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 라이브즈, 12+12=0
2024/05/03
소년소녀 노라와 해성은 헤어진다. 12년 후 영상 통화로 다시 이어진다. 다시 헤어진다. 노벨문학상을 꿈꾸던 노라는 뉴욕에서 작가로 성공하고 싶었다. 영화감독 아빠와 화가 엄마 사이에서 태어난 생명체에게 충분히 어울릴만한 비전이었다. 작가 커리어에 몰두하려는데 갑자기 자기를 찾는 해성은 장애물이었다. 자꾸 해성에게 가고 싶었고 비행기 티켓을 끊고 싶었다. 해성은 과거의 조각이었고 뭉클한 기억이었으며 일종의 안전한 보상처럼 보였다. 하지만 동시에 작가로서 노라를 미래의 퓰리처상 수상자 명단에서 지울지도 모르는 침입자였다. 헤어짐을 선언하기에는 그럴듯한 이유였다. 그리고 12년 후 노라(그레타 리)와 해성(유태오)은 다시 만난다. 전생에 8천 겹의 인연 어쩌고... 이러면서.
12+12년 만에 만난 노라와 해성. 노라는 남편이 있었고 해성은 여자친구가 있었다. 할리우드 로맨틱 스토리의 익숙한 패턴이었다면 둘은 만나자마자 화염에 불타오르며 시공간이 낮의 공원에서 밤의 호텔로 뒤바뀌고 서로를 벽과 바닥으로 마구 밀치며 격정적이고도 가슴 아린 표정과 액션으로 엉키다가 새벽을 맞이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사실 각자 현재의 옆사람은 아쉬운 점이 많고 (그들이 각각 원고를 훔치거나 사기 행각을 벌인 빌런이면 더...
Copywriter. Author.
『저항 금기 해방-여성영화에 대하여』, 『너의 시체라도 발견했으면 좋겠어』, 『도로시 사전』, 『광고회사를 떠나며』, 『저녁이 없는 삶』 등을 썼다.
신춘문예 단편소설 당선. sk0279@naver.com
@서형우 그렇게 해석될 수도 있겠네요.
@백승권 글쎄요. 저는 사실 그 영화를 완벽한 로맨스 영화라고 생각하지 않은 것 같아요. 노라 입장에서 보면, 해성은 서울에 두고 왔던 과거, 그리고 과거에 가졌던 퍼스널리티의 흔적이라고 느껴졌어요. 해성이 노라를 찾는 것은 첫사랑에 대한 노스텔지어일 수 있겠지만. 노라가 해성을 향하는 감정은, 고향에서의 삶에 대한 그리움처럼 느껴졌어요.
마지막 장면에서 노라가 엉엉 우는 걸 남편이 꼭 안아주는 건, 남편도 이민자인 노라의 혼란을 알기 때문에 그렇게 꽉 끌어안아줄 수 있다고 생각했죠.
@서형우 이민자 입장에서는 그렇게 해석될 수도 있겠네요. 저는 24년만에 마주한 사람을 사랑으로 정의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이 있었습니다. 착각으로 보였어요.
저는 패스트라이브즈, 전생이 내가 이민 이전에 두고 왔던 삶에 대한 대구라고 생각했습니다. 미국적인 퍼스날리티를 갖게 된 노라는 다른 사람이 되었고, 그렇기에 전생에는 인연이었으나, 현재는 인연일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했어요. 이민자의 두 갈래로 나뉜 삶 속에서 겪는 혼란, 그런 것에 관한 영화라고 생각했습니다.
@서형우 그렇게 해석될 수도 있겠네요.
@백승권 글쎄요. 저는 사실 그 영화를 완벽한 로맨스 영화라고 생각하지 않은 것 같아요. 노라 입장에서 보면, 해성은 서울에 두고 왔던 과거, 그리고 과거에 가졌던 퍼스널리티의 흔적이라고 느껴졌어요. 해성이 노라를 찾는 것은 첫사랑에 대한 노스텔지어일 수 있겠지만. 노라가 해성을 향하는 감정은, 고향에서의 삶에 대한 그리움처럼 느껴졌어요.
마지막 장면에서 노라가 엉엉 우는 걸 남편이 꼭 안아주는 건, 남편도 이민자인 노라의 혼란을 알기 때문에 그렇게 꽉 끌어안아줄 수 있다고 생각했죠.
@서형우 이민자 입장에서는 그렇게 해석될 수도 있겠네요. 저는 24년만에 마주한 사람을 사랑으로 정의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이 있었습니다. 착각으로 보였어요.
저는 패스트라이브즈, 전생이 내가 이민 이전에 두고 왔던 삶에 대한 대구라고 생각했습니다. 미국적인 퍼스날리티를 갖게 된 노라는 다른 사람이 되었고, 그렇기에 전생에는 인연이었으나, 현재는 인연일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했어요. 이민자의 두 갈래로 나뉜 삶 속에서 겪는 혼란, 그런 것에 관한 영화라고 생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