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의 폭력은 어떻게 개인에게 복제되는가 - 영화 <영자의 전성시대> 다시보기
2023/07/30
국가의 폭력은 어떻게 개인에게 복제되는가 - 영화 <영자의 전성시대> 다시보기
조선작의 소설 『영자의 전성시대』와 영화 《영자의 전성시대》는 1970년대 한국 사회를 비추는 일종의 거울이다. 소설과 영화는 세계자본주의 체제 내부에 편입된 반주변부 국가의 위상과 행동 양식을 서울의 ‘창수’와 ‘영자’라는 인물들 간의 관계를 통해 상징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창수’는 월남전에 참전했던 경험을 가지고 있는 귀환 용사이며 ‘영자’는 산업사회로 재편되는 한국 경제 구조상의 자본의 본원적 축적 과정의 희생을 그대로 보여주는 여성이다.
1970년대는 박정희 일인 독재체제가 위악적으로 재편되는 시기였다. 4.19혁명을 뒤엎는 5.16 군사 쿠데타를 통해 등장한 박정희 정권은 ‘경제성장’과 ‘민주주의’라는 대외적인 모토를 걸고 1960년대를 실질적인 병영국가 상태로 지휘한다. 박정희가 주도한 인위적인 산업구조 재편은 수많은 문제점을 일으켰다. 기록적인 경제 성장률은 대다수 노동자들의 저임금과 상상을 초월하는 노동 강도를 통해 달성되었고 민주주의는 합리적인 절차와 내용을 지운 채 세계냉전체제 가운데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진영에 복속되기 위한 표피로써만 기능하고 있을 뿐이었다.
무리한 경제 성장은 도시와 농촌의 급격한 격차를 낳게 되었고 중동발 오일 쇼크로 수출 중심의 공산품 생산마저 막대한 차질을 빚게 되자 한국 사회는 크게 동요한다. 그러나 이 와중에도 3선 개헌을 통해 영구 집권을 노리던 박정희 정권은 강력한 민중의 저항에 부닥치게 된다. 이러한 위기에 봉착한 60년대 말과 70년대 초 상황에서 박정희 정권이 안팎의 균열을 타개할 국면전환을 위해 선택한 카드가 바로 ‘유신체제’ 선포와 ‘월남전 참전’이었다.
무리한 경제 성장은 도시와 농촌의 급격한 격차를 낳게 되었고 중동발 오일 쇼크로 수출 중심의 공산품 생산마저 막대한 차질을 빚게 되자 한국 사회는 크게 동요한다. 그러나 이 와중에도 3선 개헌을 통해 영구 집권을 노리던 박정희 정권은 강력한 민중의 저항에 부닥치게 된다. 이러한 위기에 봉착한 60년대 말과 70년대 초 상황에서 박정희 정권이 안팎의 균열을 타개할 국면전환을 위해 선택한 카드가 바로 ‘유신체제’ 선포와 ‘월남전 참전’이었다.
@애플파이 보긴하는데, 다른 분들이 더 잘 쓰시니까요.
최근 개봉 영화평은 안쓰시나요?
제게 영자라는 이름을 쓸쓸하게 기억하게 만든 영화랍니다.
영화 공부할 때 꼭 먼저 보는 작품입니다.
제첫사랑 이름이 영자였드랬죠.
@change9988 @sombread89 말씀 감사합니다.
얼룩소에서 만난 최고의 작가!!
그리운 이름 영자네요.
영지의 마음이 얼마나 횡량했을지. 우리는 그 점에 좀 더 주목해야한다고 봐요. 잘 읽었습니다.
@이선영 지금 70~80대에 해당하는 여성들이 바로 영자의 모델이 아닐까 싶습니다. 젠더문제에 무감각한 시대를 살아서 더 고난이 많으셨죠. 오히려 젊은 여성들이 기 세다고 나무라는 경우도 있는 여성분들이 많습니다. 그 아이러니를 이해해야 하는데 쉽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1970년대 유명했던 영화를 이 아침에 다시 회상해봅니다. 애석하게도 2023년 오늘도 우리사회는 똑같은 창수와 영자가 넘쳐납니다. 다만 그들의 노동현장이 바뀐셈입니다. 여전히 많은 여성은 독립적이지 못하고, 자주적이지 못하고, 성을 매개로 살아가는 삶이 너무 많습니다. 다만 그들의 선택이 자발적이라고 하는것이죠. 70년대 영자는 할 수 없이 생존을 위한 선택을 했었고, 타인에 의하여 강요된 선택이 많았다면, 지금의 영자는 자발적으로 영자가 되고 있죠, 몸을 직접 팔아야만 매춘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수위를 넘는 표현으로 성을 팔고 있는 걸그룹들과 유튜버들 결국 미디어를 통해서 자신의 성을 팔고 있는 23년의 영자들입니다. 노동을 하는 창수가 편의점의 창수로 바뀌었고, 배달의 민족의 창수로 바뀌었을 뿐입니다. 공장의 현장은 외국인 노동자들이 창수가 되었죠. 국가의 폭력은 여전합니다. 그것을 그리워하는 많은 권력층들은 여전히 인권을 무시하고 민중을 개돼지 취급합니다. 엊그제도 양평에서 고속도로 건설을 백지화환 원희룡 장관은 창수였던 일개 노동자가 힘을 가지게되어 다른 창수와 영자를 취급하는 다른형태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학력이 있건 없건. 그런것들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랫만에 1970년대의 감성에 젖어봅니다. 1970년대와 지금은 여전합니다. 아직도 다른형태의 창수와 영자들이 사회를 메꾸고 있습니다.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사실인지라...
과연 지금은 많이 달라졌을까요?
아니죠.... 제가 바라보기에는 그 때나 지금이나
별반 크게 달라진게 없어 보여 더 답답하네요.
우리 시대의 고달픈 삶에 대한 이야기. 어머니 이름이 영자에요.
글 좋네요. 잘 봤습니다. 강 선생님.
따듯한 대한민국을 응원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기술이나 사회 전반적으로 획획 바뀌는 것들은 엄청나게 바뀌는데, 정작 바뀌었으면 좋겠는 것들은 참 안 바뀌거나 아주 더딘 속도로 바뀌거나 멈춰있거나.. 심지어는 문제이거나 한듯 합니다.
그래도 아주 천천히라도 좋은 쪽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라면 좋겠는데..
많은 면에선 분명 선진국의 모습인 대한민국의 발목을 잡는, 여러 여전히 후진적인 면들을 잠시 떠올립니다.
@까망콩 그때나 지금이나... 이런 말이 나와도 별로 반박할 거리가 없다는 현실이 비참하네요. 지금도 마찬가지인 그 삶들을 개선하기 위해 우리 모두 노력해야겠습니다. 요즘 세상 돌아가는 모양이 어수선하고 신산해서 걱정이 많습니다.
시대가 변해도 어쩜 달라진게 하나도 없다는게 서글픕니다! 권력을 가지면 인간은 잔인해지게 변함이 없네요.
최근 개봉 영화평은 안쓰시나요?
제게 영자라는 이름을 쓸쓸하게 기억하게 만든 영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