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거벗은 운명에 맞서 자유를 꿈꾸었던 문학소녀 - 전혜린
2023/03/21
1960년대를 강타한 고독한 영혼의 상징, 전혜린(田惠麟, 1934~1965)
어떤 날 - 전혜린(1960년 7월 25일)
나의 운명이 고독이라면,
그렇다, 그것도 좋다.
이 거대한 도회의 기구 속에서
나는 허무를 뼛속까지 씹어보자.
몇 번씩 몇 번씩
나는 죽고 죽음 속에서,
또 새로운 누에가 눈뜨듯
또 한 번,
또 한 번!
하면서
나는 고쳐 사는 것이다.
다시 더!
하고 소리치며
나는 웃고 다시 사는 것이다.
과거는 그림자 같은 것, 창백한 것,
본질은 나이고
현실은, 태양은 나인 것이다.
모든 것은 나의 분신,
자아의 반사에 불과했던 것이다.
아버지와 딸
아버지는 딸을 물끄러미 내려다보았다. 소공녀처럼 귀하게 키운 아이가 이제 곧 독일로 유학을 떠난다. 고단한 숲 속 길을 홀로 걷게 내버려둔 것처럼 딸이 안쓰럽게 느껴졌다. 어렸을 때부터 자신의 기대와 요구에 한 치도 벗어남이 없었던 딸이었다. 딸은 다른 아이들보다 일찍 말을 떼고, 다섯 살도 안 돼 한글과 일본어를 영민하게 구분해 쓸 줄 알았다.
조용하게 학교를 다녔음에도 최우등 성적을 놓친 적이 없었고, 아버지가 바라는 대로 서울대 법대에도 진학했다. 아버지에게 딸은 꼭 자신의 과거를 보는 듯 대견했다. 매사 수선스럽지 않고, 늘 신중하게 처신하며, 사람들에게 사려 깊은 모습을 보여주는 딸은 내내 미덥기만 했다. 슬하 8남매의 맏딸로 태어난 그녀는 아버지의 빛나는 인생에 가장 잘 어울리는 트로피 같은 존재였다.
딸은 아버지를 가만히 올려다보았다. 스무 살이 될 때까지 아버지는 딸에게 “살아있는 신(神)”이자 “지상의 명령”이었다. 아버지의 그늘을 벗어나 혼자 헤쳐 나가야 할 미래가 겁났지만 한편으로 아무런 감시나 방해 없이 스스로 모든 것을 결정하고 행할 수 있다는 기대에 묘한 설렘이 느껴지기도 했다.
이제부터 유학 생활을 할 독일 뮌헨이라는 도시는 어떤 곳일까. 공기는 어...
페미니즘절 시각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하네요.
전혜린이라는 인물은 도대체 왜? 인간은 알 수 없는 존재인가 봅니다.
@foucault61 책 소개 감사합니다. 저도 한 번 찾아봐야겠네요. ^^
http://aladin.kr/p/xFrI7
이덕희 선생이 번역한 이 책엔, 니진스키 평전이라고 해도 무방할만큼 길고 정교한 역자서문이 붙어 있는데... 니진스키를 통해 전혜린을 이해하고 싶어한 후배 이덕희 선생의 집념이 느껴집니다. 전혜린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문학소녀들이 이후 60여년을 어떻게 살았는지 조금은 짐작이 가는 부분도 있습니다. 흥미진진한 글 잘 읽었습니다. 저는 강부원 선생 팬입니다. ㅎ
@최서우 독일과 연관된 사람이라 더 마음이 가는 인물이시겠네요. 우상이었다니 여러 마음 드시겠습니다. 자살로 더욱 신화적인 인물이 되었으니 참으로 아이러니하죠. 감사합니다.
@콩사탕나무 선망의 대상이었으니 그런 모방 심리도 한편으로 이해가 되는 대목입니다. 읽어주셔 고맙습니다. ^^
@전업교양인 꼼꼼히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그런 욕망 가진 사람 투성이죠. 그렇지만 전봉준만큼 이념을 발판삼아 변화무쌍하게 활약하며 그 자리까지 오른 사람들 얼마되겠습니까. 딸래미 죽여가며, 모질게 그 자리까지 간 사람이니까요. 나쁜 의미로 대단한 인간이죠. 그정도로 받아들여주셔도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입신출세주의자는 많았죠. 다만 후대에 이름이 남을 정도로 성공한 전형적인 인물이 드물 뿐인 거죠. 기회주의와 출세주의의 나라에서 '몇 안 되는 입신출세주의자'라고 하시면 곤란하지 않을까요?
10대때 전혜린 을 우상처럼 여기고 그녀의 책을 손에 끼고 있었던 적 이있었어요.
독일에 대한 막연한 회색빛환상도 이 있어 그녀가 머물던 슈바빙거리를 적적하게 걸었답니다.
지금도 그녀의 혼령이 머문듯한 그 거리는 예전과는 이미 다르지만 외로운 천재의 정신은 그대로 또 누군가에게 머물고 있는것 같습니다.
'여류 작가의 요절'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강부원님의 글을 통해 그녀의 가정환경과 아버지의 그늘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남부러울 것이 없어 보이는 인생이지만 들여다보면 남들이 모르는 고독과 방황이 있었네요. 그녀의 사망 후 죽음을 모방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것이 충격적이었습니다.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오늘 문장이 문학적으로 더욱 풍부한 것 같습니다. '문학'이 매개가 된 이야기를 다루시느라 더욱 공들이신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보았습니다. 특히 첫 부분의 '앞마당'과 '그늘' 이야기는 참 좋네요.
저도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를 접하고, '뭐지?'라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나네요. 거듭해서 읽을 문장들은 아니지만, 그녀의 삶 자체가 문장을 이루지 않았나 하는 나름의 확대해석을 해 봅니다.
한국은 아직도 이데올로기가 지식과 인문의 교양을 삼켜 버리고 있지 않나 싶은 요즘입니다. 무릇 선진국이라 함은 '교양의 척도'가 작동한다는 것도 까맣게 잊지 않았나 싶기도 하구요. 서점 매대는 온 통 '돈 버는 이야기'들만 가득하고, 교양채널도 마찬가지고... 이곳에서 그런 숨을 트일 수 있는 글 늘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등학교 때 불어선생님이 말씀해주셔서 알게 된 작가 '전혜린'이에요. <그리고 아무말도..> 수필집도 읽었구요. 그 당시에는 흠.. 수필집 참 잘 썼다. 그런데 왜? 젊은 나이에? 극단적인 선택을 했는지 이해가 안 갔어요. 10대에 제가 이해하기엔 너무 멀고 먼 일이었을테니까요.
..
시간이 지나서,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서 일을 하면서 약간 이해가 가기 시작했어요. 실제로 저도 아주 멀리에 나가 있던 적이 있었는데! 그때 정말 많이 이해가 가더라구요. 그저그런 고독이 아니었겠구나. 외로움이 사무쳤겠다.
그리고, 아이를 낳고 키우며 단절을 경험하면서는 너무너무 어휴.. 이해가 되더라구요. 많이 배우고, 어떤 일을 하고를 떠나서 그분 정말 힘들었겠구나.
막연한 것들이, 막상 내가 겪어보니 더 아픈 느낌.
에휴.. 그래도 좀더 살지. 살아보지 그랬을까 싶어요. 벗어날 수는 없었어도, 넘길 수는 있는 것도 있더라구요. 시간이 주는 선물, 그리고 나 역시도 자라는게 있어서.
...
봄에 우울 증세가 심해져 온다는 이야기도 들었어요. (우울감이야 늘.. 친구지만) 나의 삶은 늘 그렇고 그런데, 세상은 참 이쁘네. 정말 이쁘네. 휴..
이쁠 수도 있죠 ^^. 이쁜건 많이 이뻐라. 그럽니다.
전혜린 이야기를 듣던, 반짝거리던 고등학생 시절의 저를 떠올립니다. 오늘도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여인네들이 참 한이 서려요 ㅎㅎㅎ.
https://alook.so/posts/E7taxOZ
https://alook.so/posts/4XtovWm
얼룩소에서 자주 들어본 것 같아서
간단히 찾아 와 봤어요^^
늘 좋은글 감사합니다
아직은 추우니 옷 따습게 입고 댕기셔요
재미나게 잘 읽었습니다~
제게는 아이돌 출신 연예인들의 자살처럼 여겨지기도 해요. 늘 주변의 시선을 신경써야하고 모든 것을 다 가진 듯 보이지만 나름의 속사정으로 폐허가 된 마음으로 살고 있는 경우가 많잖아요.
그녀가 정말로 고통스럽고 힘들었을지, 한낱 허세로 죽음을 선택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본인만이 알고 있겠죠. 하지만 그녀의 선택을 따라 할 정도로 청년들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통제당하며 살고 있었던 건가 싶어요.
@지미 덕분에 저도 다른 얼룩커의 전혜린 관련 글 살펴볼 수 있었네요.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캘리뽀냐 늘 감사합니다.
@홈은 맞아요. 당시 전혜린은 대중에게 아이돌처럼 받아들여진 사람이었어요. 그녀가 왜 자살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오늘 글은 바로 그 알 수 없음에 대해 썼습니다. 고마워요!
@최서우 독일과 연관된 사람이라 더 마음이 가는 인물이시겠네요. 우상이었다니 여러 마음 드시겠습니다. 자살로 더욱 신화적인 인물이 되었으니 참으로 아이러니하죠. 감사합니다.
@콩사탕나무 선망의 대상이었으니 그런 모방 심리도 한편으로 이해가 되는 대목입니다. 읽어주셔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