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섬
항해사
지식의 바다를 밀고 나갑니다.
‘점성 자본주의’의 확산과 ‘양서류형 인간’의 탄생
밖으로 나가 다시 집으로 돌아오기, 근대 지식인의 회귀 방식 -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밖으로 나가 다시 집으로 돌아오기, 근대 지식인의 회귀 방식 -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밖으로 나가 다시 집으로 돌아오기, 근대 지식인의 회귀 방식 -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1930년 일제강점기의 경성을 배경으로 하며, 소설가 구보씨가 ‘집-길(거리)-집’의 회귀 구조 속에서 드러나는 그의 내적 갈등과 주체성 찾기가 그 주요 내용이다. 소설은 길 위에서의 파편적인 구보의 경험과 상상 그리고 감상을 나열하면서도 통일감 있게 읽혀지는데, 그 이유는 ‘구보’의 시선이 일관된 관찰자 시점으로 서술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독자는 이를 자연스럽게 따라가면서 이야기에 몰입할 수 있다. 더불어 구보의 관찰자적 시선은 서술자에 의해서 다시 한번 관찰되어 서술되는데, 이는 근대공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길’에 대해 일정한 거리감을 두고 보는 구보의 심리나 태도를 효과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한다.
소설의 첫 부분이자, 어머니와 ‘구보’와의 대화로 구성되는 장면에서는 구보의 신상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는...
식민지 도시 지식인의 하루와 내면 풍경 - 박태원,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식민지 도시 지식인의 하루와 내면 풍경 - 박태원,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식민지 도시 지식인의 하루와 내면 풍경 - 박태원,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은 일제강점기 시대를 살아가는 한 소설가의 하루를 그린 소설이다. 소설가 구보는 정상적이 아닌 파행적인 근대로 치닫고 있던 식민지 치하에서 소외된 예술가(혹은 지식인) 의식을 보이는 인물이다. 그는 항상 고독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몸 상태, 정신 상태를 가지고 대체 얼마만한 일을 하겠다는 것인지에 대해 항상 회의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당시 시대 배경 상 예술가로서 소외된 삶을 살아가고 있기 때문인지, 얼핏 보기에 자존감이 상당히 낮아보이기도 한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구보에 대해 특이하다고 생각한 점은 소설의 초반부부터 중반부까지 보인 그의 태도이다. 그는 항상 고독하다고 생각하는 와중에, 여러 가지 관심을 보이는 것들이 있다. 하지만 그 관심은 관심에서 그칠 뿐 더 이상 나아가지 않는다. 아니, 나아가려고 시도 조차 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
친밀한 적들을 상대하는 법 - 이태준, <제2의 운명>
(종결)소시민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각자 나름의 논리 - 이호철의 <소시민>
(종결)소시민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각자 나름의 논리 - 이호철의 <소시민>
(종결)소시민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각자 나름의 논리 - 이호철의 <소시민>
부적응으로 인하여 죽음에 이르는 사상가도 아니고, 생활력의 화신도 아닌, 그럼에도 자신 만의 논리로 삶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신씨는 상당히 독특한 인물 유형이다. 그는 세상에 무던하게 사는 사람처럼 보이는데, 그는 반 넘어 능숙한 일본말을 사용하고 왜정 때의 이야기를 곧잘 늘어놓는다. 현실에 살기보다는 과거의 기억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그려지는 것이다. 이러한 인물형은 이 작품이 쓰일 1964 굴욕적인 한일협정과도 맥을 같이하여 일재의 잔존을 보여준다. 화자 ‘나'는 과거 일제 시기를 회상하는 그의 말에 거부감을 느끼면서도, 신씨의 삶 자체를 부정하진 않는 모습을 보인다.
다음으로 안온한 불빛을 내뿜는 곳이자, 인물들의 삶의 터전이 되는 완월동 제면소 주인 가족들은 세상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의식하기보다는 그저 주어진 대로 살아가는 양상을 보인다. 주인은 미국 자본주의...
사라지는 존재들: 이데올로기 - 이호철의 <소시민>
1950년대 부산: 급격한 변동의 소용돌이 - 이호철의 <소시민>
시장과 법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안수길, 김남천 그리고 카프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