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자의 정신사로서의 「마음こころ」

Orca
Orca · 제국에 관한 글쓰기
2024/03/25
패자의 정신사로서의 <마음> 
<마음>은 패자의 정신을 비춘다. 1955년의 영화가 그렇다는 것이다.  
먼저, 내가 말하는 '패자의 정신사'가 야마구치 마사오가 쓴 동명의 명저가 지닌 시각과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실히 해두자. 야마구치가 말하는 패자는 메이지 시대에 살아남은 도쿠가와 막부의 관료 출신들이다. 야마구치가 묘사하는 그들의 정신은 '취미'가 그 근간에 있다. 다르게 말하면 아소비, 유희로서의 정신이다. 자신들이 섬기던 도쿠가와 가문이 권력을 빼앗기고, 더 나아가 자신들이 믿던 에도의 세계관이 산산이 부서진 것에 대해 그들은 어떤 마음을 품고 있었는가? 야마구치는 이 점을 중시하지 않는다. 그래서 등장인물들은 마음에 맺힌 곳이 하나 없는 사람들처럼 유희와 취미와 아소비에 시종한다. 그것은 그것대로 박학다식, 실사구시의 열매를 맺는다. 결론으로 야마구치는 두 가지를 지적한다. 하나는 전후 일본이 '패자의 정신사'를 배출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 '패자의 정신사'에 쇼와 일본이 주목했다면 역사가 훨씬 나았을 거라고 한다. 나는 오히려 여기서 전후세대 30년대생 학자의 전중파에 대한 대결의식이 보이는 것 같다. 또 그가 '패자의 정신사'를 지나치게 산뜻하고 맺힌 곳 없이 재현하려고 했던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 일별했을 때 내가 받은 느낌은, 장자적인 소요의 경지와 일본의 전통적인 모노노아와레의 심정과 서구의 과학실증주의가 적절히 배합되어 있다는 것이었다[1].  
내가 보고자 하는 '패자의 정신'은 무엇인가?  

"주민들이 시체를 방에서 끌어내자마자 레베까는 집 문을 모두 닫아 걸고, 세상의 그 어떤 유혹도 깨뜨릴 수 없는 두꺼운 절망의 껍질에 둘러싸여, 산 채로 집 안에 파묻혀버렸다. <방황하는 유태인>이 마을을 지나가면서 숨막히는 더위를 몰고와 새들이 방 안에서 죽기 위해 창문 철망을 뚫었던 당시, 이미 아주 늙어버린 레베까가 언젠가 녹슨 은빛 신발을 신고, 작은 꽃으로 엮은 모자를 쓰고 길거리로 나왔다. 누군가 레베까가 살아...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연극 6년, 방공통제사 3년, 석사 생활 3년
32
팔로워 3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