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게임사회》 전시 리뷰

와이아트
와이아트 인증된 계정 · 미술에 빠진 당신을 위한 작품 감상법
2023/07/25
여러분은 게임이 예술에 속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뉴욕현대미술관의 큐레이터인 파올라 안토넬리(Paola Antonelli)는 “게임은 당연히 예술이다”라고 이야기합니다. 

게임이 예술로 불리기 시작한 것은 2012년 뉴욕현대미술관이 작품을 소장하면서부터입니다. 파올라 안토넬리는 팩맨(1980), 테트리스(1984), 어나더 월드(1991), 미스트(1993), 심시티 2000(1994), 비브-리본(1999), 심즈(2000) 등 14점의 게임을 소장했다고 밝히며 작품들을 전시회에 공개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비평가들은 비디오 게임이 예술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미술관에 전시할 수 없다고 주장했어요. 예술 작품이 삶에 대한 상상력과 성찰을 담고 있는 데 반해, 게임은 플레이어와 프로그램 간의 상호작용 경험일 뿐 삶에 대한 성찰이 없다는 이유에서였죠.

그럼에도 이 전시는 사람들에게 게임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면서 예술의 범주를 넓힌 계기가 되었습니다. 게임은 기술 혁신을 심미적으로 표현하며, 문화적 관련성과 역사성을 보여준다는 논리였습니다. 
Toru Iwatani. <Pac-Man>, 1980. ⓒ 1980 BANDAI NAMCO Entertainment Inc. (출처: MoMA)
뉴욕현대미술관이 밝힌 게임 작품 소장 기준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훌륭한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보유한 게임, 두 번째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일으키는 요소가 뛰어난 게임입니다. 즉, 게임을 하는 사용자가 어떻게 이를 즐기는지, 디자인적으로 어떤 미학적 가치를 지니는지가 중요 요소로 꼽힙니다. 

실제로 게임은 단순한 오락일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의도적인 마찰과 혼란을 주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게 하는 방식으로 인간과 상호작용합니다. 게임이 미술관에 전시될 수 있느냐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지만, 그럼에도 더 많은 미술관들이 게임을 하나의 예술 형식으로 인정하면서 게임 작...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요즘 미술은 진짜 모르겠다는 분들에게 현대미술 핵심 키워드를 쉽게 풀어드립니다.
52
팔로워 182
팔로잉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