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신정권과 개발독재가 낳은 괴물 - 박흥숙

강부원
강부원 인증된 계정 · 잡식성 인문학자
2023/04/27
모형 사제총을 들고 현장검증에 응하는 박흥숙. 출처-MBC
만들어진 ‘무등산 타잔’, 박흥숙(朴興塾, 1957~1980)
   
가난한 독학생이 잔혹한 살인범으로

박흥숙(朴興塾, 1957~1980)은 1977년 4월 20일 광주 무등산 덕산골에서 쇠망치로 사내 넷을 죽였다. 살해당한 이들은 무등산 일대의 무허가 주택을 철거하기 위해 나온 광주시 동구청 건축과 녹지계 소속 철거반원들이었다. 출동한 철거반원 일곱 명 중 일찌감치 빠져나간 한 명을 제외하고 여섯 명을 모조리 때려죽이려 했다.

살인 및 살인미수 혐의로 1977년 9월 일심 재판에서 사형 판결을 받았다. 이후 고등법원에서도 항소는 기각됐고, 대법원 역시 원심을 받아들여 사형이 확정됐다. 광주교도소에서 3년 동안 수감 생활을 하다 1980년 12월 24일 형 집행을 당했다.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난 그 해 겨울 광주에서 일어난 최초의 사형 집행이었다. 

이 사건은 집을 잃은 철거민의 절규와 막다른 길에 내몰린 빈민의 마지막 저항의 관점으로 다뤄지지 않았다. 호사가들은 살해범 박흥숙을 ‘무등산 타잔’이라 불렀다. 당시 언론 보도에 따르면 박흥숙은 “무등산을 날다시피 뛰어 오르고”, “흉내 낼 수 없는 무공을 익혀 이소룡도 당하지 못할” 정도의 대단한 무술가로 묘사됐다.
박흥숙은 당대 가장 인기있던 액션 배우 '이소룡'을 따라해 보고 싶었던 평범한 사내이자, 공부를 더 열심히 하기 위해서는 강인한 체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전형적인 소시민이었다. 출처-MBC

그러나 실제로 그는 165센티미터가 채 되지 않는 키에 마른 몸을 가진, 당시 한국 남성의 평균 신체 조건에도 미치지 못하는 왜소한 사내였다. 그가 날다람쥐마냥 무등산을 탈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집이 몹시 가난해 광주 시내에 기거할 집이 마땅치 않아, 산 깊숙한 곳에 토막을 짓고 살 수 밖에 없었...
강부원
강부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옛날 신문과 오래된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입니다.학교와 광장을 구분하지 않고 학생들과 시민들을 만나오고 있습니다.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고 싶습니다.
178
팔로워 2.1K
팔로잉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