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이토록 불안한가
2024/04/10
- 프란츠 카프카 ,『변신』
누구나 그렇겠지만, 살아오면서 힘든 고비가 여러 차례 있었다. 심한 정신적 고통을 겪어야 할 때도 있었고, 젊은 날에는 경제적 어려움이 따르기도 했다. 우울증에 걸릴 것 같은 적도 있었다.
그때 몹시 우울했던 날 오후, 거리의 풍경을 아직도 잊지 못하고 있다. 나는 이렇게 힘든데, 나는 이렇게 고통스러운데, 아무 일 없다는 환한 표정으로 도시를 걷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은 화가 날 지경이었다. 당신들은 내가 없어진들 눈 하나 깜짝하지 않겠지! 그런 당신들이 괘씸해서라도 나는 독하게 살아낼 것이다! 고통스러우니 그 풍경이 눈에 크게 들어오는 것이었겠지만, 사실 따지고 보면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서로가 그런 존재일 뿐이다. 막상 우리는 서로 간에 그렇게 가깝게 연결되어 있지 못하다. 우리는 단절되어 있다.
현대인의 절박한 고립감
프란츠 카프카의 일생은 겉으로 보기에는 굴곡이 없는 일상적인 삶의 연속이었지만 내면으로는 매우 불행한 고뇌의 41년이었다. 카프카는 평생 불행하게 지냈다. 유대인으로 태어났으나 유대교도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기독교인도 아니었다. 독일어를 사용했지만 독일인도 아니었고, 프라하에서 태어났지만 체코인도 아니었다. 그는 일상적인 가정생활을 포기하면서까지 작가이길 원했지만 온전한 의미의 작가도 아니었다. 그는 많은 세계에 조금씩 속해 있지만 그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은, 태어나면서부터 ‘이방인’이었으며, 숙명적으로 고독의 짐을 지고 살았다. 이러한 작가의 현실은 그의 작품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인간의 실존에 관한 물음이 카프카 문학의 주제가 되었다.
카프카의 소설 『변신』은 현대인의 고립감을 절박하게 표현해낸 걸작으로 오늘날 평가받고 있다. 이 작품은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의 외로운 죽음에 관한 얘기다.
그레고르는 의류 회사의 영업사원으로 근무하는 젊은이였다. 그는 부모님의 빚을 갚기 위해 열심히 일하며 가족의 생계를 꾸려 나가고 있었다. 외판 업무는 짜증스런 일이었지만, 그레고르는 자...
제가 글의 요점을 잘 못 찾겠네요...그래서 불안의 원인이 고립감이란 말인가요? 앞날에 대한 불확실성인가요?
대략 이해한 바는 앞날에 대해 불확실 하니 타인과 연결을 통해 그것을 극복할려하는데, 사실 우리는 타인과 단절되있으므로 고립감을 느낀다는것 주장같아요. 이런 상황에서 해결법으로 자기신뢰?를 말하는것 같구요.
그런데, 자기신뢰를 한다고 가정하도, 그 신뢰가 앞날에 대한 불확실성과 불안을 줄여줄지 어떻게 아나요? 논지에 따르면 불확실성->타인 연결 소망->사실은 고립감->불안
의 도식을 가지는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불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립감을 공략하는게 더 적합하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