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특선> #2 영화 - 뽕 : 식민지 조선 농촌이라는 로컬리티와 토속적 성(性)
2023/01/22
<설 특선> #1 책 - 헝그리 플래닛 : 간신히 먹기 또는 각별히 먹기
<설 특선> #2 영화 - 뽕 : 식민지 조선 농촌이라는 로컬리티와 토속적 성(性)
<설 특선> #3 게임 - 게임 비평과 게임 산업
<설 특선> #4 건축 - 야누스와 무슈김 : 김수근과 김중업 식민지 재현의 윤리성
<설 특선> #2 영화 - 뽕 : 식민지 조선 농촌이라는 로컬리티와 토속적 성(性)
<설 특선> #3 게임 - 게임 비평과 게임 산업
<설 특선> #4 건축 - 야누스와 무슈김 : 김수근과 김중업
나도향의 소설 「뽕」은 1925년 잡지 『개벽』 64호에 발표됐다. 이두용 감독이 만든 영화 <뽕>은 1986년에 개봉했다. 한국 토속적 에로티시즘 영화의 시초라 할 수 있는 영화 <뽕>이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농촌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은 여러 가지 면에서 아이러니하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는 이미 컬러 TV 문화가 정착해 있었고, 외국 문화의 유입도 이전에 비해 비교적 자유로워진 시기였으니 말이다.
수많은 자극적인 소재를 제쳐두고 식민지 시절의 농촌 사회를 이끌어낸 것은 여러 가지 면에서 의미심장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식민지라는 상황 속에서 쉽게 연상할 수 있는 사회 구조적 특징이나 생활문화 속에서 현대인이 향수하거나 자극을 받을만한 향토성과 에로티시즘을 추출하는 게 좀처럼 쉬워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 시절 우리는 일제 치하의 식민지란 흉하고, 어둡던, 몹쓸 시간으로 배웠다.
박목월의 시 「나그네」는 1930년대를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이라는 시구절로 표현했다가 ‘궁핍’과 ‘착취’에 찌든 당시 농촌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며 두고두고 쓴 소리를 들었다. 나도향의 소설 「뽕」 역시 식민지 조선의 농촌 사회를 성(性)을 매개로 연결된 공동체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평가 절하 받기도 했다. 즉, 금기를 깨뜨리고자 하는 상상력의 부족 차원이 아니라 식민지 역사를 그런 방식으로 재현하면 안된다는 윤리적 강박이 작용한 때문일 것이다.
식민 지배의 ‘억압’과 ‘고통’을 말하기 전에 ‘환락’과 ‘자극’을 먼저 연상시키는...
뽕에 대한 탁월한 해석이네요.
진짜 대박이군요. 너무 대단한 영화평입니다.
영화비평 전문이신가보네요. 세미나에서 이거 보고 공부하고 오라고 해서 찾아왔습니다.ㅎㅎ
@클레이 곽. 별말씀을요. 좋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너무 길고 지루한 건 그림만 쓱쓱 보면서 넘어가세요. 뭐 세상글 모두 다 읽을 수는 없잖아요. ㅎㅎ 정말 감사합니다.
감히 법접할 수 없는 엄청난 필력에 고개를 들지 못하겠습니다. 오늘 하나 하나 강 부원님의 글들을 정독해보고 있습니다. 많은 오래되신 얼룩커들이 공감하시는 글을 많이 쓰신분이라 허투루 읽지 못하고 하나 하나 가슴에 새기며 읽어 보겠습니다.
@모모모. 뽕이 단어의 어감이 풍기는 특유의 정서가 생긴 것도 그때부터인거 같아요. 이 영화가 일종의 뽕의 문화적 기원이었던 셈이죠. 감사합니다.
어린 시절, 정작 보지는 못 했지만 "뽕"이라는 단어 자체가 "애마부인"과 함께 에로영화의 대명사로 여겨졌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제목을 처음 알았을 때는 너무 어렸기에, 볼만큼 나이가 먹었을 무렵에는 이미 다른 볼만한 것들이 너무 많았기에 제목만 수없이 들어봤던 "뽕"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작가님의 글을 통해서야 알게 되었네요.
@캘리뽀냐. 감사합니다.
재미난 글 잘 읽었습니다.
@지미. 그 뽕 맞을 거에요. 오리지널 뽕이 이 작품인데, 이후 복제품이나 씨리즈가 엄청나게 계속 만들어지면서 이상야릇해졌죠. 그래서 대부분 뽕이란 말만 들어가면 대번에 창피스럽고 그런 일들이 있었어요. 지미님 얼룩소 대소사 챙겨주셔 사람들이 힘을 많이 얻습니다. 새해에는 지미님도 적게 일하고 많이 버는 한 해 되시길 바랍니다.^^
글 잘 읽고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나도향 원작에 없는 삼보의 "독립운동가" 암시는 영화에서 왜 설정되었는가가 신경이 쓰였는데, 그 설정은 일제강점기의 농촌이란 결핍과 소외의 장소라는 본래의 이야기를 부각시킨 것이 되겠네요.
"벙어리 삼룡이", "물레방아" 같은 작품도 생각나다보니 정사신에서 물레방아로 교차편집하는 클리셰도 생각이 나네요.
나도향이 "짝사랑"만 하다가 실패한 인물이었다던데, 그 답답한 자신의 연애사를 욕정으로 풀어 낸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당시의 단편들을 참 좋아 하는데, 지금 읽어도 시대와 닿아 있으니 신기할 뿐입니다.
@테일러(허탁)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늘 고맙습니다. 덕분에 새해 아침 기분이 좋네요. 테일러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음....
거참...
음..
허..
단순한 뽕이 아니였구려..
다시 볼까...고민좀 하구
설 잘 보내시구
올 한 해도 건강하게 보내 봅시다
항상 고맙고 고맙소이다..
누구한테 뽕 따러 가세 할까나..
이 버전 아닌데..붑아하
@박 스테파노. 네 맞습니다. 영화로 만들어지면서 뭔가 비밀스러운 장치들이 들어가게 됐습니다. 투전꾼인척 하는 독립운동가는 풀먹여 빳빳하고 깨끗한 삼베적삼 입혀 다니게 하고 일본 순사 역시 각반에 칼차고 제복 입혀 폼나게 만들어놨습니다. 그런데 나머지 인물들은 그저 흙투성이 땟국물이죠. 민중에게 다가가기 어려운 정치적 표상이란 원체 그런 이미지였던 모양입니다.
나도향과 비슷한 풍문으로 김유정도 있죠. <동백꽃>, <봄봄> 이런 작품들이 그렇게 퇴짜를 맞는 자기 신세를 역전시켜 '점순이'에게 먼저 사랑받는 작품을 쓰게 됐다는 ㅋㅋ 재미로 하는 이야기지요. 감사합니다. 평온한 설 명정 보내시길 바랍니다.
@지미. 그 뽕 맞을 거에요. 오리지널 뽕이 이 작품인데, 이후 복제품이나 씨리즈가 엄청나게 계속 만들어지면서 이상야릇해졌죠. 그래서 대부분 뽕이란 말만 들어가면 대번에 창피스럽고 그런 일들이 있었어요. 지미님 얼룩소 대소사 챙겨주셔 사람들이 힘을 많이 얻습니다. 새해에는 지미님도 적게 일하고 많이 버는 한 해 되시길 바랍니다.^^
어린 시절, 정작 보지는 못 했지만 "뽕"이라는 단어 자체가 "애마부인"과 함께 에로영화의 대명사로 여겨졌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제목을 처음 알았을 때는 너무 어렸기에, 볼만큼 나이가 먹었을 무렵에는 이미 다른 볼만한 것들이 너무 많았기에 제목만 수없이 들어봤던 "뽕"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작가님의 글을 통해서야 알게 되었네요.
재미난 글 잘 읽었습니다.
뽕에 대한 탁월한 해석이네요.
진짜 대박이군요. 너무 대단한 영화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