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걸>은 왜? 드라마가 싸이코 범죄자 김모미를 지운 이유.
2023/08/30
넷플릭스 드라마 <마스크걸>이 글로벌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습니다. 자극적인 소재와 높은 수위로 유명한 동명의 인기 웹툰이 원작이다 보니 넷플릭스가 아니면 드라마화 자체가 어려웠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연히 원작과 비교하며 호불호를 밝히는 사람도 상당히 많은 분위기인데 특히 뚜렷하게 변화를 가한 지점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피카레스크(Picaresque). 원작 웹툰의 장르를 이야기할 때 즐겨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주요 등장인물 대다수가 도덕적으로 문제 있는 악인인 작품으로 그들의 악행에 토를 달거나 굳이 옹호하지 않는 게 특징입니다. 나쁜 사람이 나쁜 짓을 벌이는 내용을 통해 온갖 욕망과 악에 찌든 세태와 인간상을 풍자하는 구도입니다.
원작 웹툰 <마스크걸>이 그랬습니다. 주인공 김모미는 누가 봐도 악인으로 싸이코 범죄자 그 자체였습니다. 외모지상주의 세태로 인해 인생이 꼬인 측면이 있긴 하나 이를 빌미로 그의 악행을 정당화하지는 않습니다. 그의 악행과 범죄는 본인의 비뚤어진 욕망과 공격성에 따른 것으로 그려집니다.
반면 드라마 <마스크걸>은 다릅니다. 김모미의 모든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했습니다. 살아남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혹은 뚜렷한 의지보다는 세태에 등 떠밀려 그랬다는 식으로 연출함으로써 악인보다는 피해자로 다가오게 만듭니다. ‘우리 사회가 만들어낸 암울한 군상’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그의 행보나 됨됨이 또한 싸이코보다는 평범한 인간에 가깝습니다.
바뀐 건 김모미뿐만이 아닙니다. 다른 주요인물의 캐릭터나 사건의 흐름 역시 상당히 변화했습니다. 단순히 순화하는 걸 넘어서 서사 이면의 정서, 나아가 삶과 세태를 바라보는 시선까지 제법 바뀌었습니다. 관점에 따라서는 ‘싸이코 막장극 성격을 줄이는 대신 여성주의 연대기 성격을 살짝 입혔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원작과 드라마의 차이를 살펴보면서 연출 의도를 가늠하고 각자의 감상을 확인하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적어도 드라마는 시청한 상태임을 전제로 이야기를 이어갈 테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만화평론가인 조경숙 님께서 드라마와 웹툰의 차이를 놓고 글을 한 편 쓰셨습니다. 작품 이해의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글이기에 아래에 링크 남깁니다.
https://alook.so/posts/1RtMKd0
일요일 오후 6시간을 투자해 한번에 다 봤어요. 꽤 재미있고, 무엇보다 배우들의 연기가 수준급 이상이어서 드라마 자체를 보는 재미는 있지만, 스토리가 툭툭 끊기는 느낌, 어디서 베껴온 구도와 장면들의 나열이 꽤 눈에 거슬렸어요. 살인한 사람은 다 죽는다는 미국식 호러물의 도덕 공식도 다 지켰구요. 그래서 남는 건 배우들의 내공 넘치는 연기였다...생각합니다.
@문성환 드라마만 본 사람, 원작 웹툰까지 본 사람 간의 온도 차이가 뚜렷한 것 같습니다. 드라마만 본 사람은 '다소 자극적이고 내용에 빈틈이 많긴 한데 그래도 재미있다'는 반응이 주류이고, 원작 웹툰까지 본 사람은 바뀐 대목들에 아쉬움을 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후자의 경우 아쉬워하는 포인트가 제각각인 것도 흥미롭네요. 작품의 에센스가 변질됐다고 아쉬워하는 이부터 남혐·여혐 같은 지점을 이야기하는 이까지 다양합니다.
넷플릭스에 뜨는 것만 보고 뭐지 하고 있었습니다. 관련 글로 읽은 게 이 글이 처음인데, 오늘 저녁 일이 끝나고 집에 돌아가면 한번 넷플릭스에서 클릭해 시청해 볼까하는 마음이 생깁니다.
만화평론가인 조경숙 님께서 드라마와 웹툰의 차이를 놓고 글을 한 편 쓰셨습니다. 작품 이해의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글이기에 아래에 링크 남깁니다.
https://alook.so/posts/1RtMKd0
넷플릭스에 뜨는 것만 보고 뭐지 하고 있었습니다. 관련 글로 읽은 게 이 글이 처음인데, 오늘 저녁 일이 끝나고 집에 돌아가면 한번 넷플릭스에서 클릭해 시청해 볼까하는 마음이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