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경험한 인문학
2024/05/09
1. (주관적인 경험에 근거해서 객관적인 이야기를) 최근 인문학, 비판적 사고, 교육 개혁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해서 인문학이 우리에게 줄 수 있는 것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나는 어쩌다보니 자연과학, 인문학, 사회과학을 차례로 조금씩 공부했고 지금은 사회과학 연구를 하고 있는데, 한때 인문학을 경험했다가 나온 사람이라는 점에서 내부인에 비해서는 조금 더 객관적(?)인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입장이다. 그러나 인문학에 대한 객관적 이야기를 매우 주관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해보겠다.
2. (인문 교육의 정석)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지금의 과학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해서 3년 동안 과학철학, 과학사, 과학사회학(과사철) 과목들을 조인래, 김영식, (서강대로 가서) 김경만 선생님께 배웠고, 5동 철학과에 가서 인식론, 언어철학, 분석철학, 심리철학 등을 김여수, 김영정, 이명현, 김효명 선생님께 배울 기회가 있었다. 이들 과목 중 지도교수였던 조인래 선생님의 과학철학 수업을 4번 들어서 제일 많이 들었다. 원래 적성이 문/이과 반반이었다. 그런 적성의 학생이 한 학년에 540명만 뽑는 지방 이공계 단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의 종합대학에 와서 인문학 공부를 하니 대학을 다시 들어간 느낌이었다. 개인 차원의 르네상스 느낌. 지금 생각해보면 학문적으로 탁월하시고 인격적으로도 훌륭하신 선생님들에게 인문 교육을 정석대로 배운 것같다. 우선 열악한 환경에서도 헌신적으로 가르쳐주신 김영식, 조인래 두 분 선생님께 감사를.
2. (인문 교육의 정석)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지금의 과학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해서 3년 동안 과학철학, 과학사, 과학사회학(과사철) 과목들을 조인래, 김영식, (서강대로 가서) 김경만 선생님께 배웠고, 5동 철학과에 가서 인식론, 언어철학, 분석철학, 심리철학 등을 김여수, 김영정, 이명현, 김효명 선생님께 배울 기회가 있었다. 이들 과목 중 지도교수였던 조인래 선생님의 과학철학 수업을 4번 들어서 제일 많이 들었다. 원래 적성이 문/이과 반반이었다. 그런 적성의 학생이 한 학년에 540명만 뽑는 지방 이공계 단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의 종합대학에 와서 인문학 공부를 하니 대학을 다시 들어간 느낌이었다. 개인 차원의 르네상스 느낌. 지금 생각해보면 학문적으로 탁월하시고 인격적으로도 훌륭하신 선생님들에게 인문 교육을 정석대로 배운 것같다. 우선 열악한 환경에서도 헌신적으로 가르쳐주신 김영식, 조인래 두 분 선생님께 감사를.
3. (정답 없는 질문) 대부분의 수업은 논문을 읽고 와서 3시간 동안 토론하는 reading seminar 였다. (돌아가면서 발제하는 방식이 있었는지 잘 기억이 안남) 그중에서도 첫 학기 김영식선생님의 과학사통론 수업은 매우 독특한 경험이었다. 매주 500쪽 정도의 영어 자료를 읽어야 했는데, 이제 이공계 대학을 갓 졸업한 아무 생각 없던 신입생에게는 너무 어려운 일이었다. 한주 내내 ...
이전에 김석관 얼룩커님이 작성하신 혁신적 스타트업이 가능한 제도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말에 동의하는 입장에서, 한국에서 인문학을 가르치는 방식이나 소비되는 방식이 안타까운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결국 인문학적 소양의 필요성은 내가 속한 사회나 그 안의 담론들을 얼마나 비판적인 시선으로 볼 수 있는가인데, 그런 교육의 기회가 너무 부실한 상황에서 심지어 쫓기듯 살다보니 거의 사회 담론들이 도식적인 반응으로 일시적인 검색량 증가 이후에 다 사라지고 잊어버리는 느낌이 납니다.
사회적 논의를 축적할 역량을 길러보고자 하는 사람들은 거의 사회에서 잉여인간 취급을 받는 현실도 있으니, 거의 모든 사람들이 전문직만을 꿈꾸는 사회가 되어버리는 게 아닌가 하는 절망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제가 능력도 없으면서 그런 역량을 길러보고 싶다하는 처지이기에 그런 절망이 극대화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ㅋㅋㅋ 그래도 이렇게 논의의 빈곤 사회가 되어버린 것에는 큰 아쉬움이 있습니다.
이전에 김석관 얼룩커님이 작성하신 혁신적 스타트업이 가능한 제도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말에 동의하는 입장에서, 한국에서 인문학을 가르치는 방식이나 소비되는 방식이 안타까운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결국 인문학적 소양의 필요성은 내가 속한 사회나 그 안의 담론들을 얼마나 비판적인 시선으로 볼 수 있는가인데, 그런 교육의 기회가 너무 부실한 상황에서 심지어 쫓기듯 살다보니 거의 사회 담론들이 도식적인 반응으로 일시적인 검색량 증가 이후에 다 사라지고 잊어버리는 느낌이 납니다.
사회적 논의를 축적할 역량을 길러보고자 하는 사람들은 거의 사회에서 잉여인간 취급을 받는 현실도 있으니, 거의 모든 사람들이 전문직만을 꿈꾸는 사회가 되어버리는 게 아닌가 하는 절망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제가 능력도 없으면서 그런 역량을 길러보고 싶다하는 처지이기에 그런 절망이 극대화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ㅋㅋㅋ 그래도 이렇게 논의의 빈곤 사회가 되어버린 것에는 큰 아쉬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