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石]의 어원

노영식 · 석기시대 언어학자
2023/09/08
'섬苫'의 이른 기록은 최치원崔致遠(857~?)의 《연복사비문演福寺碑文》 주注다. 유(斞:16말)에서 1말을 제한 것을 섬이라고 했다. '섬苫'이 수사 6을 표시했다.

곡물의 분량을 나타내는 단위

석(石)과 같은 단위이다. 1의 10배이다. 신라시대 부피의 단위인 섬(苫:15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최치원(崔致遠)의 《연복사비문(演福寺碑文)》 주(注)에 '유제일두위섬(斞除一斗爲苫) 십육두위유(十六斗爲斞)'라고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에는 유(斞:16말)에서 1말을 제한 것을 섬이라고 했음을 알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苫]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다우르어 수사 naim[8]. 8 = 4 x 2.
몽골어 수사 naiman[8].
 
국어 수사 서이[3], 너아[4]와 연결해 볼 만하다.
4 = 5 - 1. 국어 '하나'[1]에 '*나'[1]이 언어화석으로 남아 있다. 1인칭 대명사에도 수사 '*나'[1] 언어화석이 보인다. '서이'[3]는 어말 -i 차이를 보인다.

다우르어 수사 naim[8](8 = 4 x 2)에서 *m[2] 흔적이 보인다.
국어 '보름'[15일. 1/2월]에도 *m[2] 흔적이 보인다.
우랄어 핀란드어 수사 golme[3](= 5 - 2)에서는  '*me'[2] 흔적이 남아 있다.
일본어 수사 'mi'[3](= 5 -2)에도  '*me'[2] 흔적이 보인다.

🐮 🐄 🥛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얼룩소 시작하기

만 년 전 구대륙 인류의 신대륙 확산 이후 단절된 언어 비교로 석기 시대의 언어를 발굴한다. 특히 남미 안데스 산중 티티카카 호반의 언어와 아시아 언어를 비교한다. 각 언어 전문가 논저와 DB를 이용해 신뢰성을 높인다.
1.1K
팔로워 252
팔로잉 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