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사귀'는 어떻게 넓적한 잎을 가리킬까

노영식 · 석기시대 언어학자
2023/10/23
잎사귀
「001」 낱낱의 잎. 주로 넓적한 잎을 이른다.
감나무 잎사귀.
넓은 플라타너스 잎사귀.
《우리말샘》(2016)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53989&viewType=confirm
눈길을 끄는 방언형이 있다.
 잎-사(전북, 충청)
《삼국사기》 지리지 지명에서 '사'가 '大'의 뜻으로 쓰인 예가 있다.
'새 신新'은 해시계에서 아침이고 아침은 해그림자가 가장 길다. 한낮이 가장 짧다. 바꾸어 말하면 아침은 해그림자가 장대하고 한낮은 단소하다. 고대인의 일상생활에서 해그림자가 갖는 이미지는 방위와 연결되어 동서는 '大'의 뜻으로 각각 쓰인다.
신평현(新平縣)은 본래 백제(百濟)의 사평현(沙平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삼국사기》 권34.

신량현(新良縣)은 본래 백제(百濟)의 사시량현(沙尸良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삼국사기》 권36.

'잎사귀'의 '귀'는 거슬러 올라간다. 내 < 나리, 뉘 < 누리.
*귀 < *구리 < *굴-이.
'*굴-이'의 '*굴'은 '굵-다'와 어근이 같다.
'잎사귀'는 '역전앞'처럼 동어중복 결합이다.
잎사귀 = 잎 + *사[大] + *귀[大].

🐮 🐄 🥛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얼룩소 시작하기

만 년 전 구대륙 인류의 신대륙 확산 이후 단절된 언어 비교로 석기 시대의 언어를 발굴한다. 특히 남미 안데스 산중 티티카카 호반의 언어와 아시아 언어를 비교한다. 각 언어 전문가 논저와 DB를 이용해 신뢰성을 높인다.
1.1K
팔로워 252
팔로잉 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