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리티 한계를 딛고 꽃 피운 장인의 솜씨 - 바이올린 마스터 메이커 진창현
2023/03/31
바이올린 마스터 메이커, 진창현(陳昌鉉, 1929~2012)
일본 바이올린 제작자 간첩 사건
한일국교가 정상화 된 이후 1968년 고향 경북 김천을 방문한 일본 교포가 구속되는 사건이 있었다. 대공 혐의였다. 일본에서 바이올린을 제작하는 공방을 열어 자수성가한 뒤 25년 만에 실행한 고향 방문이었지만, 간첩으로 몰려 붙잡혀 가는 통에 부모님 산소도 그리운 옛집도 제대로 볼 수 없었다. 중앙정보부로 끌려간 그는 으레 그렇듯 모진 고문부터 받았다.
자기는 일본에서 바이올린 만드는 사람일 뿐, 간첩이 아니라고 아무리 주장해도 믿어주지 않았다. 그가 고국에서 간첩 혐의로 구속됐다는 소식이 일본으로 전해지자 명망 있는 일본 음악인들이 발 벗고 나서 그의 무고를 청원했다. 결국 일본 경찰의 신원 보증을 받고서야 겨우 풀려날 수 있었다. 되돌려 생각하기 싫은 아찔한 경험이었다.
그를 간첩으로 신고한 사람은 어이없게도 오랜만에 고향을 찾은 그의 성공에 질투심을 느낀 이복형이었다. 그의 국적 문제가 아리송했던 사정도 중앙정보부의 의심을 사 쉽게 풀려나지 못했던 원인으로 생각된다. 일본에 살고 있던 그는 일본 국적자가 아니었으며, 대한민국 국적도, 북한 국적도 아닌 ‘조선적(朝鮮籍)’을 유지하고 있던 수상쩍은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조선적’은 해방 이후 군정 체제 하에서 재일 동포들에게 부여한 임시 국적이었다. 남북 각각 단독 정부를 수립한 이후 재일 동포들은 남한과 북한 중 하나를 선택해 국적을 변경했다. 여러 사정 때문에 국적 선택을 미룬 교포들이 일부 있었는데, 이들은 일본은 물론 남북 양측으로부터 전혀 보호받지 못하는 처지가 됐다.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일종의 무국적자였기 때문이다. ‘조선적’을 ...
처음 들어본 인물입니다. 대단하신 분이네요.
@젠남 저도 자료로만 접하고 이야기만 들었지, 직접 악기 소리를 들어본적이 없어 궁금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문외한이라 들어도 얼마나 좋은지 구분도 못할 것 같기도 하고요. ㅎㅎ 젠남님 말씀대로 기증된 악기로 멋진 연주를 이어가는게 사실 악기로서도 가장 행복한 운명일텐데요. 읽고 코멘트 남겨주셔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 악기 소리가 정말 궁금합니다. 기증된 악기로 연주하는 기획을 누군가 해냈으면 하네요.
@박 스테파노 조선적 문제가 옛날 일로만 느껴졌는데, 정대세 선수 사례만 보더라도 여러가지 복잡한 국적 관계가 체감되네요. 최양일 감독의 <피와뼈>는 저도 굉장히 인상적으로 본 영화라 언급하신 내용이 더 깊이 새겨 들었습니다. 참 현대사의 질곡이란게 개인들에게 얼마나 힘겨운 삶으로 실현됐을지 상상만해도 아득합니다. 읽어주시고 코멘트 달아주셔 고맙습니다.
최양일 감독의 영화 <피와 뼈>가 떠 올랐습니다. 제 기억에 기타노 타케시가 연기한 김준평은 조선적이고 그의 아들도 조선적을 유지한 인물로 나옵니다. 이 조선적 안에도 세대의 변화와 갈등이 있다는 것을 영화를 통해 조금 알게 되었네요.
최근 <골 때리는 그녀>에 나오는 재일동표 정대세 선수의 인터뷰가 있었는데, 본인은 한국 국적이지만 모친이 조선적이었고 부친은 한국국적이었으나 중립적인 인물이었다고 하더군요. 흔히 한국-북한 이중국적으로 알려졌는데, 대한민국 실정법은 이중국적이 허용이 안되지요. 모친의 영향으로 조선학교에 다니다 보니 조총련에서 그를 포섭해 북한 국적, 여권을 받고 북한 국가대표가 되었는데, 아이러니한 것은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기에 대한민국 국적이 유지되었다 하더군요. 그래서 한동안 '빨갱이 축구 선수'라는 야유와 국내 프로리그에 등록시에도 말이 많았지요.
조선적 가진 사람 중에 북한 국적을 가지거나 북한에서 활동한 사람이 많았던 이유도 여러 생각이 듭니다.
잘 몰랐던 세계적 장인의 이야기에서 이런 저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도 잘 읽었습니다.
@이동영 뭐든 한길을 쭉 파고들어가면 대성한다는 걸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고요. 이동영님도 크게 빛나시기를 기원합니다.^^
글 재미있게 잘읽었습니다. 조선적과 장인. 무언가에 대한 집념혹은 고집이 있는 분이기에 큰 업적을 남기신거 같네요
@실컷 네. 그런 소동이 없으면 현대한국사가 아니겠죠. 참 어매이징한 세월이었죠.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캘리뽀냐 재미있게 읽어주셨다니 다행이네요. 이런 글 좋아하신다니 힘이 납니다. 너무 한 사람을 영웅시하는 것 같아 약간 마음에 걸리는 부분들도 있었는데, 한결 기분이 가벼워집니다. 감사합니다.
@진영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어떻게 다 알 수 있겠습니까. 저도 잘 모릅니다. ^^
@박 스테파노 조선적 문제가 옛날 일로만 느껴졌는데, 정대세 선수 사례만 보더라도 여러가지 복잡한 국적 관계가 체감되네요. 최양일 감독의 <피와뼈>는 저도 굉장히 인상적으로 본 영화라 언급하신 내용이 더 깊이 새겨 들었습니다. 참 현대사의 질곡이란게 개인들에게 얼마나 힘겨운 삶으로 실현됐을지 상상만해도 아득합니다. 읽어주시고 코멘트 달아주셔 고맙습니다.
최양일 감독의 영화 <피와 뼈>가 떠 올랐습니다. 제 기억에 기타노 타케시가 연기한 김준평은 조선적이고 그의 아들도 조선적을 유지한 인물로 나옵니다. 이 조선적 안에도 세대의 변화와 갈등이 있다는 것을 영화를 통해 조금 알게 되었네요.
최근 <골 때리는 그녀>에 나오는 재일동표 정대세 선수의 인터뷰가 있었는데, 본인은 한국 국적이지만 모친이 조선적이었고 부친은 한국국적이었으나 중립적인 인물이었다고 하더군요. 흔히 한국-북한 이중국적으로 알려졌는데, 대한민국 실정법은 이중국적이 허용이 안되지요. 모친의 영향으로 조선학교에 다니다 보니 조총련에서 그를 포섭해 북한 국적, 여권을 받고 북한 국가대표가 되었는데, 아이러니한 것은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기에 대한민국 국적이 유지되었다 하더군요. 그래서 한동안 '빨갱이 축구 선수'라는 야유와 국내 프로리그에 등록시에도 말이 많았지요.
조선적 가진 사람 중에 북한 국적을 가지거나 북한에서 활동한 사람이 많았던 이유도 여러 생각이 듭니다.
잘 몰랐던 세계적 장인의 이야기에서 이런 저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도 잘 읽었습니다.
이런 글 좋아요. 잘 읽었습니다~
전혀 모르고 있었던 분입니다.
이렇게 훌륭한 분을 여태 몰랐다니 부끄럽습니다
이제라도 알게 해 주신 강부원님께 감사를 전합니다
@이동영 뭐든 한길을 쭉 파고들어가면 대성한다는 걸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고요. 이동영님도 크게 빛나시기를 기원합니다.^^
글 재미있게 잘읽었습니다. 조선적과 장인. 무언가에 대한 집념혹은 고집이 있는 분이기에 큰 업적을 남기신거 같네요
@실컷 네. 그런 소동이 없으면 현대한국사가 아니겠죠. 참 어매이징한 세월이었죠.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캘리뽀냐 재미있게 읽어주셨다니 다행이네요. 이런 글 좋아하신다니 힘이 납니다. 너무 한 사람을 영웅시하는 것 같아 약간 마음에 걸리는 부분들도 있었는데, 한결 기분이 가벼워집니다. 감사합니다.
@진영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어떻게 다 알 수 있겠습니까. 저도 잘 모릅니다. ^^
바이올린 장인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간첩으로 엮이거나 테러범 취급 받았다는 사실은 처음 알게됐네요. 일본에서는 교과서에도 다뤘다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생각보다 관심이 덜했던 모양이네요.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