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과 상상] <인셉션>과 초현실주의
2024/03/18
영화 <인셉션>은 타인의 꿈속에 잠입해 생각을 심거나 혹은 훔쳐 오는 이들의 활약을 담았다. 데뷔작 <미행>(1998) 이후 놀란 최초의 오리지널 시나리오인 <인셉션>의 콘셉트는 따지고 보면 그렇게 새롭지 않다. 꿈의 세계에 접속해 생각을 읽는다거나 조작한다는 내용은 이미 타셈 싱의 <더 셀>(2000), 스티븐 스필버그의 <마이너리티 리포트>(2002), 미셸 공드리의 <이터널 선샤인>(2004) 등의 영화나 로저 젤라즈니의 <드림 마스터>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 등의 소설에서 다뤘다. 또한, 팀원 각자의 장기를 살린 치밀한 계획을 통해 임무를 완수한다는 설정은 <오션스 일레븐>(2011)과 같은 하이스트 무비와 닮았다. 심지어 <인셉션>은 범행을 은폐하기 위해 제삼자를 끌어들인 후 상황을 ‘조작해’ 뒤집어씌우는 <미행>의 이야기를 꿈의 구조로 번안한 것에 가깝다. (두 작품의 주인공 이름은 코브로 동일하고, 극 중 역할 또한 도둑으로 모두 같다!)
대신 크리스토퍼 놀란은 이야기를 전면에 내세우기보다 형식 속에 쌓아 올려 새롭게 만들기를 즐겼다. 시간과 공간을 교란한 편집으로 비선형적 서술을 선보였던 <미행>, 단기 기억상실증에 걸린 주인공의 처지를 관객에게 이입시키려고 7개의 에피소드를 10분씩 시간 역순으로 진행한 <메멘토>(2000), 허구의 코믹스에 사실주의를 접목한 <배트맨 비긴즈>(2005)와 <다크 나이트>(2008)까지, 놀란의 연출은 설계자의 그것과 무척이나 닮았다. <인셉션>도 내용이 아니라 형식과 구조로 승부를 보는 영화다. 꿈속을 탐구하는 영화답게, 그것도 꿈속의 꿈, 더 나아가 꿈속의 꿈속의 꿈으로 확장하며 아예 다중의 꿈을 통해 영화적인 미로를 설계한다.
극 중 미로의 구조는...
와~ 멋진 해석이네요! 그래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천재인 듯해요. 이렇게 한 영화를 두고도 여러 가지 이론과 해석을 끄집어낼 수 있으니까요. @동네청년 님께서 댓글로 달아주신 내용을 보니 <인셉션>을 또 다른 각도에서 보게 되네요. 좋은 정보와 해석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인셉션은 놀란감독의 이전 시리즈 배트맨 비긴즈, 다크나이트와 같이 융심리학이론에 상당부분 그 세계관을 의존하고 있죠. 루시드드리밍을 통해 아직 "추출"되지 않은 아키타입을 자아에 융합시킨다는 설정, 남성의 자아(콥/디카프리오)를 공격하는 것이 이상적인 여성상(영화 속 맬/마리옹 코티아르)인 것, 권력을 가진 남성상(사이토)이 원하는 바를 충족시킴으로써 그로부터 해방되는 설정이 융의 이론에서 이상적인 자아의 성장과정으로 제시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감독개인의 꿈일기 혹은 내면의 성장과정이기도 합니다.
인셉션은 놀란감독의 이전 시리즈 배트맨 비긴즈, 다크나이트와 같이 융심리학이론에 상당부분 그 세계관을 의존하고 있죠. 루시드드리밍을 통해 아직 "추출"되지 않은 아키타입을 자아에 융합시킨다는 설정, 남성의 자아(콥/디카프리오)를 공격하는 것이 이상적인 여성상(영화 속 맬/마리옹 코티아르)인 것, 권력을 가진 남성상(사이토)이 원하는 바를 충족시킴으로써 그로부터 해방되는 설정이 융의 이론에서 이상적인 자아의 성장과정으로 제시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감독개인의 꿈일기 혹은 내면의 성장과정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