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신정권과 개발독재가 낳은 괴물 - 박흥숙
2023/04/27
만들어진 ‘무등산 타잔’, 박흥숙(朴興塾, 1957~1980)
가난한 독학생이 잔혹한 살인범으로
박흥숙(朴興塾, 1957~1980)은 1977년 4월 20일 광주 무등산 덕산골에서 쇠망치로 사내 넷을 죽였다. 살해당한 이들은 무등산 일대의 무허가 주택을 철거하기 위해 나온 광주시 동구청 건축과 녹지계 소속 철거반원들이었다. 출동한 철거반원 일곱 명 중 일찌감치 빠져나간 한 명을 제외하고 여섯 명을 모조리 때려죽이려 했다.
살인 및 살인미수 혐의로 1977년 9월 일심 재판에서 사형 판결을 받았다. 이후 고등법원에서도 항소는 기각됐고, 대법원 역시 원심을 받아들여 사형이 확정됐다. 광주교도소에서 3년 동안 수감 생활을 하다 1980년 12월 24일 형 집행을 당했다.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난 그 해 겨울 광주에서 일어난 최초의 사형 집행이었다.
살인 및 살인미수 혐의로 1977년 9월 일심 재판에서 사형 판결을 받았다. 이후 고등법원에서도 항소는 기각됐고, 대법원 역시 원심을 받아들여 사형이 확정됐다. 광주교도소에서 3년 동안 수감 생활을 하다 1980년 12월 24일 형 집행을 당했다.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난 그 해 겨울 광주에서 일어난 최초의 사형 집행이었다.
이 사건은 집을 잃은 철거민의 절규와 막다른 길에 내몰린 빈민의 마지막 저항의 관점으로 다뤄지지 않았다. 호사가들은 살해범 박흥숙을 ‘무등산 타잔’이라 불렀다. 당시 언론 보도에 따르면 박흥숙은 “무등산을 날다시피 뛰어 오르고”, “흉내 낼 수 없는 무공을 익혀 이소룡도 당하지 못할” 정도의 대단한 무술가로 묘사됐다.
그러나 실제로 그는 165센티미터가 채 되지 않는 키에 마른 몸을 가진, 당시 한국 남성의 평균 신체 조건에도 미치지 못하는 왜소한 사내였다. 그가 날다람쥐마냥 무등산을 탈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집이 몹시 가난해 광주 시내에 기거할 집이 마땅치 않아, 산 깊숙한 곳에 토막을 짓고 살 수 밖에 없었...
그러나 실제로 그는 165센티미터가 채 되지 않는 키에 마른 몸을 가진, 당시 한국 남성의 평균 신체 조건에도 미치지 못하는 왜소한 사내였다. 그가 날다람쥐마냥 무등산을 탈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집이 몹시 가난해 광주 시내에 기거할 집이 마땅치 않아, 산 깊숙한 곳에 토막을 짓고 살 수 밖에 없었...
@똑순이 그 마음 알 것도 같습니다. 저도 서민이라 그 마음이 더 공감이 갑니다. 살인을 옹호할 수 없지만 너무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이구요. 감사합니다.
@강부원 님~제가 사는 곳에서 가까운 곳에서 일어난 사건 이라서 댓글을 쓰기가 마음 아팠습니다.
이미 사형을 당해서 이 세상에 없는 분 이지만 진짜 죽이고 싶은 생각은 많지 않았다 생각이 들어요ㅠ
저도 부자가 아닌 못 사는 서민 이라서
더 그러한 것 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눈속의사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박흥숙 같은 안타까운 사례가 더는 없기를 바랄 뿐입니다.
짧지 않은 글인데도 정신없이 읽었습니다.
눈부신 경제 성장이 있었던 이면에는 이렇게나 어두운 사실도 있었군요.
예전이나 지금이나 항상 외면당하는 건 서민이고 없는 사람들인것 같아서 서글퍼집니다.
잘 읽었습니다 작가님.
@스킨데스 네. 비극적인 사건이고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섞여 모두가 희생당한 사건이기도 합니다. 이런 희생들이 쌓여 대한민국이 이만큼이나마 성장했다는 의견도 일견 동의합니다. 어떤 역사적 관점이 올바른지, 또 무엇인 진실인지는 바라보는 사람의 태도와 입장 또 미래에 대한 전망에 따라 다를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습니다. 스킨데스님께서 조심스럽게 말씀해주신 부분들 저도 좀 더 깊이 생각해보고 이해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스킨데스 님께서 의견 보태주셔 다른 분들도 여러 각도에서 더 생각해볼 수 있는 여지가 생겼습니다. 읽어주시고 긴 댓글 일부러 남겨주신 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강부원 관련 정보를 찾아보니 떠오르는 게 있습니다. 주변 환경이 어떻든, 그 시대가 어쨌든, 현재도 마찬가지지만 가난과 분노는 누군가를 죽음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발독재라고 하셨지만, 저런 개발이 없었더라면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었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냥 천천히 개발하는 게 가능했던 나라였을까 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90년대까지 연탄을 때기도 했었는데...이렇게 잘 살수 있었던 것에는 많은 사람들의 희생(피)와 노력 그리고 모두 잘살게 하기 위한 겉으로 보이는 "독재"가 자행되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공장에서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강압적인 물량을 제공하지 않고 알아서 일하라고 했을때, 그들이 제대로 일할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빈곤의 문제와 정치의 문제 그리고 환경에 따른 복합적인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그냥 그걸 배제하고 딱 까놓고 봤을때 MZ에 속한 저는 다른건 모르겠고 박흥숙이라는 사람이 불쌍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살인자가 불쌍하다고 느낀 이유는, 그 배경에 있습니다. 그 비유를 들자면, 요즘 집 경매에서 버티고 안나가는 사람들을 보면 21세기에도 여전한 빈곤은 누군가를 죽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가난한 사람은 잃을게 없기때문에 분노가 차오르면 정말 당해낼 수 없겠죠. 요즘은 살인이 자주 일어나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분노는 사회때문이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따지고 보면 누군가의 행동과 말로부터 이어집니다. 결론적으로 사람, 인간때문이죠. 사람들은 저 사람의 배경이 사회로 뭉뚱거렸지만, 그 당시 공무원들이 집을 불태우는 그 장면에 미쳐버린 것, 눈이 돌아갔다고 생각합니다. 살인만 놓고 봤을 때 말이죠. 누구라도 아마 그 상황에서 분노가 일어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드네요. 역사를 바라보면서 늘 느끼는 것은, 시대성의 과오를 누구나 범할 수 있지만 실패 없는 성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나라도 그런 과오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유독 정치 역사에 대해 비판적이 어조를 계속해서 강조 하지만, 결론은 시대가 변해도 빈곤한 사람들은 있을 수 밖에 없고 그것으로 인해 "살인"은 일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 그것이 사회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문제라는 것이죠. 미국에서 마약을 하는 사람들이 사람을 죽이기도 하는데, 그게 사회의 문제는 아니지 않습니까? 마약을 하는 사람들이 사람을 죽이게 되면 사회가 그들을 그렇게 길거리에 나뒹굴게 나두었기에 사회탓이다 라고 한다면, 마약쟁이들이 자처한 그 현실을 누가 돌봐야 하는 책임은 누구에게도 없습니다. 그들은 길거리 신세가 될 수 밖에 없고 사람을 죽이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경찰은 늘 하던대로 살인 사건을 조사하겠지만, 쉽지 않은 일이 되겟죠. 이게 단지 사회문제로 볼 순 없다고 생각합니다 바꾸어 말하면, 인간 자체가 이미 그렇다는 것이죠. 그러니, 자유민주주의 국가내에서 법과 제도가 강한 나라일 수록 이런 불행이 덜 하다고 생각됩니다.
@콩사탕나무 네. 저도 사건 접하면서 조세희 작가의 <난쏘공>이 내내 떠올랐습니다. 가슴 아픈 현실이었죠. 많은 사람들이 구명 운동을 한 것만 보아도 박흥숙의 평소 삶이 어떠했는지 짐작이 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박산호 네. 대중매체에서 그래도 가끔씩 언급되는 사건입니다. 무등산 타잔이란 말이 지금은 별다르게 느껴지지 않지만 당시에는 야만성과 전근대성을 드러내는 표상으로 선택된 저널리즘 용어였던 모양입니다.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클레이 곽 성장과 개발의 눈부신 결과도 우리가 누려온 게 분명한 사실이고, 그로 인해 소외되거나 상처입은 존재들이 많은 것도 엄연한 사실입니다. 살인을 옹호할 수 없지만 역사적 의미에서 상기해볼만한 사건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물론 살인을 저지른 것은 용서받지 못할 일이지만 시대가 만든 비극이라는 생각이 듭니다.ㅜㅜ 너무 마음이 아프고 가슴이 먹먹하네요.
소설 <난쏘공>도 떠올려지고 여전히 변하지 않은 현실에 마음은 더 무겁기만 합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이분이 살인을 한것은 잘못된거지만, 그 배경을 이해하고 보면, 별다른 선택지가 없었던 도시 빈민의 삶이죠..이 분처럼 억울한 사건이 유신치하엔 아주 많았습니다. 어디 유신치하 뿐이겠습니가..절대적 권력이 잇는곳엔 항상 도사리고 있었지요. 인혁당사건이 생각납니다. 우리나라에선 특히 반공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너무나도 많은 폭력이 있어왔고, 이 모든것들이 해방후 친일 세력들을 제대로 정리하지 못해서 오늘까지 이어온 결과라고 봅니다,
@스킨데스 네. 비극적인 사건이고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섞여 모두가 희생당한 사건이기도 합니다. 이런 희생들이 쌓여 대한민국이 이만큼이나마 성장했다는 의견도 일견 동의합니다. 어떤 역사적 관점이 올바른지, 또 무엇인 진실인지는 바라보는 사람의 태도와 입장 또 미래에 대한 전망에 따라 다를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습니다. 스킨데스님께서 조심스럽게 말씀해주신 부분들 저도 좀 더 깊이 생각해보고 이해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스킨데스 님께서 의견 보태주셔 다른 분들도 여러 각도에서 더 생각해볼 수 있는 여지가 생겼습니다. 읽어주시고 긴 댓글 일부러 남겨주신 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강부원 관련 정보를 찾아보니 떠오르는 게 있습니다. 주변 환경이 어떻든, 그 시대가 어쨌든, 현재도 마찬가지지만 가난과 분노는 누군가를 죽음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발독재라고 하셨지만, 저런 개발이 없었더라면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었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냥 천천히 개발하는 게 가능했던 나라였을까 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90년대까지 연탄을 때기도 했었는데...이렇게 잘 살수 있었던 것에는 많은 사람들의 희생(피)와 노력 그리고 모두 잘살게 하기 위한 겉으로 보이는 "독재"가 자행되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공장에서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강압적인 물량을 제공하지 않고 알아서 일하라고 했을때, 그들이 제대로 일할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빈곤의 문제와 정치의 문제 그리고 환경에 따른 복합적인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그냥 그걸 배제하고 딱 까놓고 봤을때 MZ에 속한 저는 다른건 모르겠고 박흥숙이라는 사람이 불쌍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살인자가 불쌍하다고 느낀 이유는, 그 배경에 있습니다. 그 비유를 들자면, 요즘 집 경매에서 버티고 안나가는 사람들을 보면 21세기에도 여전한 빈곤은 누군가를 죽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가난한 사람은 잃을게 없기때문에 분노가 차오르면 정말 당해낼 수 없겠죠. 요즘은 살인이 자주 일어나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분노는 사회때문이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따지고 보면 누군가의 행동과 말로부터 이어집니다. 결론적으로 사람, 인간때문이죠. 사람들은 저 사람의 배경이 사회로 뭉뚱거렸지만, 그 당시 공무원들이 집을 불태우는 그 장면에 미쳐버린 것, 눈이 돌아갔다고 생각합니다. 살인만 놓고 봤을 때 말이죠. 누구라도 아마 그 상황에서 분노가 일어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드네요. 역사를 바라보면서 늘 느끼는 것은, 시대성의 과오를 누구나 범할 수 있지만 실패 없는 성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나라도 그런 과오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유독 정치 역사에 대해 비판적이 어조를 계속해서 강조 하지만, 결론은 시대가 변해도 빈곤한 사람들은 있을 수 밖에 없고 그것으로 인해 "살인"은 일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 그것이 사회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문제라는 것이죠. 미국에서 마약을 하는 사람들이 사람을 죽이기도 하는데, 그게 사회의 문제는 아니지 않습니까? 마약을 하는 사람들이 사람을 죽이게 되면 사회가 그들을 그렇게 길거리에 나뒹굴게 나두었기에 사회탓이다 라고 한다면, 마약쟁이들이 자처한 그 현실을 누가 돌봐야 하는 책임은 누구에게도 없습니다. 그들은 길거리 신세가 될 수 밖에 없고 사람을 죽이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경찰은 늘 하던대로 살인 사건을 조사하겠지만, 쉽지 않은 일이 되겟죠. 이게 단지 사회문제로 볼 순 없다고 생각합니다 바꾸어 말하면, 인간 자체가 이미 그렇다는 것이죠. 그러니, 자유민주주의 국가내에서 법과 제도가 강한 나라일 수록 이런 불행이 덜 하다고 생각됩니다.
@콩사탕나무 네. 저도 사건 접하면서 조세희 작가의 <난쏘공>이 내내 떠올랐습니다. 가슴 아픈 현실이었죠. 많은 사람들이 구명 운동을 한 것만 보아도 박흥숙의 평소 삶이 어떠했는지 짐작이 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물론 살인을 저지른 것은 용서받지 못할 일이지만 시대가 만든 비극이라는 생각이 듭니다.ㅜㅜ 너무 마음이 아프고 가슴이 먹먹하네요.
소설 <난쏘공>도 떠올려지고 여전히 변하지 않은 현실에 마음은 더 무겁기만 합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저도 어렴풋이 기억나는 무등산 타잔이 이렇게 슬픈 이야기였군요 ㅠ.ㅠ 잘 읽었습니다.
자본주의 역기능에 민낮이기도 하군요
무등산 하면 떠오를 듯
박정희 예찬론자들에게 보여주고 싶네요
이러고도 찬양만 하고 싶습니까?
장점 단점 다 언급하면 안될까?
잘 읽고 갑니다
@박산호 네. 대중매체에서 그래도 가끔씩 언급되는 사건입니다. 무등산 타잔이란 말이 지금은 별다르게 느껴지지 않지만 당시에는 야만성과 전근대성을 드러내는 표상으로 선택된 저널리즘 용어였던 모양입니다.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클레이 곽 성장과 개발의 눈부신 결과도 우리가 누려온 게 분명한 사실이고, 그로 인해 소외되거나 상처입은 존재들이 많은 것도 엄연한 사실입니다. 살인을 옹호할 수 없지만 역사적 의미에서 상기해볼만한 사건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한국현대 소설을 다룬 교양 수업에서 교수님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대해 이야기 하며 철거민들의 행동을 '자력구제'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라고 했던게 생각이 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