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키우기 어렵다?’ 육아 예능이 만든 이미지
2023/12/04
By 김영주 alookso 에디터
지난 7월, 한반도 미래인구연구원이 엠브레인에 의뢰해 2030 미혼 남녀에게 출산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를 물었다. 남성은 ‘자녀 교육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서’(43.6%),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41.5%) 순으로 답했다. 반면 여성은 ‘육아에 드는 개인적 시간·노력을 감당하기 어려워서’(49.7%), ‘자녀를 바르게 양육할 자신이 없어서’(35.1%) 순이었다. 남성은 경제력의 부담, 여성은 시간과 노력의 부담을 느낀다는 결과다.
지난 7월, 한반도 미래인구연구원이 엠브레인에 의뢰해 2030 미혼 남녀에게 출산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를 물었다. 남성은 ‘자녀 교육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서’(43.6%),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41.5%) 순으로 답했다. 반면 여성은 ‘육아에 드는 개인적 시간·노력을 감당하기 어려워서’(49.7%), ‘자녀를 바르게 양육할 자신이 없어서’(35.1%) 순이었다. 남성은 경제력의 부담, 여성은 시간과 노력의 부담을 느낀다는 결과다.
앞선 인터뷰에서 만난 엄마들의 생각도 비슷했다. 6세 자녀 한 명을 양육 중인 정유진 씨는 “한 명을 공들여 잘 키우고 싶은 부모가 많다”며 “아이에게 필요한 시간, 체력, 경제력 등 자원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7세 외동 자녀를 양육 중인 하서연 씨(가명)는 “딸에게 해줘도 해줘도 부족한 느낌이 든다”며 “둘째에게 첫째만큼 못해줄 것 같다”고 했다.
아이 한 명에게 드는 돈과 시간이 늘어났다. 왜 이렇게 됐을까? 베스트셀러 육아지침서인 <삐뽀삐뽀 119 소아과>의 저자 하정훈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에게 물었다. 하정훈 전문의는 방송 프로그램과 정부 정책이 ‘육아는 힘들기만 한 것’이라는 이미지를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 “애 키우는 건 손해? 전 국민 가스라이팅” 하정훈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아이 키우는 건 힘든 게 맞다. 그러나 애 낳아보지도 않은 사람들이 애 키우기 힘들다고, 어렵다고 말하는 건 비정상적이다. 방송 프로그램이 그런 이미지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전 국민 상대로 ‘애 키우면 힘들고 손해’라고 가스라이팅(심리적 지배)하고 있는 셈이다.
육아란 처음엔 힘들어도 익숙해지면 재밌어진다. 그러나 방송에서 그것까지 보여주진 않는다. TV에 나오는 육아법 상당수는 문제가 있는 애를 다루는 방법이다. 그 애한테는 맞을 수 있지만 대다수의 경우는 그 방법을 사용하면 도리어 키우기 더 힘들어진다. 오히려 문제가 될 수도 있다.
2020년부터 채널A에서 방영 중인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는 아이들의 문제적 행동에 ‘솔루션’을 처방한다. 실제로 하서연 씨는 TV에서 본 방법을 따라한 적이 있다고 했다.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새끼>처럼 MBN <고딩엄빠>도 어린 나이에 육아를 하며 맞닥뜨리는 문제 상황을 자극적으로 보여준다는 비판이 있다.
- “문제아만 보여주면, 불안감 조성해” 하정훈 전문의
방송은 5% 잘못된 아이를 보여주며 불안을 부추긴다. 문제 없는 아이를 키우는 사람이 95%인데. 이러면 특수한 경우를 일반화하기에 부모는 애가 잘못될까 봐 자꾸 망설이고 자신감도 없어진다.
예전부터 TV 출연 제의를 거절해온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데 방송국에서는 자꾸 잘못된 상황을 고치는 걸 하자고 한다. ‘그런 거 하지 말고 문제 없는 애를 잘 키우자’고 여러 차례 말해왔다.
그렇다면 잘 키우는 모습을 보여주는 ‘육아 예능’은 어떨까. 2013년에 방영했던 MBC <아빠! 어디가?>, 현재도 방영 중인 KBS <슈퍼맨이 돌아왔다>가 대표적이다. 현실 육아보다 아이들의 귀여운 순한 모습을 주로 보여주는 특징이 있다. 수많은 랜선 이모·삼촌(인터넷으로 보는 아이를 조카처럼 대하는 사람)을 만들며 재미와 감동을 준다.
- “연예인 보면, 육아에 돈 많이 필요할 것 같아” 하정훈 전문의
방송이 만든 이미지 때문에 요즘 부모들은 자식한테 자꾸 더 해주고 싶어한다. 전부 다 해주거나 뭘 더 사줘야 잘 키우는 것으로 착각한다. 아무것도 없이 잘 키우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 보니 이미지가 그려지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저런 비싼 육아템을 사려니 경제적 부담은 더 커진다. 연예인이 아닌 보통 사람을 보여줘야 한다. 특별한 이벤트가 아니어도 일상을 재밌게 보내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하정훈 전문의는 긍정적인 모습만 비추는 육아 예능이 오히려 육아하기 어려운 현실을 만들었다고 지적한다. 이를테면, 출산 전인 사람이 ‘아이를 키우려면 저 정도 넓은 집은 있어야 하는구나’라고 인식하게 만드는 식이다. 육아 중인 사람에게는 상대적 박탈감과 위화감을 줄 수도 있다.
종합하면 일반인이 출연하는 프로그램은 문제 있는 상황을 보여주고, 연예인이 출연하는 프로그램은 여유 있는 가정 생활을 보여준다. 둘 다 평범한 일반 가정의 모습은 아니다.
정부가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미디어를 통제하고 이런건 좀 위험하겠지만
결혼과 출산 육아와 관련된 미디어는 뭐라 욕먹어도 통제 좀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국가 존속과 관련된건데 지금 결혼육아 프로그램은 때려잡았으면 좋겠어요
방송이 다 망쳐놓은 것 같아요. 그런거 보고 누가 결혼하고 싶겠어요?.....
공감되는 부분도 있고 아닌 부분도 있는데, 금쪽이 같은 프로그램 보고 따라했는데 안되거나 더 나빠졌다 말하는 사람들 보면, 방송에 나오는 수많은 이야기 중에서 한 문장만 기억하고 맥락없이 그낭 따라한 경우가 거의 다입니다...본인도 말한 것처럼 아이마다 다르다면, 무작정, 그것도 단편적으로 따라하기 전에 생각을 했어야해요. 우리 애는 어떻지 고민을 했어야해요. 그리고 애초에 내가 방송에서 나온 그 내용을 제대로 이해한게 맞는지도 고민했어야 해요. 글이 적힌 사례에서, 저 분이 "아이가 감정이 격해지면 혼자 정리할 시간을 줘야한다"는 내용을 보고 알아서 그치게 방에 혼자 놔두는데서 끝났다면 그건 방치가 맞습니다. 방송에서 나온 솔루션을 단편만 이해한거예요. 아이가 감정이 격해져 울고불고화내고 할때 혼자 정리할 시간을 줘야한다는건, 아이들은 감정 컨트롤도 힘들고 자기가 지금 감정이 격해진 이유를 생각하는데에 어른보다 시간이 들며, 그걸 또다시 말로 설명하고 표현할 방법을 생각하는데에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결국 양육자가 아이와 해야하는건 옳고 그름을 설명하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해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함께 찾아보자는 대화인데, 감정이 격한 상태에서는 그걸 할수 없으니 스스로 정리하고 생각해볼수 있게 조금 기다려주라는 거예요. 기다린 뒤에 아이가 진정되면 다시 다가가서 진정했음 이제 차분이 얘기해보자고 하던가, 아니면 애초에 너 뭐땜에 화가 났는지 그리고 그걸 엄마한테 어떻게 설명할지 잘 생각해보고, 진정하고 차분히 말할수 있을거 같을때 다시 와서 얘기해 라고 하고 자리를 피해줬어야합니다. 방송에서도 그렇게 말하지, 놔두고 방치하라고 하지 않아요. 그냥 양육자 본인이 이해를 잘못 했고 방송에서 하는 설명도 대충 들어 단편적인 정보 밖에 못 얻었는데, 그 와중에 깊은 생각 없이 무지성으로 따라하기만 한겁니다. 이런 분들 답답해요...애 키우는 어른이, 아무리 여유없고 바쁘대도 최소한의 필요한 생각조차도 깊이 안하는 경우가 많이 보여요. 본인이 그래놓고 잘 안되면 방송을 욕하고. 진짜 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그런 사람들이 과연 소아과에서 상담한다고 제대로 될것 같은가요? 정보를 말해주는 사람과 장소가 바뀐것 뿐 또 제대로 안듣고 이해 못하면 도루묵이죠.....
그리고 한 가지, 소아과에서 육아 상담을 하라는 얘기입니다만, 단순히 아이의 건강을 챙겨주는 것과 육아, 양육은 아예 다른 영역입니다. 그 소아과의 의사가 아동청소년 심리나 정신의학까지 전문가/전문의 자격을 가진게 아닌 이상 어떤 상담을 해줄수 있는지 굉장히 의문이네요. 아이가 건강하려면 어떻게 먹이는게 좋을까요? 같은 질문에는 어떻게든 영양에 도움이 될 식단을 조언해준다거나 할수 있겠지만, 아이가 뭐가 안되면 울기만 하는데 왜그러는건지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모르겠어요. 같은 질문에 대답을 할수 있나요? 좀 납득이 안 됩니다.
아이 키우는 입장에서 공감 가는 부분 많은 글입니다. 미디어에서의 이미지가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부분은... 그럴 법 하기도 하면서 정말 그럴까 싶기도 한데요. 개인적으로 출산 기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양육 부담의 남녀 격차가 아닐까 싶어요. 남편들이 육아와 가사에 참여를 너무 안 해요. 생각보다 심합니다. 물론 하려면 노력이 필요하고 많은 걸 포기해야 하는데(하지만 그 이상의 기쁨이 있는데) 그걸 안 해요. 일을 해서가 문제가 아니라, 일 끝나 집에 들어와서도 안 해요. 아내도 똑같이 일하고 퇴근했는데 아내는 해도 남편은 안 해요. 저녁이나 주말에 조금 놀아주면 그걸로 할 일 다 했다고 생각해요(그래서 아마 안 한다고 생각 안 할 겁니다). 그리곤 자신의 취미나 사회 활동 이런 건 포기하지 않습니다. 그런 사람이 아주 많습니다. 아이가 태어나면 정말 필수적인 일 제외하곤 나머지 시간은 온전히 가정에 쏟아야 하고, 그게 다시 오지 않을 기쁜 시간이란 것도 알아야 하는데, 안 그런 분들이 많습니다. 뭐 이게 하루 이틀 일도 아니고 오히려 지금은 조금씩 나아지는 추세라고 보면 왜 최근 더 출산률이 떨어졌는지를 설명하진 못할텐데... 생각이나 눈높이를 못 쫓아간다면 그럴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요. (글고 영어 유치원... 할말하않)
가려운 곳을 긁어준 글입니다.
아이 키우는 입장에서 공감 가는 부분 많은 글입니다. 미디어에서의 이미지가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부분은... 그럴 법 하기도 하면서 정말 그럴까 싶기도 한데요. 개인적으로 출산 기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양육 부담의 남녀 격차가 아닐까 싶어요. 남편들이 육아와 가사에 참여를 너무 안 해요. 생각보다 심합니다. 물론 하려면 노력이 필요하고 많은 걸 포기해야 하는데(하지만 그 이상의 기쁨이 있는데) 그걸 안 해요. 일을 해서가 문제가 아니라, 일 끝나 집에 들어와서도 안 해요. 아내도 똑같이 일하고 퇴근했는데 아내는 해도 남편은 안 해요. 저녁이나 주말에 조금 놀아주면 그걸로 할 일 다 했다고 생각해요(그래서 아마 안 한다고 생각 안 할 겁니다). 그리곤 자신의 취미나 사회 활동 이런 건 포기하지 않습니다. 그런 사람이 아주 많습니다. 아이가 태어나면 정말 필수적인 일 제외하곤 나머지 시간은 온전히 가정에 쏟아야 하고, 그게 다시 오지 않을 기쁜 시간이란 것도 알아야 하는데, 안 그런 분들이 많습니다. 뭐 이게 하루 이틀 일도 아니고 오히려 지금은 조금씩 나아지는 추세라고 보면 왜 최근 더 출산률이 떨어졌는지를 설명하진 못할텐데... 생각이나 눈높이를 못 쫓아간다면 그럴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요. (글고 영어 유치원... 할말하않)
가려운 곳을 긁어준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