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엔 ‘희열’, 일제에겐 ‘공포’ 전달한 한국 영화계의 성난 얼굴 - 나운규
2023/04/15
한국 영화의 개척자, 나운규(羅雲奎, 1902~1937)
비밀한 사람
싸울 때 가장 두려운 상대는 누구일까. 목이 얼굴보다 두껍거나, 주먹이 솥뚜껑 만하며, ‘만두귀’를 가진 사람을 조심하면 된다. 이런 사람과 시비가 붙는다면 싸우려하지 말고 도망가야 한다. 그런데 사실 이보다 더 무서운 상대가 있다. 바로 미친 사람이다. 칼을 꺼낼지 낫을 들지 모르는 사람. 어떤 적의를 품었는지 알 수 없는 비밀한 사람. 인생에 더 이상 미련이 없는 듯 뒤도 돌아보지 않고, 날선 분노를 그대로 쏟아내면서도 한없이 침착한 존재. 이런 상대를 만난다면 얼마나 큰 공포를 느낄까.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은 나운규(羅雲奎, 1902~1937)의 영화 <아리랑>을 보고 바로 이런 서늘한 감정을 느꼈다. <아리랑>은 직접적으로 독립을 주장하거나 일제를 배격하는 정치적 구호가 드러나지 않아 상영을 원천적으로 금지할 수 없었지만, 나운규의 영화를 보는 일본인과 조선인 관객 모두는 알고 있었다. 나운규가 직접 감독하고 연기한 주인공 ‘영식’의 알 수 없는 표정과 미친 사람 같은 눈빛 속에 어떤 감정과 마음이 숨겨 있는지 말이다.
드라마틱한 소년 청년 시절
나운규는 춘사(春史)라는 호로 잘 알려져 있는 식민지 시기의 영화인이다. 그는 ‘한국영화의 개척자’이자, ‘민족영화의 아버지’로 불린다. 1990년부터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춘사영화제가 매년 4월 개최되고 있다. 영화감독인협회에서 직접 주관하는 시상식인 만큼 영화인들 사이에서 다른 상업적인 영화상보다 더 큰 영예와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나운규의 생애는 그가 만든 영화만큼이나 드라마틱하다....
@박산호 아직 원본 필름이 발견되지 않아 전해지는 이야기나 다른 자료들로 미루어 짐작하는 정도지만, 한국민족영화의 뿌리로 보는 여러 이유가 있을 겁니다. 읽어주시고 코멘트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아리랑이 이런 영화였군요. 멋진 글 감사합니다.
@청자몽 항상 꼼꼼히 읽어주시고 공감해주셔서 제가 얼마나 감사한지 모릅니다. 청자몽 님도 편안하고 너그러운 주말 되시길 기원합니다.
@최성욱 아리랑은 우리 본연의 노래이자 정서이자 문화이기도 하지요. 나운규에게도 당시 우리 민족에게도 아리랑은 한 편의 영화 이상의 의미였을 듯 합니다. 아직 실체도 전부 확인하지 못한 그 작품이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 회자되는 걸 보면 어떤 울림을 주었는지 짐작할 것도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오늘도 덕분에 어렴풋이 알던 분에 대해 알고 갑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아리랑 하면 디워 엔딩 스탭롤이 떠오릅니다. 디워 엔딩에서 나오거든요.
언제 들어도 묘한 감정의 울림을 주는 곡이죠. 아리랑.
한국 느와르에는 늘 아리랑의 흔적이 보이는 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박현안 그렇죠. 어딘가에는 꼭 남아 있기를 바랍니다. 연구자들이나 영화인들이 그렇게 찾고 있는데 아직 못찾고 있는데, 나타나기만 한다면 한국영화계가 들썩일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필름을 구할 수 있다면 한 번 보고 싶네요. 오늘도 잘 읽고 갑니다.
필름을 구할 수 있다면 한 번 보고 싶네요. 오늘도 잘 읽고 갑니다.
@청자몽 항상 꼼꼼히 읽어주시고 공감해주셔서 제가 얼마나 감사한지 모릅니다. 청자몽 님도 편안하고 너그러운 주말 되시길 기원합니다.
@박현안 그렇죠. 어딘가에는 꼭 남아 있기를 바랍니다. 연구자들이나 영화인들이 그렇게 찾고 있는데 아직 못찾고 있는데, 나타나기만 한다면 한국영화계가 들썩일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최성욱 아리랑은 우리 본연의 노래이자 정서이자 문화이기도 하지요. 나운규에게도 당시 우리 민족에게도 아리랑은 한 편의 영화 이상의 의미였을 듯 합니다. 아직 실체도 전부 확인하지 못한 그 작품이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 회자되는 걸 보면 어떤 울림을 주었는지 짐작할 것도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오늘도 덕분에 어렴풋이 알던 분에 대해 알고 갑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아리랑 하면 디워 엔딩 스탭롤이 떠오릅니다. 디워 엔딩에서 나오거든요.
언제 들어도 묘한 감정의 울림을 주는 곡이죠. 아리랑.
한국 느와르에는 늘 아리랑의 흔적이 보이는 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아리랑이 이런 영화였군요. 멋진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