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23
원글에 나와있는 것처럼 탄소세의 적용, 즉 탄소의 배출 자체를 줄이는 노력은 '신기술 개발' 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에는 도움이 안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역할이 강화되면서 비효율적인 운영이 불가피하며, 직접적으로 고용과 일자리안정에 문제를 일으키기때문에 알고 있기로는 일부 북유럽국가들 위주로만 탄소세 정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함께 읽으면 좋을 것 같은 기사 2가지를 공유합니다.
같은 대학교 출신(?)인 교수의 말로는 '친환경 전환으로 인한 물가 상승은 아무도 좋아하지 않겠지만, 감당해야 할 부분' 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당장의 탄소세 도입은 힘들더라도, 탄소배출량 자체를 줄여야하는 것은 꼭 필요하죠. 이 과정에서 자발적인 절감이 힘들기 때문에 부담이 되더라도 '강제적인 친환경 전환' 도 일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기름값이 리터당 2천원 이상으로 책정되고, 남는 부분을 친환경 에너지를 연구하거나 관련 비용으로 사용하는 것이죠.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적 손실에 대해서도 이야기합니다.
관련해서 함께 읽으면 좋을 것 같은 기사 2가지를 공유합니다.
같은 대학교 출신(?)인 교수의 말로는 '친환경 전환으로 인한 물가 상승은 아무도 좋아하지 않겠지만, 감당해야 할 부분' 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당장의 탄소세 도입은 힘들더라도, 탄소배출량 자체를 줄여야하는 것은 꼭 필요하죠. 이 과정에서 자발적인 절감이 힘들기 때문에 부담이 되더라도 '강제적인 친환경 전환' 도 일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기름값이 리터당 2천원 이상으로 책정되고, 남는 부분을 친환경 에너지를 연구하거나 관련 비용으로 사용하는 것이죠.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적 손실에 대해서도 이야기합니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의 평균 온도가 2도 올라가면 우리나라를 포함한 ‘선진 아시아’ 국가들의 GDP는 2019년 대비 2050년에 9.5%가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성장을 하기는 커녕 경제 규모가 위축된다는 의미다. 전쟁과 같은 돌발 변수 없이 오직 기후 변화로 인한 GDP 감소다.
파리 협정의 목표가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이하로 하자는 것이다.
같은 기간 2도 이하로 올라가 파리 협정을 준수할 수 있는 경우, 선진 아시아 국가의 GDP는 3.3% 줄어드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동민님
눈앞에 이익이 더 크고 사는게 빡빡하다보니 미래를 굳이 신경쓰지 않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당장 저부터도 그렇구요
●미드솜마르님
감사합니다!
●규니베타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참여를 높여나가는게 아마도 가장 중요한 부분인 것 같아요
소득수준이 다 다른데 일괄로 때려서 적용시키는 것도 합리적인지 생각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선희님
제품에 환경비용을 부담시키고, 점차 늘려나가는게 필요해보입니다.
감사합니다
더 멀리 봤을 때, 친환경제품에 비용상승이 이뤄져야 하는것에 동의합니다. 각 나라마다 가지고 있는 자연적 자원을 생각했을 때, 지금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 자원들이 눈에띄게 많아졌습니다. 이는 경제적으로도 손실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글입니다.
하지만 말입니다 ᆢ
https://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145203
전기요금 인상에 찬성하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달에 얼마의 전기요금을 추가로 낼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1,000원~2,000원이라는 응답이 2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라는 기사처럼 ᆢ
마음속으로는 찬성하지만(나는 민주시민이고 착한사람이고 지구를 사랑하지만) ᆢ그게 직접 나의 불이익으로 다가올때는 꽤 큰 저항이 있단거죠
그래서 직접적이지않은 ᆢ부분이 주로 시도 되는거죠
넛지 스타일로 ᆢ
글 잘 읽었습니다! :-)
눈앞의 잇속 때문에 미래를 그르쳐서는 안 되겠지요. 술값, 제사 지내는 돈, 동창회나 계모임 찬조금은 아까운 줄 모르면서 자녀 교육비는 온갖 생색 다 내며 아끼는 못난 부모들 꽤 있습니다. 그런 부모와 같은 어리석은 자가 되어서는 아주 곤란하겠지요.
●올리브트리님
지금보다는 조금 더 타이트한 관리와 그러기위해서 국민들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국민들의 반대가 있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정책적으로 잘 이끌어가는 것이 필요한 것 같아요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어떤 댓가지불과 수고가 없다면 친환경 전환은 단순한 구호만 될 뿐입니다.
최신 어플+손과 머리카락을 활용한 클로킹 기술의 결과이군요...
조만간 체험단으로 한번...
@homeeun/@빅맥쎄트
우선 본의아니게 혼란을 야기한 점 사과드립니다... 요즘 어플이 참 좋더라구요 허허허헣ㅎㅎ 손과 머리카락으로 얼굴의 반을 가린점 양해 바랍니닷!ㅋㅋㅋ
실물보다 못나온 사진이 저러면.. 흠..
제 카메라는 진실을 잘 담던데..
눈앞의 잇속 때문에 미래를 그르쳐서는 안 되겠지요. 술값, 제사 지내는 돈, 동창회나 계모임 찬조금은 아까운 줄 모르면서 자녀 교육비는 온갖 생색 다 내며 아끼는 못난 부모들 꽤 있습니다. 그런 부모와 같은 어리석은 자가 되어서는 아주 곤란하겠지요.
●홈은님
저도 뜨개질 한번 도전을..
보수전인 관점에서는 결국 돈>환경의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것이 '틀렸다' 라고 말하기가 쉽지 않겠지만, 그것이 맞다라고도 하기는 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오민영님
'돈'을 건드리게되면 당장 다음날부터 바뀌게 될 것입니다. 엄청난 클레임, 불만이 뒤따르겠지만..
자율적으로 맡기는 식으로는 절대로 해결이 안된다고 생각해요. 지금 우리의 삶과 지구를 보고있으면.
좋은 기사 공유해주시고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합니다. '그린'을 해치는 비용을 다같이 부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고통을 겪고 이런 식의 부담 말고 정말 '돈'으로요.
딴소리) 한국은 초5-6 실과 시간에 뜨개질 배우…. 여건이 어려워서 옷까지는 아니지만 목도리 떠요… 그리고 방과후 프로그램도 뜨개질 있…하지만 중학교가면 이어지진 않죠. 아쉬워요.
폴 크루그먼은 고전적인 경제학자라 되게 보수적인 관점에서 이야기를 많이 한다고 느껴져요.
환경을 생각하는게 제일 이롭지만 환경만 생각하면 인간이 치뤄야 할 희생이 커서 어쩔 수 없다라는 논리는 바꿔 말하면 경제적 손해가 커서 생존을 위해 다수가 고통받는 것은 어려운 일이니 같이 서서히 덜 고통스럽게 죽어가자 -> 이거인거죠 ;;;;;;;;
●이동민님
눈앞에 이익이 더 크고 사는게 빡빡하다보니 미래를 굳이 신경쓰지 않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당장 저부터도 그렇구요
●미드솜마르님
감사합니다!
●규니베타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참여를 높여나가는게 아마도 가장 중요한 부분인 것 같아요
소득수준이 다 다른데 일괄로 때려서 적용시키는 것도 합리적인지 생각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선희님
제품에 환경비용을 부담시키고, 점차 늘려나가는게 필요해보입니다.
감사합니다
더 멀리 봤을 때, 친환경제품에 비용상승이 이뤄져야 하는것에 동의합니다. 각 나라마다 가지고 있는 자연적 자원을 생각했을 때, 지금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 자원들이 눈에띄게 많아졌습니다. 이는 경제적으로도 손실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글입니다.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어떤 댓가지불과 수고가 없다면 친환경 전환은 단순한 구호만 될 뿐입니다.
최신 어플+손과 머리카락을 활용한 클로킹 기술의 결과이군요...
조만간 체험단으로 한번...
@homeeun/@빅맥쎄트
우선 본의아니게 혼란을 야기한 점 사과드립니다... 요즘 어플이 참 좋더라구요 허허허헣ㅎㅎ 손과 머리카락으로 얼굴의 반을 가린점 양해 바랍니닷!ㅋㅋㅋ
실물보다 못 나온 사진이지만 그런대로 봐줄만 해요. 왜 기술은 진실을 모두 다 담지 못할까요??????? 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