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 이문재 ㅣ 차이와 반복
2024/08/04
내가 처음 읽은 들뢰즈 책은 << 차이와 반복 >> 이었다. 하지만 들뢰즈의 << 차이와 반복 >> 은 너무 어려워서 대가리 깨지는 줄 알았다. 입문 시작부터 너무 어려운 책을 고른 것이다. 다음 해, 읽은 책은 << 의미의 논리 >> 였는데 < 차이와 반복 > 보다 2배는 난해했다. 화딱지가 난 나는 이번에는 << 천 개의 고원 >> 을 읽기 시작했는데 << 의미의 논리 >> 보다 두 배는 더 어려웠다. 언빌리버블하구만. 결국 하는 수 없이 << 앙띠 외디푸스 >> 에 도전했는데, 맙소사 ! 들뢰즈 책 중에서 가장 어려웠다. 내가 내린 결론은 < 차이와 반복 > 이 그나마 가장 쉽다는 것이었다. 이문재 시인의 시 < 사막 > 을 읽었을 때 느닷없이, 번개처럼, 화들짝, 순식간에 들뢰즈가 떠올랐다.
사막에
모래보다 더 많은 것이 있다.
모래와 모래 사이다.
사막에는
모래보다
모래와 모래 사이가 더 많다.
모래와 모래 사이에
사이가 더 많아서
모래는 사막에 사는 것이다.
오래된 일이다.
ㅡ 사막 전문, 이문재
사막은 모래로 구성된 군집체다. 멀리서 보면 하나의 사막이지만 가까이에서 보면 수없이 많은 모래가 모여서 만든 풍경이다. 거대한 사막이 주체라면 모래는 객체(客體)다. 동시에 개체(個體)다. 한줌의 모래는 낱개의 모래알 개체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 사막은 모래로 구성되었지만 모래는 모래알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시...
@서형우 그래서 창작자가 평론가 앞에서 쩔쩔매는 거죠. 서구 쪽 보세요. 전 소설가와 평론가가 어느 자리에서 우연히 만나서 주먹다짐하는 거 봤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한국 문단에서는 불가능하죠. 일단 대부분 덕담이잖아요. 주례사 비평이라고들 하던데 좋은 말만 합니다. 그러니 사이가 좋죠. 반면에 싫으면 아예 거론을 안 해요. 생까는 거죠. 생까면 한국 문단에서 결코 성공할 수 없습니다.
@악담 현대문학의 조연현부터 이어진 안 좋은 관례입니다. 평론가가 창작자보다 더 많은 스피커 파워를 가지고 있는 것... 이건 실제로 문제가 있습니다.
문학에 대한 평론이나 해설을 읽고 싶으면 이번 젊작상에 대한 'OOO의 해설' 혹은 'OO 평론 동인의 해설'을 따로 사게 만들 것이지. 꼭 같이 붙여서 팝니다.
뭐.. 저 같은 연습자 입장에서는 남들이 어떻게 해석하는지도 중요하기에 타이핑하면서 천천히 읽어보고 음미하긴 한디만, 일반독자에게 해석의 자유가 별로 없는 느낌이긴 합니다.
@서형우 저는 순(수)문학이라는 작명 자체가 웃깁니다. 순의 반대말이 불순이잖아요. 문학이야말로 불순하고 불온한 장르 아닙니까. 그래서 항상 동서양을 막론하고 분서 사태가 발생하는 것인데... 결국 문학은 불순해야 되요. 그런데 순수만을 지향하겠다니 웃긴 주장이죠. 문학 뒤에 부록처럼 평론가 해제를 붙이는 게 아마 한국 출판계만의 고유한 특징이란 생각도 들고, 등단 제도도 사실은 일본 제외하면 없습니다. 등단 제도가 있으나 작가들이 심사위원들에게 졸이 되죠. 심사위원은 왕이 되고. 보면 쪽도 못 써요. 왜? 그들의 계간지 문학상 심사위원이니까, 신형철 보세요. 이 새끼 완전 신입니다. 권희철은 어던가요. 아주 두 양반이 씹ㅇ먹고 있음. 한국 문학, 다 짜고 치는 고스톱입니다. 백 없으면 명함 못 만들어요. ㅎㅎㅎㅎ
한국의 시인들 시집 낼 때 부록으로 달리는 신형철의 해제를 받기 위해 일부러 책 출간도 미룬다지요 ? 이 얼마나 웃깁니까. 신형철이 신입니까 ? 좆도 아니던데..
악담님! 이번 여름 문확계에 거절당한 이 몸! 문확계에 대한 악담님의 비판 한 구절, 한 구절 모두에 기쁨을 느낍니다! 확, 씨!!! 나의 명작선 두 편을 받아보고도 정신을 못 차린 이 문확계!!! 확, 마!!!! 에휴!!! ㅋㅋㅋㅋ
문학에 권력이 너무 많이 작동합니다. 그래서 제 논문의 앞단은 순수문학이라는 한국 사조의 탄생 배경을 주목하며 논문을 썼죠. 당시 월북한 작가들이 많아 빈 공간이 많았던 문학계를 반공 이데올로기와 무이념성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문학 주창자들이 채웁니다. 그리고 그들은 등단제도나 비평을 통해 후진들에게 자신의 길을 따르도록 하죠. 그리고 자신의 길이 아닌 문학을 모두 순수문학이 아니라고 하죠!
문학동네는 다른 문학권력들을 비판하며 나왔으나, 결과적으로는 행동이 문지나 창비와 다를 바 없습니다...
악담님, 얼룩소가 크거든 악담님이 얼룩문학회를 주관해주셔요!!! ㅋㅋㅋㅋ 그리고 얼룩문학회는 순위와 관계없이 투명하게 작품이 공개되는 것으로!!!
@살구꽃 독자는 돈을 주고 시집을 삽니다. 그 시집을 마음대로 해석할 자유는 책을 산 독자죠. 그런데 해제 쓴 사람들이 그 시의 해석을 독점합니다. 독자는 그 해석과 다르면 오독이 되죠. 독자 모독인 셈입니다. 왜 우리가 평론가 따위의 해석에 주눅이 들어야 하죠 ? 이 세상 모든 시는 열린텍스트인데 말이죠.
와!!!! 악담님 정말 가려운데를 박박 긁어주셨습니다. 시집을 읽을 때마다 왜, 왜, 왜???
꼭 해제를 넣어야만 시집이 되는지 이해할 수 없었던 1인이에요.
이문재의 사막을 읽다가 감탄했는데 신형철 해제라 하니 왠지 배신당한 느낌. 흙 ㅠ
@살구꽃 독자는 돈을 주고 시집을 삽니다. 그 시집을 마음대로 해석할 자유는 책을 산 독자죠. 그런데 해제 쓴 사람들이 그 시의 해석을 독점합니다. 독자는 그 해석과 다르면 오독이 되죠. 독자 모독인 셈입니다. 왜 우리가 평론가 따위의 해석에 주눅이 들어야 하죠 ? 이 세상 모든 시는 열린텍스트인데 말이죠.
@서형우 저는 순(수)문학이라는 작명 자체가 웃깁니다. 순의 반대말이 불순이잖아요. 문학이야말로 불순하고 불온한 장르 아닙니까. 그래서 항상 동서양을 막론하고 분서 사태가 발생하는 것인데... 결국 문학은 불순해야 되요. 그런데 순수만을 지향하겠다니 웃긴 주장이죠. 문학 뒤에 부록처럼 평론가 해제를 붙이는 게 아마 한국 출판계만의 고유한 특징이란 생각도 들고, 등단 제도도 사실은 일본 제외하면 없습니다. 등단 제도가 있으나 작가들이 심사위원들에게 졸이 되죠. 심사위원은 왕이 되고. 보면 쪽도 못 써요. 왜? 그들의 계간지 문학상 심사위원이니까, 신형철 보세요. 이 새끼 완전 신입니다. 권희철은 어던가요. 아주 두 양반이 씹ㅇ먹고 있음. 한국 문학, 다 짜고 치는 고스톱입니다. 백 없으면 명함 못 만들어요. ㅎㅎㅎㅎ
한국의 시인들 시집 낼 때 부록으로 달리는 신형철의 해제를 받기 위해 일부러 책 출간도 미룬다지요 ? 이 얼마나 웃깁니까. 신형철이 신입니까 ? 좆도 아니던데..
@서형우 그래서 창작자가 평론가 앞에서 쩔쩔매는 거죠. 서구 쪽 보세요. 전 소설가와 평론가가 어느 자리에서 우연히 만나서 주먹다짐하는 거 봤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한국 문단에서는 불가능하죠. 일단 대부분 덕담이잖아요. 주례사 비평이라고들 하던데 좋은 말만 합니다. 그러니 사이가 좋죠. 반면에 싫으면 아예 거론을 안 해요. 생까는 거죠. 생까면 한국 문단에서 결코 성공할 수 없습니다.
@악담 현대문학의 조연현부터 이어진 안 좋은 관례입니다. 평론가가 창작자보다 더 많은 스피커 파워를 가지고 있는 것... 이건 실제로 문제가 있습니다.
문학에 대한 평론이나 해설을 읽고 싶으면 이번 젊작상에 대한 'OOO의 해설' 혹은 'OO 평론 동인의 해설'을 따로 사게 만들 것이지. 꼭 같이 붙여서 팝니다.
뭐.. 저 같은 연습자 입장에서는 남들이 어떻게 해석하는지도 중요하기에 타이핑하면서 천천히 읽어보고 음미하긴 한디만, 일반독자에게 해석의 자유가 별로 없는 느낌이긴 합니다.
와!!!! 악담님 정말 가려운데를 박박 긁어주셨습니다. 시집을 읽을 때마다 왜, 왜, 왜???
꼭 해제를 넣어야만 시집이 되는지 이해할 수 없었던 1인이에요.
이문재의 사막을 읽다가 감탄했는데 신형철 해제라 하니 왠지 배신당한 느낌. 흙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