중2병스럽다고나 할까. 이동진은 자신이 품은 열정보다 지나치게 과잉 대표되는 경향이 있죠. 그냥 지식 잡상인 같다고나 할까요. 이걸 마치 교주처럼 떠받드는 신도들이 그의 말만 듣고 영화를 평가하고 있으니 구토감이 들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