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 없는 '차가운 종교학'┃Science of Religion을 생각하며

steinsein
steinsein · 종교학 공부인과 연구인을 방황하는 자
2023/07/13
종교라는 주제를 다루려면 '위로'가 필요하다?

이 말을 저는 곳곳에서 확인하게 됩니다. 그 이야기를 좀 해 보겠습니다.

정재승 박사가 총괄자문 및 프리젠터로 참여한 다큐 시리즈 '뇌로 보는 인간'의 마지막 '종교' 편에 제가 자문으로 참여하여 아주 짧은 시간 출연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시청률이 높았던 편이 아니라서 사람들로부터 별다른 반응을 듣지는 못했습니다. 우연히 EBS 다큐를 보던 친구가 '야, 너 나왔더라...잠깐 ㅎㅎ', 이런 반응을 보인 예가 있었을 뿐입니다. 함께 자문에 참여한 구형찬 박사(인지종교학)가 종교학자로서는 메인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뇌로 보는 인간' - 종교 편의 한 장면┃저는 입을 다물고 있습니다^^
몇 년이 지나서 그때 나왔던 미디어 비평 기사를 볼 수 있었습니다.
미디어스 기사 캡쳐
해당 다큐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다음에 이런 논평을 내 놓았습니다.
미디어스 관련 기사
'위로가 없다'는 비판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예 그렇습니다. 종교라는 주제를 다룰 때 사람들은 그런 것을 기대하곤 합니다. '종교의 본질', '참된 의미' 같은 것을 발견하고, 뭔가 진리의 말씀이나 인생을 통찰할 수 있는 지혜를 얻기를 기대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하는 종교학도 존재합니다. '현대인의 종교는 병들었다'는 진단을 내리며 '고대인의 지혜'를 회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내거나 모든 종교에 담겨있는 가장 고귀한 가르침(가령 황금률 같은)은 모두 상통하고 그것이 인간이 향유해야 할 소박하지만 분명한 진리라고 이야기하는 예도 있습니다.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출처: Wikimedia Commons
종교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막스 뮐러는 '종...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종교(문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모색하는 공부인입니다. 종교보다 종교적 인간, 종교문화, 미신 등 인간의 종교적 특성을 볼 수 있는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비종교 현상에서 종교적 특성을 읽어내기를 좋아합니다.
123
팔로워 618
팔로잉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