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on
everon · 독립연구자
2024/05/23
아직 하나가 더 남았다.

신호와 잡음을 구별하고, 소문에서 사실을 건져올리는 작업을 한 뒤, 얼마나 논리정연하게 레토릭을 짜면서 동시에 청중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는 페이소스를 어떻게든 잘 버무리면, 마지막에 남는 것은 결국 발화자 자신이다.

강력한 캐릭터는 그 자신이 가지는 힘이 있다.

우리는 캐릭터들을 만들어 놓으면 걔네들이 알아서 춤추고 작가는 그걸 그림으로 그려주기만 하면 된다는 만화작법들을 들어본 적이 있다.

이 캐릭터를 설정하는 행위. 즉 명징하게 직조된 사실의 비단 한 필을 파는 장사는 어때야 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예들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듣기 쉬운 목소리, 거슬리지 않는 유머, 중후하고 낮은 톤, 잘생긴 외모. 예를 들어 차은우와 장원영은 개그캐였다. 카리나는 너무 말을 잘한다. 같은 것들이다.

그런것들은 분명 이소스의 한 부분이다.

안 좋은 예들도 있다. 트럼프가 말을 잘한다 같은 것들이다.

이소스는 그래서 존재감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발화자의 외양...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3차원교통네트워크공학, 시계열분석, 노동패널, 한국세제사 등을 연구. Science부터 art까지 온갖 것에 다 관심있는 사람.
15
팔로워 2
팔로잉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