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절 많던 혁명가의 파란만장한 이역만리 일생 - 주세죽

강부원
강부원 인증된 계정 · 잡식성 인문학자
2023/02/26
'조선공산당 여성 트로이카'로 불렸던 여성사회주의자 3인방이 탁족을 즐기는 사진. 고명자(왼쪽)-주세죽(중앙)-허정숙(1925년 8월 청계천) . 출처-주세죽의 딸 비비안나 개인소장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에는 ‘여성 트로이카’로 불린 사회주의 혁명가 세 사람이 있었다. 주세죽, 허정숙 그리고 고명자. 이들은 당대 가장 유명했던 여성 운동가들이자, 누구보다 시대를 앞서 살아간 신여성이기도 했다. 이들 셋은 깊은 친분이 있었으며 동지로서 서로를 신뢰했지만, 인생의 행로는 저마다 달랐다. 앞으로 3주 동안 주말판을 통해 한국의 대표적인 사회주의 여성 혁명가 세 사람의 불꽃같은 삶을 조명해보기로 한다. 

조선공산당 여성 트로이카① - 주세죽(朱世竹, 1901~1953)


심훈 소설 「동방의 애인」의 주인공, 주세죽과 박헌영
   
심훈의 장편소설 「동방의 애인」에는 ‘김동렬’과 ‘강세정’이라는 사회주의 혁명가 연인이 등장한다. 중국 상하이에서 조선 사회주의 혁명을 위해 활동하던 청춘 남녀의 사랑을 그린 이 소설은 실존 인물을 모델로 삼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주인공은 바로 ‘박헌영’과 ‘주세죽’이다. 이 소설은 당시 『조선일보』(1930. 10. 29~12. 10)에 연재됐는데, 사회주의 사상을 다루고 있었기 때문에 일제의 검열로 인해 연재가 중단되는 사태를 맞기도 했다. 작품은 끝내 미완성으로 남게 됐다.
심훈, 「동방의 애인」 1회, 『조선일보』, 1930년 10월 29일. 이 소설은 39회를 끝으로 연재가 중단된다.
박헌영(朴憲永)은 일제강점기 고려공산당 책임비서이자 해방 이후 남로당 부위원장과 북한 정권의 부수상 겸 외무상 자리에까지 오른 한국 사회주의 계열 정치지도자의 상징과도 같은 인물이다. 주세죽(朱世竹, 1901~1953)은 바로 그의 첫 번째 부인이자, 식민지 시기 여성 사회주의 운...
강부원
강부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옛날 신문과 오래된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입니다.학교와 광장을 구분하지 않고 학생들과 시민들을 만나오고 있습니다.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고 싶습니다.
172
팔로워 2.2K
팔로잉 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