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인데도 종교는 왜 사라지지 않을까?
2023/06/05
종교나 미신은 비합리적인 사고의 산물로 여겨졌습니다.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이 발달하면서 학자들이 이성의 승리와 맹신의 퇴조를 예상한 것은 그래서 자연스러운 수순이었습니다. 막스 베버라는 사회학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 시대의 운명은 합리화와 지성화, 그리고 무엇보다도 '세계의 탈마법화’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명확하게 궁극적이고 숭고한 가치는 공공 생활에서 신비로운 삶의 초월적 영역이나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인간관계의 형제애로 후퇴했다.
- 베버, 『직업으로서의 학문(Science as a Vocation)』
비합리적인 맹신의 세계(종교)는 그렇게 힘을 잃어버렸을까요? 20세기에서 21세기를 통해서 그러한 예상은 국지적, 한시적으로는 참이었지만, 인류 전체로 볼 때는 예상과는 전혀 다른 전개를 보였습니다. 오히려 종교사회학자들은 '세계의 재마법화' 혹은 '재성화'를 이야기하게 되었습니다. 종교는 여전히 공적 영역에서도 맹위를 떨치고 있고, 세계적으로 볼 때 종교 인구는 그렇게 감소하지도 않았습니다.
2015년 Pew Research Center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84%가 종교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2050년까지 종교 인구의 변화를 추정한 바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종교(문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모색하는 공부인입니다. 종교보다 종교적 인간, 종교문화, 미신 등 인간의 종교적 특성을 볼 수 있는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비종교 현상에서 종교적 특성을 읽어내기를 좋아합니다.
@유영진 네 관련 사회심리학 논의를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래서 옛날 학자들의 통찰을 '올드 패션'으로 치부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마침 사회심리학에서도 본문과 동일한 심리적 동기로 종교성을 설명합니다. 종교성에 대해 다루는 사회심리학 이론으로는 대체로 공포 관리 이론(TMT)과 보상적 통제감 이론(CCT)을 꼽는데요, 이 중에서 후자인 CCT는 인간이 외부 환경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을 유지하기 위해서 종교적 신념이 나타난다고 말합니다(Kay, Gaucher, McGregor, & Nash, 2010; Laurin & Kay, 2017).
CCT에서는 허리케인과 토네이도로 몸살을 앓는 미국 중남부 지역이 바이블 벨트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 사회가 안정되어 있고 정부와 시민사회의 통제능력이 강한 북유럽 국가들에서 세속적 무신론이 득세하고 있다는 것(그럼에도 종종 정권 혼란기가 되면 일시적으로 교회 출석자 수가 증가한다는 것), 종교적 교리를 부정하는 듯한 과학적 발견을 접한 사람들은 종교에 대해 덜 의지하는 만큼 세속 정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지지를 보낸다는 것을 잘 예측하였습니다.
요컨대, 인간은 외부 세계를 통제하고자 하고, 그 자신의 힘이나 세속 사회의 힘이 어찌하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는 '간절한 호소' 를 하기 위해서 신을 찾게 마련이라는 이야기입니다. 결국 온갖 논문과 실험들을 거치고 거쳐서 다시 본문에서 인용된 스피노자로 되돌아온 셈입니다.
@유영진 네 관련 사회심리학 논의를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래서 옛날 학자들의 통찰을 '올드 패션'으로 치부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마침 사회심리학에서도 본문과 동일한 심리적 동기로 종교성을 설명합니다. 종교성에 대해 다루는 사회심리학 이론으로는 대체로 공포 관리 이론(TMT)과 보상적 통제감 이론(CCT)을 꼽는데요, 이 중에서 후자인 CCT는 인간이 외부 환경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을 유지하기 위해서 종교적 신념이 나타난다고 말합니다(Kay, Gaucher, McGregor, & Nash, 2010; Laurin & Kay, 2017).
CCT에서는 허리케인과 토네이도로 몸살을 앓는 미국 중남부 지역이 바이블 벨트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 사회가 안정되어 있고 정부와 시민사회의 통제능력이 강한 북유럽 국가들에서 세속적 무신론이 득세하고 있다는 것(그럼에도 종종 정권 혼란기가 되면 일시적으로 교회 출석자 수가 증가한다는 것), 종교적 교리를 부정하는 듯한 과학적 발견을 접한 사람들은 종교에 대해 덜 의지하는 만큼 세속 정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지지를 보낸다는 것을 잘 예측하였습니다.
요컨대, 인간은 외부 세계를 통제하고자 하고, 그 자신의 힘이나 세속 사회의 힘이 어찌하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는 '간절한 호소' 를 하기 위해서 신을 찾게 마련이라는 이야기입니다. 결국 온갖 논문과 실험들을 거치고 거쳐서 다시 본문에서 인용된 스피노자로 되돌아온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