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웅의 《방언》에 고조선어로 '참새새끼, 병아리'를 가리키는 어휘가 나온다. 양웅揚雄은 중국 전한 시대의 학자(B.C.53 ~ A.D.18)다.
양웅의 《방언》에 고조선어로 '참새새끼, 병아리'를 가리키는 어휘가 나온다. 양웅揚雄은 중국 전한 시대의 학자(B.C.53 ~ A.D.18)다.
구鷇. 비육(병아리)
『고조선의 언어계통 연구』 (2018, 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
(2)
고조선어로 '참새새끼, 병아리'를 가리키는 어휘에 '구鷇'가 있고 관서(관중關中, 진秦) 지역 음은 '고顧'라고 했다.
고조선어로 '참새새끼, 병아리'를 가리키는 어휘에 '구鷇'가 있고 관서(관중關中, 진秦) 지역 음은 '고顧'라고 했다.
爵子及鷄雛 皆謂之鷇(恪遘反 關西曰鷇 音顧)
《방언》 권8.
(3)
일본어 hiyoko(병아리), ko[子]가 보인다. 일본 여성 인명 '-子'를 '-ko'라고 읽는다.
(4)
고조선어 '구鷇'(관중 지역 '고顧')와 고대일본어 ko[子]는 어근이 일치한다. 고조선어의 계통을 희미하게나마 짐작하게 한다. 고조선어의 확산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