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뷰
지역에 산다는 것
"대학을 너무 많이 가니 직업교육을 늘리자?": (옛) 독일식 교육대안 비판
2023/01/26
앞서 지방대 교수들의 현실과, 지방대와 지방대생들이 가지고 있는 위상, 지방대생들의 성향과 노동시장에 관한 글을 각각 썼다.
요컨대 지방대 교수들은 나름대로 현장에서 분투하고 있고(만족스럽다는 것은 아니다), 지방대가 고등교육을 통해 과반수의 청년들을 교육하며, 지방대생들은 어리숙한 것이 아니라 노동시장의 상황이 그들을 주눅들게 만들 따름이다.
진보나 보수, 좌파나 우파 누구든 교육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손쉽게 지방대와 지방대생, 그리고 지방대에 있는 선생들에 대해 재단하는 경우가 많다. 그들이 바라보는 지방대는 대체로 교육이란 것이 가능하지 않은 공간이고, 지방대생은 어리숙한 주체다.
그 와중에 진심으로 이러한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충심으로 고언 하는 '낭만적인 지식인'들이 적지 않은 것 같다. 그들이 자주 언급하는 주장 하나에 대해서 논평을 해보려 한다.
"대학을 너무 많이 간다. 우리는 직업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들은 독일식 듀얼 시스템(김나지움과 직업학교 모델)을 도입해, 대다수 고등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청년들이 기술을 도제식으로 배워 생산직 노동자로 현장에 빠르게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사정 혹은 노사민정(지자체 포함) 합의를 만드는 것이 교육체제 개혁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강변한다. 최근에는 직무급 제도를 잘 활용하여 원하청 또는 정규직/비정규직간 임금 격차와 노동시장의 (분단된) 이중구조를 극복하자는 비전을 함께 제시한다. 연공성(근속 연수가 높아지면 임금이 오르되, 신입사원은 적게 받는) '상후하박' 구조를 깨자는 것이다.
생산직 아빠의 청춘은 계속 될 수 있을까?
그런데 1990년대, 특히 1995년 문민정부(김영삼 정권)에서의 '5・31 교육개혁'을 통해 대학설립 준칙주의가 도입되어 대학이 양산된지 30년의 시간이 흘렀다. 박정희 유신정권의 1973년 중화학공업화 과정에서 구축했던 기능인력 양성체제는 그 때 완전히 붕괴되었다. 사실 포항-울산-창원-거제-여수로 이어지는 남동임해공업지대의 '노동...
요컨대 지방대 교수들은 나름대로 현장에서 분투하고 있고(만족스럽다는 것은 아니다), 지방대가 고등교육을 통해 과반수의 청년들을 교육하며, 지방대생들은 어리숙한 것이 아니라 노동시장의 상황이 그들을 주눅들게 만들 따름이다.
진보나 보수, 좌파나 우파 누구든 교육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손쉽게 지방대와 지방대생, 그리고 지방대에 있는 선생들에 대해 재단하는 경우가 많다. 그들이 바라보는 지방대는 대체로 교육이란 것이 가능하지 않은 공간이고, 지방대생은 어리숙한 주체다.
그 와중에 진심으로 이러한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충심으로 고언 하는 '낭만적인 지식인'들이 적지 않은 것 같다. 그들이 자주 언급하는 주장 하나에 대해서 논평을 해보려 한다.
"대학을 너무 많이 간다. 우리는 직업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들은 독일식 듀얼 시스템(김나지움과 직업학교 모델)을 도입해, 대다수 고등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청년들이 기술을 도제식으로 배워 생산직 노동자로 현장에 빠르게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사정 혹은 노사민정(지자체 포함) 합의를 만드는 것이 교육체제 개혁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강변한다. 최근에는 직무급 제도를 잘 활용하여 원하청 또는 정규직/비정규직간 임금 격차와 노동시장의 (분단된) 이중구조를 극복하자는 비전을 함께 제시한다. 연공성(근속 연수가 높아지면 임금이 오르되, 신입사원은 적게 받는) '상후하박' 구조를 깨자는 것이다.
생산직 아빠의 청춘은 계속 될 수 있을까?
그런데 1990년대, 특히 1995년 문민정부(김영삼 정권)에서의 '5・31 교육개혁'을 통해 대학설립 준칙주의가 도입되어 대학이 양산된지 30년의 시간이 흘렀다. 박정희 유신정권의 1973년 중화학공업화 과정에서 구축했던 기능인력 양성체제는 그 때 완전히 붕괴되었다. 사실 포항-울산-창원-거제-여수로 이어지는 남동임해공업지대의 '노동...
전환기 엔지니어, 제조업, 지방을 키워드로 연구합니다.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오월의봄, 2019)를 썼고 한국사회학회 학술상과 한국출판문화상 교양부문을 수상했습니다. 2024년 <울산 디스토피아, 제조업 강국의 불안한 미래>(부키)를 펴냈습니다.
저희 아이들은 미국에서 프로젝트 기반 교육만을 커리큘럼으로 삼은 학교에 다닙니다. 학교 디자인의 기본 원칙 중 하나가 직업 교육이고, 양선생님 말씀대로 고등교육 진학쪽에 촛점을 둡니다. 지금은 은퇴하셨지만 저희 학교의 CEO였던 분이 기존의 직업 교육이 사회적 이동성을 제한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하셨고, 그래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죠.
이상하게 한국에서 직업 교육에 대한 인식은 30년전과 하나도 달라진 것이 하나도 없어 안타깝습니다. 이 문제가 비단 지방대에만 국한된 것일까요? 의대만 가면 다 해결될 문제일까요? 산업 현장과 학교 교육이 이렇게 분리된 채로 계속 간다면 이 문제는 영영 해결되지 않을텐데.. 걱정입니다.
Tertiary education이라고 쓰여 있어서 2+4년제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양 교수님, 저는 단지 독일 고등교육 진학률이 매우 높아져서... 그 통계가 말하는 고등교육이 어떤 것을 말하는지 궁금해서요. 별 거 아닙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고등교육 진학률 통계가 대개 2년제+4년제 해서 현재 70% 조금 못 미치는데 독일도 그런가 해서요..
@김두환 선생님, 독일은 독일 한국은 한국이요~ 독일의 직업교육도 고등교육 쪽에 최근 힘을 많이 주는데 한국에서 일정 부분 담론이 (구) 제도를 이상화하는 것 같아 써봤습니다.
양 교수님, 독일의 고등교육은 한국의 일반 4년제 대학을 의미하는 건가요?
막연하게 '독일식으로 가면 되겠네' 라고 생각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인사이트와 기본 지식의 측면에 대해서 좀 더 이야기를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독일식"으로의 접목, 도입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학 진학률이 급상승하는 90년대에는 의미가 있었을지도 모르겠지만요. 하지만 그때의 노동시장과 취업환경은 희망이 가시권에 있었으니 그런 논의가 제대로 작동 안했던 것 같네요.
저는 노동시장과 구조의 이중화와 양극화가 대학교육의 문제와 매우 단단하게 묶여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대학, 고등 교육의 문제는 단지 "교육"이라는 선비의 영역이 아닌 듯 합니다.
예전 IBM에 있을때 "컨택센터-콜센터"의 붐이 있었습니다. 그 때 순천지역 및 지역 대학들과 관련 커리큘럼과 학과를 개설하고 인력을 배출해 제1금융권의 컨택센터를 호남권에 유치한 일들이 기억이 납니다.
아카데믹한 연구는 대학원 이상에서 의미가 있다면, 학부는 어쩔 수 없이 사회에 나오는 인사이트와 기본 지식을 습득하는 방향이 바람직해 보이는데, 아직 학교들의 커리큘럼을 보면 기업이나 사회에서 요구하는 초소한의 qualified skill 과는 거리가 있어 보이네요.
매번 잘 읽고 있습니다.
저도 "독일식"으로의 접목, 도입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학 진학률이 급상승하는 90년대에는 의미가 있었을지도 모르겠지만요. 하지만 그때의 노동시장과 취업환경은 희망이 가시권에 있었으니 그런 논의가 제대로 작동 안했던 것 같네요.
저는 노동시장과 구조의 이중화와 양극화가 대학교육의 문제와 매우 단단하게 묶여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대학, 고등 교육의 문제는 단지 "교육"이라는 선비의 영역이 아닌 듯 합니다.
예전 IBM에 있을때 "컨택센터-콜센터"의 붐이 있었습니다. 그 때 순천지역 및 지역 대학들과 관련 커리큘럼과 학과를 개설하고 인력을 배출해 제1금융권의 컨택센터를 호남권에 유치한 일들이 기억이 납니다.
아카데믹한 연구는 대학원 이상에서 의미가 있다면, 학부는 어쩔 수 없이 사회에 나오는 인사이트와 기본 지식을 습득하는 방향이 바람직해 보이는데, 아직 학교들의 커리큘럼을 보면 기업이나 사회에서 요구하는 초소한의 qualified skill 과는 거리가 있어 보이네요.
매번 잘 읽고 있습니다.
저희 아이들은 미국에서 프로젝트 기반 교육만을 커리큘럼으로 삼은 학교에 다닙니다. 학교 디자인의 기본 원칙 중 하나가 직업 교육이고, 양선생님 말씀대로 고등교육 진학쪽에 촛점을 둡니다. 지금은 은퇴하셨지만 저희 학교의 CEO였던 분이 기존의 직업 교육이 사회적 이동성을 제한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하셨고, 그래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죠.
이상하게 한국에서 직업 교육에 대한 인식은 30년전과 하나도 달라진 것이 하나도 없어 안타깝습니다. 이 문제가 비단 지방대에만 국한된 것일까요? 의대만 가면 다 해결될 문제일까요? 산업 현장과 학교 교육이 이렇게 분리된 채로 계속 간다면 이 문제는 영영 해결되지 않을텐데.. 걱정입니다.
양 교수님, 저는 단지 독일 고등교육 진학률이 매우 높아져서... 그 통계가 말하는 고등교육이 어떤 것을 말하는지 궁금해서요. 별 거 아닙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고등교육 진학률 통계가 대개 2년제+4년제 해서 현재 70% 조금 못 미치는데 독일도 그런가 해서요..
@김두환 선생님, 독일은 독일 한국은 한국이요~ 독일의 직업교육도 고등교육 쪽에 최근 힘을 많이 주는데 한국에서 일정 부분 담론이 (구) 제도를 이상화하는 것 같아 써봤습니다.
막연하게 '독일식으로 가면 되겠네' 라고 생각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인사이트와 기본 지식의 측면에 대해서 좀 더 이야기를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