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공부하기 15: 여리실견분 제5 (3)여래를 바로 보려면?

나반의 정원
나반의 정원 · 정치학과 국제 관계 및 불교에 관심
2023/06/25
명상하는 붓다, 3~5세기 간다라 지역, 현 파키스탄
부처님의 상호相好
어디에도 의지하지 않고 보시를 행하면 그 복덕이 무량하다는 말씀을 듣고 부처님의 모습을 우러러 보던 대중은 이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부처님은 32상相 80종호種好의 원만 구족한 상호相好를 가지셨는데 보시를 행한 복덕이 바로 저런 32상이겠구나 하는 생각을 일으킬 수 있다. 부처님이 지니신 32상은 그 하나하나가 수많은 덕을 오랜 동안 쌓은 결과로 얻게 되는 것이라는 점을 당시의 청중들은 충분히 알고 있었을 것이다. 또 상에 머무르지 않는 보시를 행하라 하셨는데 그러나 부처님 상에 대해서는 의지하고 머물러도 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우리는 절에 계신 부처님께 늘 절하고 예배하며 의지 처로 삼고 있다. 하물며 생전의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있는 대중들로서는 그러한 생각을 벗어나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러나 과연 부처님 상에 의지해서 여래의 진면목을 볼 수 있을까?

우선 부처님이 갖추신 특별한 몸의 모습이란 무엇인가. 당시 인도 사람들은 이상적 인간상인 부처님의 특징을 32상 80종호로 구체화시켰다. 여기서 이러한 특징을 다 열거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다만 절에 계신 부처님 상을 떠올리면 부처님의 상호를 그릴 수 있을 것이다. 이마에 백호가 있고 머리 윗부분에 육계肉髻가 있으며 얼굴의 각 부분과 몸 전체가 균형이 잘 잡혀 있다. 귀가 큼직하고 눈이 단정하고 양미간의 넓이가 적당하고 코가 적당히 오뚝하며 입모양이 아름답다. 머리 뒷부분에 둥근 원 즉 광배를 그린 것은 부처님의 신상에서 나오는 광채를 표시한다.

부처님의 이러한 상호는 오랜 동안 마음을 닦은 결과로서의 모습이다. 예를 들어 남의 말을 잘 듣고 거슬리지 않았으니 원만하고 큼직한 귀를 가지시게 되었을 것이요 항상 남의 잘못을 보기 전에 자기의 마음을 살피셨으니 눈이 내부를 응시하는 듯 아래쪽을 조용...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대학에서 국제 정치학과 정치 철학, 그리고 남북한 관계와 중국 문제를 연구하고 강의하였으며 대학 총장을 역임하였다. 금강경 연구, 원효와 백성욱 박사에 관한 논문을 쓴 불교 연구자이다. 본명은 정천구 이다.
267
팔로워 89
팔로잉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