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누스와 무슈김 - 김수근과 김중업
2023/01/24
<설 특선> #1 책 - 헝그리 플래닛 : 간신히 먹기 또는 각별히 먹기
<설 특선> #2 영화 - 뽕 : 식민지 조선 농촌이라는 로컬리티와 토속적 성(性)
<설 특선> #3 게임 - 게임 비평과 게임 산업
<설 특선> #4 건축 - 야누스와 무슈김 : 김수근과 김중업
<공간>, 서울의 고고한 자존심
<설 특선> #2 영화 - 뽕 : 식민지 조선 농촌이라는 로컬리티와 토속적 성(性)
<설 특선> #3 게임 - 게임 비평과 게임 산업
<설 특선> #4 건축 - 야누스와 무슈김 : 김수근과 김중업
<공간>, 서울의 고고한 자존심
<공간> 사옥을 설계한 이는 한국의 대표적 건축가 김수근(金壽根, 1931~1986)이다. 그는 이 건물을 직접 짓고, 사용하기도 했다. 김수근이라는 건축가의 명성은 작고 까만 이 건물을 1970년대를 지나 50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단연 돋보이게 만들기에 충분하다. <공간>은 바로 옆에 서있는 웅장한 ‘현대그룹 사옥’과 비교하면 초라할 정도로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국동에서 이화동으로 넘어가는 낮은 언덕을 지나는 사람들은 기꺼이 이 조그만 건물 <공간>에 눈길을 준다.
<공간>은 김수근 특유의 “둘러싸여 있으나 막히지 않은 공간”이라는 정신을 구현한 건축물이다. 김수근이 1966년 11월 창간한 문화예술 종합월간지 『공간』과 동명(同名)이며, 잡지사의 사옥으로 쓰이기도 했던 이 건물은 한국현대건축사의 정신과 문화가 오롯이 담겨 있다. 김수근은 잡지 『공간』과 건축물 <공간>이 한국 전통문화의 가치를 이어받으며, 현대적 예술 흐름에도 뒤처지지 않는 한국 현대 건축의 사표(師表)가 되길 바랐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시리즈로 유명하고 문화재청장을 지내기도 한 유홍준 교수도 『공간』 출신이다. 그와 깊게 우정을 나눈 공옥진과 김덕수가 한국 예술문화 역사에 이정표가 되었던 ‘곱사춤’과 ‘사물놀이’를 세상에 최초로 공개한 장소도 <공간>이었다.
<공간>은 조...
김중업 관련해서 지면에 실었으면 좋겠는데. 한 번 확인해보겠습니다.
이런 글을 왜 여기에. 이거 당장 출판사에 연락해놔야겠어요.
작가님 글을 읽기 전 평범한 소시민으로서 김수근은 알아도 김중업은 몰랐는데 이렇게 글을 읽고 나니 비단 김중업에 대해 알게 된 것 뿐만 아니라 다른 건축가나 건축에 대한 이야기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납니다.
소수의 관심있는 이들에게만 소비되는 예술품과는 달리 모든 이에게 원하든 원하지 않든 소비될 수 밖에 없는 건축은 우리에게 다른 의미의 예술품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겠네요.
단순히 수명이 끝났다고 재개발에만 목을 매는 우리네 현실 가운데 오래도록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건축들이 예술작품으로서 남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션션 별 말씀을요. 건축가가 아니라 오히려 다른 시각에서 평가나 해석을 할 수도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건축가들에게 듣는 건축얘기보다 재밌습니다!
@지미. 집 한 칸 없어서 그런지 멋진 건축물 보면 그렇게 부럽고 좋더군요. 사람의 생각과 시대의 요청이 담겨 있는 건축물들이 오래 지속되고 높게 평가받는 것 같습니다. 오늘 날씨에 뜨스븐 국물은 정말 땡기네요. 고맙습니다.
단순히 지어놓은 게 아니였구만...
보다보니 푹 빠져들기도 하고
다시금 생각도 하고...
춥소이다
뜨스븐 국물에 저녁 드시구
이렇게 멋지게 쓰는디 맛난 저녁 드셔도 되겠구만
푸하아아~멋져부요^^
@스카이진 감사합니다.
@Pickool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현주(청자몽) 명절 연휴에 4편 전부 다 읽어주셨다니 고맙습니다. 오늘 아침 접속해보니 연휴 끝나서 그런지 얼룩소 글들이 또 북적여 지네요. 다시 활기차게 시작해보시지요. 감사합니다. 거기 영하 17도까지 떨어지셨다니 추위 조심하시고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강부원 작가님, 설 특선 4편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평소와 다른 주제의 글들이어서,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연휴인데 일부러 짬내서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소통하는 것도 일이라면 일인데, 독자들 글 공감해주시고 함께 고민도 해주시는 모습 보면서 고개를 끄덕끄덕하게 됩니다. 써주신 댓글에 힘을 얻습니다. 글선생님의 진심어린 말씀에 '참 잘했어요' 도장 100개 받은 느낌이었습니다.
너무 많이, 굉장히, 엄청나게 추운데.. 감기 조심하세요.
너무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잘 읽고 갑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박 스테파노. 평화의 문이 세워질 때 지역 주민들의 반응이 궁금하네요. 건설과 건축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돼 있으면서도 동시에 서로 아득하게 멀리 떨어져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토목공학 공부하시다가 노어노문전공으로 바꾸셨군요. 졸업 후에는 IT 분야에서 오래 일하시고. 사진도 잘 찍으시고. 참 다재다능이십니다. 저는 그저 이름난 건축물 들 외관만 보고, 가끔 포트레이트만 들춰봐도 뭔가 차오르는 게 있더군요. 건축의 힘이 그런게 아닌가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건설"과 "건축"의 사이를 생각하는 글이었습니다. 대학 전공도 "건축학과"와 "건축공학과"가 있는데 커리큘럼이 완전히 다르지요. 제가 사실 처음에는 "토목공학도"였답니다. 그래서 IBM에서도 긴 시간 "건설산업 담당"을 했지요. 뭘 안다기 보다는 관심과 의지로.
소개해 주신 공간중 몇몇은 직접 가본적도 있고, 관심이 있어 눈에 둔 곳도 있네요. 잠실 출신이다보니 마직막 평화의 문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반응도 기억나고...
"건설"을 "용역산업"이라고 하지요. 직접 생산물을 내지 않는다는 뜻인데, 참 아이러니합니다. 결과적으로 가장 크고 가장 비싼 결과물을 내어 놓으니까요. 아마도 그 안에 "건축"이라는 문화적 활동이 스며든 이유가 아닐까 하기도 하구요.
잘 읽었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한창 팟캐스트 열심히 들을 때, 르코르뷔지에를 열심히 설명하시던 한 건축가분의 육성이 들리는듯 하네요. 독재자에게 선택받았을 때 한 작가의 복잡한 내면을 그때 잘 들었는데 이렇게 글로 다시 접하네요. 다양한 건축물들을 보며, 새삼 천재들의 스케일은 다르다고 느낍니다. 샘터사옥이나 평화의 문, 주경기장은 익숙한데요~ 경동교회! 멋있네요.
@스카이진 감사합니다.
@Pickool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현주(청자몽) 명절 연휴에 4편 전부 다 읽어주셨다니 고맙습니다. 오늘 아침 접속해보니 연휴 끝나서 그런지 얼룩소 글들이 또 북적여 지네요. 다시 활기차게 시작해보시지요. 감사합니다. 거기 영하 17도까지 떨어지셨다니 추위 조심하시고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강부원 작가님, 설 특선 4편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평소와 다른 주제의 글들이어서,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연휴인데 일부러 짬내서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소통하는 것도 일이라면 일인데, 독자들 글 공감해주시고 함께 고민도 해주시는 모습 보면서 고개를 끄덕끄덕하게 됩니다. 써주신 댓글에 힘을 얻습니다. 글선생님의 진심어린 말씀에 '참 잘했어요' 도장 100개 받은 느낌이었습니다.
너무 많이, 굉장히, 엄청나게 추운데.. 감기 조심하세요.
너무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잘 읽고 갑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서지은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제가 전문가는 아니지만 아르마운 건축물에 대한 관심이 있어 찾아보다 이야기거리가 되겠다 시어 써본 글입니다. 경동교회 저는 가봤는데요. 실제로 보면 중세 수도원 느낌도 좀 나고, 뭔가 신비로운 건물입니다. 근처에 유명한 평양냉면집도 있으니 나중에 기회되면 한 번 꼭 가보세요.
작가님 글을 읽기 전 평범한 소시민으로서 김수근은 알아도 김중업은 몰랐는데 이렇게 글을 읽고 나니 비단 김중업에 대해 알게 된 것 뿐만 아니라 다른 건축가나 건축에 대한 이야기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납니다.
소수의 관심있는 이들에게만 소비되는 예술품과는 달리 모든 이에게 원하든 원하지 않든 소비될 수 밖에 없는 건축은 우리에게 다른 의미의 예술품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겠네요.
단순히 수명이 끝났다고 재개발에만 목을 매는 우리네 현실 가운데 오래도록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건축들이 예술작품으로서 남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글 잘보고 가네요^^
자주 소통하겠습니다!!
날씨가 춥네요~ 감기 조심하세요.
건축가들에게 듣는 건축얘기보다 재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