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는 과연 비종교적일까?

steinsein
steinsein · 종교학 공부인과 연구인을 방황하는 자
2023/09/11
중년과 종교에 대한 이야기를 전에 했었습니다("중년, 종교를 음미할 수 있는 이유"). 이번에는 20대의 종교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20대는 많은 조사에서 종교 인구 비율이 낮으며, 종교에 관심이 없는 연령층으로 확인됩니다.

갤럽의 2021년 조사에서는 20대의 종교인 비율(20대 종교인/20대 전체)이 22%로 조사된 바 있습니다.
갤럽 '한국인의 종교 1984-2021' 중 연령별 종교인구(2004-2021년만)
반면 한국리서치의 2022년 조사로는 20대(18세~29세) 종교인구가 약 31%로 조사되었습니다.
출처: 한국리서치
한국리서치의 종교에 관한 정기조사로 보면, 2020년 20대의 종교인구는 33%, 2021년에도 33%, 2022년에는 31%로 변하는 것이여서 다소간의 하락 추세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얼마전 발간된 『한국기독교분석리포트』(2023)에서는 2022년 20대의 종교인구 비율이 19%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목회데이터연구소(자료: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한국기독교분석리포트」, 서울:대한기독교서회, 2023.06.)
기관마다 수치는 다르지만 '하락 추세'는 대체로 비슷한 것 같습니다. 이런 걸 보면, 20대는 정말 비종교적인 것 같아 보입니다. 실상은 어떨까요? 종교단체에 소속되지 않는 사람이 많다고 해서 마냥 비종교적이라고 단정할 수 있을까요?

가령 교회, 절, 성당 같은 곳에는 가지 않고 다른 종교적 활동을 하는 게 있지 않을까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겁니다. 점치기가 '변화'를 살피기에 적합한 활동이 아닐까 싶습니다. 특정 종교 단체에 소속되어 주기적인 활동을 할 의무가 없고, 한 때의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종교'...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종교(문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모색하는 공부인입니다. 종교보다 종교적 인간, 종교문화, 미신 등 인간의 종교적 특성을 볼 수 있는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비종교 현상에서 종교적 특성을 읽어내기를 좋아합니다.
111
팔로워 589
팔로잉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