뒹구르르
교수님 논문은 다음 달에 보내드릴..
미디어와 사회 이슈에 관심 많은 saram, 아니 대학원생.
답글: [투표] 공기업 등 공공기관을 비수도권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답글: [투표] 공기업 등 공공기관을 비수도권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선지가 약간 극단적이어서 댓글을 달아봅니다.
개인적으로는 마강래 교수님의 저작들에서 주장해왔전 지방분산과 수도권 집중의 중간 형태인 압축개발이 현재 한국에게 선지가 될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 지방도시 살생부. 2017년 10월
- 지붕분권이 지방을 망친다. 2018년 11월
- 베이비부머가 떠나야 모두가 산다. 2020년 3월
한국의 인구는 2020년부터 이미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적으로 국토균형발전을 추구하면 이도저도 아닌 중구난방의 발전이 되풀이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지방도시 살생부에서는 일본의 사례를 들어서 지방균형발전이 어떻게 망했는지를 보여주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읽은지 오래되서...)
수도권 집중으로 형성된 클러스터의 긍정적인 부분 최대한 유지하고, 이를 수도권 밖으로 퍼뜨릴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하면서 동시에 인구 과밀 및 경쟁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답글: ‘이대남’이 ‘이대녀’보다 33만명 더 많다고?
공공부문 연구 용역의 복수 발주를 의무화하자.
서평, 개소리는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
공공과 민간, 줄다리기의 대한민국
대중 매체의 변화로 바라본 MZ세대
'문송'은 청년 세대 문제의 시발점이었을까?
한국보다 해외,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의 성장세가 기대된다.
로켓배송이 가능한 지역에 살자.
1. 기술 발전은 사회에는 선이지만, 개인한테는 악인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