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차 사원'의 딜레마 - '대졸'을 깍아내리지 않아도 '고졸'을 긍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2023/01/04
소중한 답글을 많이 받았습니다. 하나하나 의견을 바라보며, 감사와 함께 건설적인 논의를 할 수 있는 제안을 하나 해볼까 합니다. 이를 위해 평소에는 하지 않는 예시도 들어볼까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이니 다양한 방면으로 생각을 넓혀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전 글에서 이어지는 논의이니, 보지 않으신 분은 먼저 읽고 와주셔도 좋겠습니다 :)
<고졸이라는 낙인>
'7년차 사원'의 딜레마
'7년차 사원'이라는 단어를 보면 어떤 기분이 드시나요? 직장을 다녀보신, 또는 다니고 계신 분들에게는 다소 이질적으로 느껴지는 단어가 아닐까 합니다. 보통은 3~4년차에, 늦어도 5년차에는 승진을 하게 되기 때문이죠.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첫 진급은 성과를 요구하지 않고 연차로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렇다면 그가 승진하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요?
당사자였던 지인에게 회사가 제시한 이유는 두 가지였습니다. "아직 어려서"와 "고졸이라서" 입니다. 보통의 대졸 사원들이 20대 후반에 회사에 들어오기 때문에, 너무 빨리 진급시키면 회사 분위기가 이상해진다는 겁니다. 납득이 가시나요? 의외로 고졸 노동자들이 20대 중반에 흔하게 겪는 일이고, 이직을 준비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경력을 인정받는 '상식적인' 기업으로 가고 싶은 건 당연...
직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지역 중소기업에서 현장실습생, 산업기능요원이란 이름으로 일했습니다. 회사를 그만둔 후 모든 삶은 이야기가 되어야 한다는 믿음으로 《교복 위에 작업복을 입었다》를 썼습니다. 현재는 출판 편집자로 일하고 있으며, 《세상의 모든 청년》의 책임편집 및 공저자로 참여했습니다.
글을 읽다 문득 경력자들이 사라진 택시업계가 생각났어요. 10년 무사고 택시 운전을 해도 어제 영업을 시작한 택시기사와 같은 콜을 받고 같은 단위의 돈을 벌면서 느꼈을 자괴감이 느껴졌어요.
꾸준히 일을 한 사람에 대한 존중은 학문 분야에서는 두드러지잖아요. 그런데 왜 노동 시장에서는 그렇지 못한지에 대한 생각으로 이어지네요.
경력을 존중해야 한다면서 필수 노동 인력의 경력은 시간당 도매가로 후려치는 사회의 모순이 슬픕니다.
글을 읽다 문득 경력자들이 사라진 택시업계가 생각났어요. 10년 무사고 택시 운전을 해도 어제 영업을 시작한 택시기사와 같은 콜을 받고 같은 단위의 돈을 벌면서 느꼈을 자괴감이 느껴졌어요.
꾸준히 일을 한 사람에 대한 존중은 학문 분야에서는 두드러지잖아요. 그런데 왜 노동 시장에서는 그렇지 못한지에 대한 생각으로 이어지네요.
경력을 존중해야 한다면서 필수 노동 인력의 경력은 시간당 도매가로 후려치는 사회의 모순이 슬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