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길리아의 딸들> : 미러링의 시초
2023/10/21
창조된 세계
원래 그런 세상은 없다. 수렵과 채집이 중심이었던 구석기 시대에는 원활한 식량 조달을 위해 공동체 생활을 했다. 여성의 역할이었던 채집 활동이 남성이 맡은 수렵 활동 보다 중요해서, 재생산력과 경제력 모두 여성이 주도권을 잡았다. 여성은 원하는 남성들과 관계를 맺었고, 아기를 낳아도 아버지가 누구인지 따지지 않았다. 아버지는 몰라도 어머니는 확실했기에, 공동체는 모계 사회로 자리매김했다. 약 70만 년 동안 여성들은 먹이고, 양육하며 인류의 번영을 이끌었다.
1만여 년 전, 신석기 혁명이 일어나면서 판도가 뒤집혔다. 농업과 목축이 발명됨에 따라, 신체 노동에 유리했던 남성들의 영향력이 커졌고, 공동체 생활은 '가족 단위'로 재편되었다. 잉여생산물을 두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패권 싸움이 벌어졌다. 승자는 권력을 얻었고, 사유재산과 위계 질서가 확립되었다. 식량 확보로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해지자 인구가 급증했다. 곧 씨족 사회에서 부족 사회로, 부족들을 통일한 군장국가에서 왕정국가로 이행하며 군사력이 중요해졌다. 남성들이 막강한 전투력을 이용해 세상을 독점할수록, 여성이 설 자리는 사라져갔다.
18세기 중엽, 영국에서 산업 혁명이 일어났다. 이번엔 기술을 기점으로 사회 · 경제 구조가 바뀌었고, 노동 현장은 농장에서 공장으로 옮겨갔다. 사람들은 성별과 나이에 관계없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몰려들었다. 산업이 고도화될수록 부가 가치 생산에 유리한 지적 능력이 육체적 힘을 압도했다. 다시 한 번 세상이 뒤집히면서, 여성들은 자신이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를 요구하며 목소리 내기 시작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역사는 매우 가변적이며, 가부장제 또한 창조된 세계에 불과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이갈리아의 딸들」의 저자 게르드 브란튼베르그는 이러한 맹점을 적확히 파고든다. 그는 가상의 국가 '이갈리아'를 통해 지배와 억압, 차별과 배제는 기득권...
예전에 <소녀, 설치고 말하고 생각하라>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어요. 페미니즘의 입문서?라고 여겨질 정도로 무겁지 않게 읽었던 것 같아요. 나중에 딸아이가 좀더 자라면 한번 읽어보라고 하고 싶더라고요. 당연하게 감수해왔던 성차별이나 모성애를 악용하는 사회에 대한 심각성도 느꼈고요.
독서모임 회원 중 여성학자가 한분 계시는데 <이갈리아의 딸들>을 추천해주신 적이 있어요.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신승아 님의 글을 읽고나니 꼭 읽어보고 싶어요^^
저는 모성애가 출산한 여성들의 본능인줄 알았어요. '여성의 본능적인 모성애..'라는 글도 간혹 읽고 듣기도 했는데, 언젠가 여성학을 공부한 지인이 모성애는 본능이 아닌 학습된 것이라는 말에 설득력이 있었어요. 그룹홈에 근무하면서 자식을 버리거나 이용하는 '모친'의 경우를 자주 봐왔던 것도 그런 생각을 갖게 했어요. 움들의 출산은 가부장제 '모성'신화와는 확실히 다르지만 '아이를 양육하는 맨움'이란 글에서는 머릿속에 전구알이 반짝이네요.
제가 이 책을 읽은 지가 한 20년은 될 겁니다. 그때는 페미니즘이란 단어도 없었으니 당연히 미러링이라는 개념도 없었죠. 이 책 읽었을 때 정말 코페루니쿠스적 전회를 느꼈습니다. 이 책이 저한테는 굉장한 영향을 준 작품...
예전에 <소녀, 설치고 말하고 생각하라>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어요. 페미니즘의 입문서?라고 여겨질 정도로 무겁지 않게 읽었던 것 같아요. 나중에 딸아이가 좀더 자라면 한번 읽어보라고 하고 싶더라고요. 당연하게 감수해왔던 성차별이나 모성애를 악용하는 사회에 대한 심각성도 느꼈고요.
독서모임 회원 중 여성학자가 한분 계시는데 <이갈리아의 딸들>을 추천해주신 적이 있어요.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신승아 님의 글을 읽고나니 꼭 읽어보고 싶어요^^
저는 모성애가 출산한 여성들의 본능인줄 알았어요. '여성의 본능적인 모성애..'라는 글도 간혹 읽고 듣기도 했는데, 언젠가 여성학을 공부한 지인이 모성애는 본능이 아닌 학습된 것이라는 말에 설득력이 있었어요. 그룹홈에 근무하면서 자식을 버리거나 이용하는 '모친'의 경우를 자주 봐왔던 것도 그런 생각을 갖게 했어요. 움들의 출산은 가부장제 '모성'신화와는 확실히 다르지만 '아이를 양육하는 맨움'이란 글에서는 머릿속에 전구알이 반짝이네요.
제가 이 책을 읽은 지가 한 20년은 될 겁니다. 그때는 페미니즘이란 단어도 없었으니 당연히 미러링이라는 개념도 없었죠. 이 책 읽었을 때 정말 코페루니쿠스적 전회를 느꼈습니다. 이 책이 저한테는 굉장한 영향을 준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