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갸날을 맞이하며, '감사함'을 떠올리기.
2022/10/09
조선,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가 강하며 유교적 가치관이 주를 이루던 시기였습니다. 당시, 평민이나 상민, 여자들이 사용한다며, ‘언문’ 혹은 ‘암클’이라 속되게 이르던 ‘문자’가 있었습니다. 바로 1443년 창제되어 1446년 반포된, “훈민정음”입니다.
창제 당시부터 선비나 양반들로부터 ‘무시’를 당했던, 훈민정음. 하지만 과거 일제강점기, 우리에게서 ‘우리말’과 ‘한글’을 빼앗으려던 손길에서 이를 지켜낸 분들이 계십니다. 그리고 오늘날 많은 분들이 ‘한글’의 아름다움과 그 우수성을 인정하며 ‘한글 사랑’을 실천하고 계십니다. 이처럼 과거부터 오늘날까지, ‘우리말’과 ‘한글’의 소중함을 깨닫고 노력하신 분들이 계시기에, ‘한글’의 가치와 우수성을 인정받으며 이러한 예쁜 문자를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것이겠지요.
주시경 선생님께서 ‘훈민정음’에 붙인 이름 ‘한글’. ‘큰 글’ 혹은 ‘한민족의 글’이라는 이름을 지니고 있지만, “으뜸이 되는 큰글” “오직 하나뿐인 큰 글”과 같은 뜻으로 통하기도 합니다. ‘한글’이라는 이름, 참 예쁘지 않나요?
일제강점기, 무단통치를 이어가다 3.1운동 이후 문화통치가 시작됩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총,칼이 아닌 ‘문화’를 점차 없애나가려 하던 이 방향은 후에 ‘민족 정신 말살 정책’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특히, 조선교육령이 시행되며 ‘조선어’를 말살하며 ‘일어를 숙달’시키고자 하는 일본의 야욕이 드러나게 됩니다. 학교에서도, 공공기관에서도, 언제나 일어를 사용하게 하며, 소위 말하는 ‘일본 혼’이라는 것을 국민들에게 주입시키고자 합니다. 이 과정에서 소외되고 탄압당하던 ‘조선말’ 그리고 ‘한글’을...
*맞아요, 독립운동가들의 애국심은 발끝도 못따라가죠. 정의를 위해 살라고 자식들에게
말은 하지만 막상 저는 그렇게 살지 않는 게 큰 모순이죠..
*한글을 지키기 위해 애쓰신 분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앗! 스토리님 감사합니다~ㅎㅎㅎ꼼꼼하지는 않아요! ㅎㅎㅎ아는 것들만 열심히 조합한 것 같아요!ㅎㅎㅎ 감사합니다! 편안한 밤 보내세요~
한글날에 대한 글을 잘 정리 하신 연하일휘님 글을 보니...
글에서 성격도 나오는 듯 합니다.
역시, 꼼꼼하신 연하일휘님 ^^좋은 글 감사합니다~
달쏘님 감사합니다:) 한글날을 맞아 노력하신 분들의 모습이 떠올랐어요. '한글'! 소중히 지켜나가야겠죠!
뜻 깊은 한글날 가갸날을 맞이하여 바른 한글 생활을 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한글날에 대한 글을 잘 정리 하신 연하일휘님 글을 보니...
글에서 성격도 나오는 듯 합니다.
역시, 꼼꼼하신 연하일휘님 ^^좋은 글 감사합니다~
뜻 깊은 한글날 가갸날을 맞이하여 바른 한글 생활을 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