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영식 · 석기시대 언어학자
2024/02/26
(1)
'쓸 데 없는 소리'는 경남에서는 '씰 데  엄는 소리'나 '실 데 엄는 소리'라고 말한다. '금실 좋은 부부'의 '금실'이 '금슬'과 어근이 같다. '닭 벼슬'을 '닭 벼실'이라고 하는 것도 같다.

(2)
'볍씨'의 '씨' 옛말이 'ㅂ시'이다. '벼'에 나타나는 '볍'에서 'ㅂ'의 흔적이 남아 있다.  
'쓰다' 옛말은 'ㅆ'가 'ㅄ'이다. 어두의 'ㅂ' 기원은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3)
고조선어 '시徥'(쓰-다 用)가 양웅의  《방언》에 보인다. 양웅은 중국 전한 시대의 학자(B.C.53 ~ A.D.18)다. 
시徥. 徥(슬슬 걷다), 用(사용하다), 行(다니다).
사용하다[用]
『고조선의 언어계통 연구』 (2018, 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

(4)
고조선어 '시徥'[用]가 한반도에 확산되어 '시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만 년 전 구대륙 인류의 신대륙 확산 이후 단절된 언어 비교로 석기 시대의 언어를 발굴한다. 특히 남미 안데스 산중 티티카카 호반의 언어와 아시아 언어를 비교한다. 각 언어 전문가 논저와 DB를 이용해 신뢰성을 높인다.
1.1K
팔로워 252
팔로잉 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