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준
동남아에 관심이 많습니다.
베트남에 살았습니다. 동남아와 특히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는 국가들에 관심을 주고 있습니다. 여행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던지길 좋아합니다.
컨테이너선 소개 ③ Top 20 선사 순위, 선사별 선복량, 대형화 추세 중심으로
컨테이너선 소개 ③ Top 20 선사 순위, 선사별 선복량, 대형화 추세 중심으로
안녕하세요,
컨테이너선 개요의 마지막 챕터를 소개합니다. 이번 챕터에는 컨테이너 선사 순위, 선사별 선복량, 그리고 대형화 추세 위주로 풀어보겠습니다.
1. Top 20 선사 순위
ttps://alphaliner.axsmarine.com/PublicTop100/
알파라이너(Alphaliner)에서 무료로 볼 수 있는 선사별 순위입니다. 위의 링크로 들어가면, 선사별100위까지 볼 수 있습니다.
한 눈에 띄는 것은 바로, 1위 선사인 MSC의 공격적 전략입니다. 이미 총 선복량 기준 460만 TEU로 세계 1위이나, 가지고 있는 발주 잔량만 180만 TEU로 이 선박을 모두 인수시에는 640만 TEU이상의 운용 선대를 가지게 됩니다.
2위 선사인 Maersk가 총 선복량 대비해서 약8%의 발주 잔량만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서, MSC는 39%나 잔량을 가지고 있어 두 선사의 전략이 매우 상이함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두 선사의 정반대 전략이 2M의 해...
그 많던 동맹국은 왜 모두 떨어져 나갔을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되돌아보는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해체와 동유럽의 지정학적 변화
그 많던 동맹국은 왜 모두 떨어져 나갔을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되돌아보는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해체와 동유럽의 지정학적 변화
우리는 전쟁을 원하지 않지만 만일 적이 또다시 평온을 깨뜨린다면, 우리는 평화와 행복을 지키기 위한 비장하고 정의로운 전쟁의 준비에 나서리라. 공격에는 공격으로 되받아치리라. 헝가리,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 불가리아의 전사들이 소련 군대와 더불어 적을 향해 일격을 날릴 것이다.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기구가인 '동맹군의 노래(Песня объединённых армий)는, 소련이 서방 세계의 위협을 받는다면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 동유럽의 바르샤바 조약기구 가맹국들이 소련을 도와 그들을 격파하겠다는 가사를 담고 있다. 실제로도 이들은 나토와 바르샤바 조약기구 사이에 전면전이 발발할 경우 소련군이 세운 작전계획에 따라 나토 가맹국들과의 전투에서 정해진 역할을 수행하게끔 규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 이들 국가들 중 옛 소련의 직계 후신이라 할 수 있는 러시아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이는 친러시아 국가는 한 나라도 없다. 사실 동...
필리핀 대선 리뷰 - 독재자의 아들 '봉봉'에 열광한 이유
우크라이나의 동서 지리적 스케일: 왜 우크라아니 동부는 친러, 서부는 친서방 성향을 갖게 되었을까?
우크라이나의 동서 지리적 스케일: 왜 우크라아니 동부는 친러, 서부는 친서방 성향을 갖게 되었을까?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에서 오늘날 이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이르기까지, 우크라이나는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지역으로 자리매김해 오고 있다. 그리고 돈바스 등 우크라이나 동부는 친러시아 성향, 키이우를 비롯한 서부는 친서방 성향이 강하며, 푸틴은 돈바스의 친러 분리주의자들을 지원하여 이미 2014년 크림반도 병합 직후부터 우크라이나에서 사실상 하이브리드 전쟁을 이어 왔다.
그런데 우크라이나 동부와 서부가 왜 그처럼 정치적으로 극명하게 상충하는 성향을 갖게 되었을까? 물론 우크라나 동부는 러시아에, 서부는 서방에 지리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그렇다고 설명할 수도 있다. 하지만 단순히 지리적인 인접성 때문에 우크라이나 동부와 서부가 각각 친러, 친서방 성향을 갖게 되었다는 설명은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당장 인접국 간에 사이가 극히 나쁘거나 분쟁이 이어지는 경우는 국제사회에서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지 않은가?
키예프 공국이 13세기에 멸망한 뒤, 우크라이나는...
지난 봄의 걸음걸이 ‘초속 55cm’
'질 좋은 임대주택'이란 무엇일까
단어 선택의 중요성, 폭망일까요 정말?
일본의 "갑툭튀 어린이" 간판과 한국의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