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장애인들의 세종대왕 - 박두성
2023/04/20
‘훈맹정음’의 창시자, 박두성(朴斗星, 1888~1963)
“일신이 천금이라면 눈이 구백금”
며칠 전 KBS 뉴스(2023년 4월 4일)에서 한 시각장애인이 맹인안내견을 데리고 식당에 가려는데, 이를 꺼려한 상인들이 출입을 제지하는 모습을 담은 영상이 보도되며 큰 논란이 일었다. 열이면 일곱 곳의 가게에서 안내견 출입을 거부했다. 위생상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다른 손님들이 싫어할 수도 있다는 게 그 이유였다.
안내견은 애완동물이 아니라 시각장애인에 사회 활동을 보조하는 파트너이다. 안내견의 시설 출입은 법률로 보장하고 있으며,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명문화된 법조문일 뿐 현실에서 잘 지켜지지 않는다. 몇 해 전 입법부에 입성한 현역 시각장애인 국회의원이 안내견을 대동하고 본회의장에 출석하려했을 때, 국회 사무처가 이를 제지해 소동이 빚어졌다. 장애인 관련 법률을 직접 입안하는 국회에서도 이럴진대, 다른 곳의 상황은 더 설명하지 않아도 될 정도이다.
@클레이 곽 저도 더 많이 쓴 줄 알았는데, 새삼 지금 보니 79개네요. 100개 이상 될 때까지 열심히 써보겠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강부원 아닙니다. 제반 상황을 고려했을 때 족히 100개 이상은 되리라 생각했는데 79개 뿐이어서 너무 적다고 느껴진것입니다. 혹시 다른데도 글을 쓰시나 해서 여쭈어본것뿐입니다. 별다른 뜻은 없습니다.
@클레이 곽 79개가 전부 맞습니다. 올렸다가 지우거나 한 글은 없습니다. 무슨 문제 있나요?
@강부원 : 얼룩소에 연재된 글이 79개가 전부인것이 맞는지요?? 다른글들은 어디에 더 있는가요???
@캘리뽀냐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똑순이 똑순이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똑순이님은 더 크고 넓은 세상의 지혜에 대해 많이 알고 계시는 분이라 제 책이나 글에 나온 잡지식은 아무 것도 아닙니다. 저도 항상 똑순이님 글보면서 삶의 태도와 마음의 자세를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강부원 님~작년 한글날 문제풀이때 훈맹정음을 처음 알았습니다.
그런데 누가 어떻게 만들었는지는 몰랐는데요.
강부원님 책을 통해서 알게 되였지요.
책을 읽으며 알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 인물들을 알아 간다는 것이 흥미로운 일이 되였습니다.
@콩사탕나무 사랑하는 독자님이시군요. ^^ 변변찮은 글 애정해주셔 정말 고맙습니다. 덕분입니다.
@클레이 곽 오! 알려주신 내용 공부가 되네요. 봉사란 말이 관직을 일컫는 의미라는 뜻은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일러주셔서 고맙습니다.
조선 전기, 중기까지의 장애인은 배척의 대상이 아니었다고 하죠....구휼의 대상이긴 하였으나 장애를 지닌 이들이 지닌 직업도 하나의.직업군으로 인정되었다 하던데. 조선 중기를 지나가며 '생산성'에 초점을 맞추고 일제강점기부터 '생산성이 없가'=배척의 대상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박두성선생님 같은 분들이 더 빛을 발하는 것은 아닐까 싶어집니다. 좋은 글 감사히 읽고 갑니다~
오늘 장애인 날이였구려
몰랐구만..
알아도 모른척인건가..
자폐와 지적 애둘 키우는데
아직도 어렵구만^^
암튼 덕분에 또 좋은걸 보고 가요^^
@연하일휘 그렇군요. 근대사회일수록 합리성과 이성의 힘으로 장애인들에게 대한 배려와 존중도 향상되었을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했는데, 우리의 상식과는 달리 전근대사회에서 차별과 배제가 더 적었고, 공동체로서 함께 살아갔군요. 덕분에 미처 몰랐던 사실들을 새삼 알게 됩니다. 읽어주시고 댓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지미 네. 장애인의 날을 맞아 관련 글을 올려봤습니다. 지미 님. 그런 사연과 생활을 미처 몰랐습니다. 가족들에게만 장애인 돌봄의 부담을 주지 말고, 우리 사회가 거들어 함께 장애인과 살아가는 문화를 만들어가야 할텐데요. 점점 나아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 멀었지요. 그리고 말씀하신 아이 둘은 세상에서 가장 멋지고 씩씩한 엄마 곁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을 거라고 믿습니다. 지미님께서 이렇게 댓글 남겨주셔 글이 더 뜻깊어졌습니다.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이 장애인의 날이었군요. 훈민정음 만큼이나 위대한 훈맹정음을 만들어 수많은 시각 장애인들의 눈이 되어주셨네요.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저 지금 <역사에 별빛처럼 빛난 자들> 읽고 있어요!! 얼룩소에서 봤던 인물들을 복습하는 기분도 들고, 읽었던 인물이 나오면 반갑기도 합니다. 좋은 글과 책 감사합니다.^^
@똑순이 똑순이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똑순이님은 더 크고 넓은 세상의 지혜에 대해 많이 알고 계시는 분이라 제 책이나 글에 나온 잡지식은 아무 것도 아닙니다. 저도 항상 똑순이님 글보면서 삶의 태도와 마음의 자세를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강부원 님~작년 한글날 문제풀이때 훈맹정음을 처음 알았습니다.
그런데 누가 어떻게 만들었는지는 몰랐는데요.
강부원님 책을 통해서 알게 되였지요.
책을 읽으며 알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 인물들을 알아 간다는 것이 흥미로운 일이 되였습니다.
@콩사탕나무 사랑하는 독자님이시군요. ^^ 변변찮은 글 애정해주셔 정말 고맙습니다. 덕분입니다.
@강부원 훈맹정음 알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아래 연하일휘님의 글에서 보듯이 조선 중기까지도 장애인은 구휼을 했고, 나무위키에서 찾아보니 "봉사는 조선시대 종8품에 해당하는 관직의 이름이였지만(이순신 장군도 훈련원 봉사 직을 지낸 적이 있다) 이 자리에 맹인들이 주로 등용되어 맹인들을 봉사라고 부르기도 했고 그 결과 현대 사람들도 봉사를 원래 뜻보다는 맹인들을 낮잡아 부르는 말로 알고 있게 되었다". 봉사가 종8품벼슬이고, 심청전의 심 봉사도 관직을 가진 사람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뺑덕어미도 심봉사의 관직을 더 사랑했던것 같기도 합니다. 이렇게 정리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강부원 아닙니다. 제반 상황을 고려했을 때 족히 100개 이상은 되리라 생각했는데 79개 뿐이어서 너무 적다고 느껴진것입니다. 혹시 다른데도 글을 쓰시나 해서 여쭈어본것뿐입니다. 별다른 뜻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