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특선> #3 게임 - 게임 비평과 게임 산업

강부원
강부원 인증된 계정 · 잡식성 인문학자
2023/01/23
<설 특선> #1 책 - 헝그리 플래닛 : 간신히 먹기 또는 각별히 먹기
<설 특선> #2 영화 - 뽕 : 식민지 조선 농촌이라는 로컬리티와 토속적 성(性)
<설 특선> #3 게임 - 게임 비평과 게임 산업
<설 특선> #4 건축 - 야누스와 무슈김 : 김수근과 김중업
이경혁 외, <81년생 마리오>

오락실과 피씨방 - 게임 키드의 생애

얼마 전 '오락실'을 다룬 아주 흥미로운 글 한 편을 본 적이 있다. 1970~80년대 유년-청소년기를 보낸 사람들이면 마땅히 공감이 갈만한 '전자오락실'에 대한 추억이 담겨 있을 뿐만 아니라, 오락실이라는 공간의 복합적인 의미를 섬세하게 분석하고 있는 책이었다. <81년생 마리오>. 게임 비평서였는데, 게임에 대한 풍부한 문화적 해석과 다양한 가능성을 발견하려는 시각이 담긴 저작이었다. 

오락실은 사회적으로 금기시 되는 불온의 공간이자 탈주의 창구이기도 하며, 오락은 매혹과 도피의 대상이기도 한 동시에 성취와 극복의 매개이기도 하다. 한편 오락실은 학창시절 학년이나 완력, 허세나 오락 실력에 따라 철저하게 구분된 위계와 서열의 공간이기도 했다. 오락실에 대한 해박하고도 신중한 문화론적 주해를 단 사람이 바로 게임비평가 이경혁이었다. 그때부터 이경혁이라는 게임비평가에게 관심을 두고 있었는데, 어찌어찌 인문학협동조합에서 활동하며 만나게 되고 알고 보니 그냥 '게임 좋아하는 동네 형'이었다.

나는 게임을 잘 못한다. 다만 남이 게임하는 것을 보는 것은 좋아한다. 그래서 게임의 몰입성을 약간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예전 자취하던 시절 온게임넷 스타리그를 보며 밥을 차려 먹었다. '광안리' 지명과 '질렛트' 같은 브랜드명도 내겐 다른 기억으로 소환될 정도이다. 아내는 연애 시절 내가 'e-스포츠'를 보는 것을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벌레가 스물스물 기어다니며 광물을 채취하거나, 쇠파리떼 같은 무리들이 서로 교전을 벌이고, 그것에 열광하는 수 만 명의 사...
강부원
강부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옛날 신문과 오래된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입니다.학교와 광장을 구분하지 않고 학생들과 시민들을 만나오고 있습니다.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고 싶습니다.
179
팔로워 2.2K
팔로잉 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