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에 당선되는 극본쓰기 08 : 오프닝 2

이기원
이기원 인증된 계정 · 드라마작가, 소설가, 스토리 컨설턴트
2023/08/04

다양한 오프닝 씬들을 통해 감을 잡도록 하자. 


지난 강의에서 나는 오프닝 시퀀스에 대한 기준(?)을 제시했다. 동시에 어떻게 써야 하는지,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하는지도 말했다. 하지만 그걸 알려줬다고 해서 당신이 오프닝 시퀀스를 잘 구현해 내리라는 보장이 없다. 그래서 당신은 아마도 아하, 그렇구나 하는 선에서 내 다음 강의를 기다렸을지도 모른다. 근데 그러면 분명히 실력이 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내 강의가 올라오면, 그것을 즐기는 선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아주 뽕을 뽑아서 당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뼈에 새겨서 잊지 말아야 하고, 영어회화하듯 달달 외워 몸에 육화 시켜서 극본을 집필할 때 자동으로 튀어나오게 해야 한다. 

나는 작법을 강의하면서 그 내용을 공식으로 만드는데 신경을 많이 써왔다. 연재하는 글에서 굵은 글씨로 표현되는 것이 대부분 그런 것들이다. 그런 극본 공식을 달달 외우고, 그 공식으로 극본 또는 영상을 보는 훈련을 하면 구조들이 훨씬 잘 보일 것이다. 영문법을 공부하면 영어 구조가 잘 보이듯 말이다. 

극본 쓰기에서 작법은 어떤 외국어의 문법과도 같다. 그 외국어에 유창해지면 문법을 공부하고, 예문을 수도 없이 읽고 말해봐야 한다. 이번 강의는 지난 회차 오프닝 시퀀스 강의의 주요 예문과도 같은 성격의 글이다. 

오프닝 시퀀스에서는 주인공이 어떤 캐릭터이거나, 또는 어떤 상황에 처했거나를 보여줘야 한다.     


보통 두 가지가 다 들어가 있지만, 작가의 의도에 따라 한 가지가 강조된다. 

그리고 너무 중요해서 다시 한번 강조하는 의미로.

주인공은 꿈(목표)이 있어야 하고, 선택하고 행동함으로써 캐릭터를 드러내야 한다. 



바로 시작한다. 
하우스 오프 카드 공식 포스터

<하우스 오브 카드>


<하우스 오브 카드>는 초기 넷플릭스를 하드 캐리한 정치 드라마로 데이비드 핀처 감독이 케빈 스페이시를 내세워 연출한 명작 드라마이다. 사악하기 이를 데 없는 주인공 프랭크가 권모술수를 써서 정적을 제거하며 권력을 향해...
이기원
이기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취미는 작법 연구. <하얀 거탑>, <제중원> 집필. 드라마를 베이스로 ‘세상의 모든 작법’ 을 쉽고 분명하게 알려 드립니다. ‘공모에 당선되는 극본 쓰기’, ‘원포인트레슨’, ‘작가가 읽어주는 작법책’ 등등이 연재됩니다 이메일 keewon77@naver.com
67
팔로워 3.9K
팔로잉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