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에 들어서면서 맞게 된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전과 경제 발전은 전반적인 생활 수준의 향상과 많은 질병 치료 기술을 일구어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길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경제적인 수준차이가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건강 불평등 문제는 어째서, 어떤 식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사람들의 건강과 질병에는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사회경제적인 요인들이 있다. 오래전부터 인간의 건강과 질병은 단순히 자연적인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사람들은 건강이나 질병이 개인적인 책임의 문제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사람들의 건강과 질병이 개인의 사회경제적 수준, 문화적인 배경차이에 의해 더 많은 차이가 생긴다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코로나 19사태를 예로 든 건강 불평등
이러한 차이는 코로나 19사태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우리 사회의 민낯은 더욱 낱낱이 파헤쳐졌다. 재택근무를 하고 원격 회의를 할 수 있는 화이트칼라 직무와 밖을 나가서 일을 해야만 하는 블루칼라 직무의 차이, 집에서 노트북으로 수업을 들어야 하지만 노트북이 없는 아이는 수업을 듣지 못하는 교육 불평등, 집에 있는 시간의 증가에따른 가정 폭력의 증가와 같은 상황은 코로나 19 사태에서 더욱 자세하게 드러났다. 재난과 바이러스가 누구에나 공평하다는 말은 거짓이었다. 개학 일을 손꼽아 기다리는 아이들부터 당장 내일의 수입이 보장되지 않는 비정규직 소년가장, 복지관, 급식소 등 문 닫은 복지시설로 인해 하루 한 끼도 드시기 어려운 독거노인까지. 코로나19로 인해 생계의 어려움을토로하는 소외된 이웃들이 우리 주변에는 많이 존재하고 있다. 바이러스는 그렇게 가장 가난하고 약한 사람들의 틈을 맹렬하게 파고들었고, 약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