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moh.neoyo
[분자생물학 역사 이야기] 3. 단백질의 사정
[과학 학술저널 이야기] 7(완). 저널과 과학 논문의 미래
[과학 학술저널 이야기] 6. 오픈 억세스의 명과 암 : 메가 저널과 약탈적 저널
[과학 학술저널 이야기] 6. 오픈 억세스의 명과 암 : 메가 저널과 약탈적 저널
오픈 억세스의 탄생지금은 과학 저널을 인터넷을 통하여 온라인으로 보는 것이 보통이지만,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과학 저널을 보는 방법은 대학이나 연구 기관의 도서관에서 구독중인 저널 (종이 책) 을 찾아보는 것이었다. 최신호가 아닌 이전의 저널에 실린 연구 결과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제본되어 도서관 서고에 있는 저널을 직접 찾아 원하는 권호수와 페이지의 논문을 찾아 복사신청하여 보는 방식이었다.그러나 인터넷 보급이 급격히 늘어난 1990년대 말 이후 대부분의 저널은 급속히 온라인화되었으며 저널의 내용을 온라인으로 찾아보는 것이 일반적인 일이 되었다. 그렇다면 저널 사이트에 접속하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어디서건 논문을 찾아볼 수 있을까? 거의 대부분의 과학 저널에서는 해당 저널을구독하는 기관에서만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논문을 볼 수 있도록 제한을 걸었다. 그 결과 저널을 구독하지 않는 기관에 소속된 사람은 설사 자신이 저자라고 할지라도 자신의 논문을 온라인에서 볼 수...
[과학 학술저널 이야기] 5. 논문 및 연구자 기반의 평가기준
[과학 학술저널 이야기] 4. 과학 저널 서열화, 임팩트 팩터, 과학의 왜곡
[과학 학술저널 이야기] 3. 프리프린트와 오픈 사이언스는 저널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과학 학술저널 이야기] 3. 프리프린트와 오픈 사이언스는 저널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프리프린트
사실 논문을 작성하여 저널에 투고하기 전 논문 원고를 동료 학자들에게 보내 회람하여 코멘트를 듣는 일은 현재의 ‘프리프린트’ 라는 단어가 일반화되기 전부터 흔한 일이었다. 가령 로절린드 프랭클린은 DNA 연구를 접고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연구를 해서 논문을 투고하기 전에 프랜시스 크릭이나 왓슨과 같은 사람들에게 초고를 보여주고 코멘트를 들었으며, 다른 과학자들도 마찬가지였다. 1960년대에는 미국 국립보건원을 중심으로 하여 출판전 원고를 회람하는 ‘정보 교환 그룹’ (Information Exchange Group, IEG) 이라는 모임이 존재하기도 하였다. (IEG는 1960년대 말, 당시 세력을 키워가던 상업 출판사 및 저널을 발행하는 학회의 반발에 의해 없어졌다. 이들은 출판 이전에 공개된 원고는 출판하지 않는다는 규칙을 세워 과학자들의 원고 공개 회람을 막았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형식의 프리프린트는 인터넷의 탄생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1980...
[과학 학술저널 이야기] 2. 과학 정보 전달을 지체시키는 현행 저널 체계
[과학 학술저널 이야기] 1. 과학 저널이 거대 출판사에 지배되기까지
[분자생물학 역사 이야기] 2. DNA는 왜 오랫동안 듣보잡 물질 취급받았나
[분자생물학 역사 이야기] 1. 그리피스와 에이버리는 왜 폐렴균을 가지고 실험했을까?
[분자생물학 역사 이야기] 1. 그리피스와 에이버리는 왜 폐렴균을 가지고 실험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