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 천만영화가 부끄럽다
2024/03/29
어느 일본영화 한 편을 떠올린다. 터널을 뚫는 공사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진척이 되지 않고 있다. 인부들이 갑자기 병에 걸리고 사고를 당하는 일이 거듭되며 공사장에 귀신이 떠돈다는 이야기가 나돈다. 급기야 어느 날엔 야간 당직자가 산중에서 내려온 곰에게 몸을 찢긴 채 죽은 시체로 발견돼 난리가 난다.
아무리 대비해도 사건이 거듭되자 업체는 지역 사찰의 도력 높은 스님과 영험한 무녀에게 문제를 해결해 달라 의뢰한다. 그로부터 진실이 차츰 모습을 드러내니 백여 년 전 터널을 공사하던 자리에 조선인 촌락이 자리했고 누군가가 몰래 관 하나를 묻어놓았다는 것이다. 스님과 무녀가 그를 파헤치는 과정에서 관을 열고 정령 하나가 튀어나와 사람들을 해치기 시작한다.
붉은 옷차림에 걸을 때마다 방울 소리를 내는 정령은 스님과 무녀 앞에서 도가의 술법이며 유가의 학문에 정통한 듯한 모습까지 보인다. 그리고는 말하기를 자신은 임진년 전쟁에서 활약하고 평생 문무를 깊이 수양한 인물이며, 죽은 뒤 수백 년이 흐른 뒤에 누군가 관을 파서 일본의 이 땅에 주술을 걸어 묻어두었다고 전한다.
자, 그렇다면 한국인 가운데 이를 이름 없는 가상의 귀신쯤으로 여기고 넘어갈 이가 몇이나 될까. 또 이를 영화가 얼마든지 허용하는 표현의 자유로 별다른 문제가 없는 설정이라 여길 이가 과연 있을까.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자면 그렇다는 이야기다.
<파묘> 속 정령, 떠오르는 일본사 속 인물
오컬트로는 전무후무한 천만영화 <파묘>를 보고서 그야말로 깜짝 놀랐다. 단순하고 애국심을 자극하는 설정에 기대고 있기는 하지만 꽤나 잘 쌓아올린 이야기 구조를 가진 이 영화 가운데서 무례하고 무책임한 모습이 엿보였기 때문이다. 영화 속에 중요하게 등장하는 일본의 귀신은 그저 창작된 가상의 인물만이 아니다. 역사를, 또 일본에 대한 지식을 폭넓게 가진 이라면 반드시 하나의 이름을 떠올릴 밖에 없을 특정된 귀신이다.
시마 사콘(또는 시마 기요오키)은 일...
아무리 대비해도 사건이 거듭되자 업체는 지역 사찰의 도력 높은 스님과 영험한 무녀에게 문제를 해결해 달라 의뢰한다. 그로부터 진실이 차츰 모습을 드러내니 백여 년 전 터널을 공사하던 자리에 조선인 촌락이 자리했고 누군가가 몰래 관 하나를 묻어놓았다는 것이다. 스님과 무녀가 그를 파헤치는 과정에서 관을 열고 정령 하나가 튀어나와 사람들을 해치기 시작한다.
붉은 옷차림에 걸을 때마다 방울 소리를 내는 정령은 스님과 무녀 앞에서 도가의 술법이며 유가의 학문에 정통한 듯한 모습까지 보인다. 그리고는 말하기를 자신은 임진년 전쟁에서 활약하고 평생 문무를 깊이 수양한 인물이며, 죽은 뒤 수백 년이 흐른 뒤에 누군가 관을 파서 일본의 이 땅에 주술을 걸어 묻어두었다고 전한다.
자, 그렇다면 한국인 가운데 이를 이름 없는 가상의 귀신쯤으로 여기고 넘어갈 이가 몇이나 될까. 또 이를 영화가 얼마든지 허용하는 표현의 자유로 별다른 문제가 없는 설정이라 여길 이가 과연 있을까.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자면 그렇다는 이야기다.
<파묘> 속 정령, 떠오르는 일본사 속 인물
오컬트로는 전무후무한 천만영화 <파묘>를 보고서 그야말로 깜짝 놀랐다. 단순하고 애국심을 자극하는 설정에 기대고 있기는 하지만 꽤나 잘 쌓아올린 이야기 구조를 가진 이 영화 가운데서 무례하고 무책임한 모습이 엿보였기 때문이다. 영화 속에 중요하게 등장하는 일본의 귀신은 그저 창작된 가상의 인물만이 아니다. 역사를, 또 일본에 대한 지식을 폭넓게 가진 이라면 반드시 하나의 이름을 떠올릴 밖에 없을 특정된 귀신이다.
시마 사콘(또는 시마 기요오키)은 일...
@이상수 일본과 일본의 역사며 문화를 달리 볼 수 있는 여유를 갖추는 게 더 나은 애국의 조건이라 생각합니다.
@아직오지않은서울의봄 애국에도 다양한 방식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같은 견지로 일본에서 이순신을 정령으로 삼는 영화를 만든다면 저 역시 반대할 겁니다. 그러나 천만영화에 대하여 본글과 같은 비평 한 편이 나오지 않은 채 비판하자면 내로남불이란 소리를 듣지 않겠어요?
@루돌프 글에 담긴 의미를 알아주시네요. 기쁩니다.
@재재나무 감사합니다.
역사인식이 부재하고 타국의 문화를 찬탈하고 아직도 침략근성을 드러내는 일본. 이들의 영웅과 문화를 어떻게 존중할 수 있는지. 동의할 수가 없네요
오마이뉴스에서 예전에 활동을 했네요. 영화 <파묘>에 대해 평론을 하신 글을 보고 찾아 왔습니다. 저도 관람 했습니다. 평론가님의 평에 저는 반대 하네요.
남의 나라에 대해 무례하고 무책임한 모습을 보여준건 일본 입니다. 일본 정부는 현재도 한국과의 과거사에 대해 한번도 사과한적도 진심으로 소통한적도 없습니다. 현재도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법적으로 주장하고, 교과서에도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 뿐 아니라 위안부 할머니, 강제 동원에 대해서도 대법원에서 판결을 했는데도 사과와 보상을 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 자위대를 외국으로 언제든 파견하여 또 다시 전쟁을 일으키려고 헌법을 바꾸려고 하고 있습니다.
문화적으로 모욕을 당한건 대한민국 입니다. 왜 우리는 아픈 과거사에 대해 참아야 하나요? 왜 말을 하지 말고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하나요? 역사에 대해서 모른척 하고 있어야 하나요? 일본은 이 시간에도 우리를 2차, 3차로 모욕하고 있습니다.
다음에서 기사 읽고 찾아왔습니다.
생각의 폭을 넓혀주는 글에 감탄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파묘는 아주 흥미롭게 본 영화였는데 설정에 이런 실수가 있었네요. 세키가하라 전투, 다이묘, 은어 등의 상징을 정확히 사용한 것을 보면 우연의 일치보다는 인물을 먼저 알고서 감춘 것이 더 설득됩니다.
역지사지의 가정으로 KBS사극 고려거란전쟁에서 조명된 양규 장군이 몽골의 어느 영화에서 프랑켄슈타인 같은 좀비괴물 취급을 받았다고 상상하니 참 기분 나쁠 일이군요.
파묘가 수출개봉한 나라들에서 좋은 반응을 받고있다고 들었습니다. 영화를 통해 일본과 한국과의 관계와 역사를 알았다는 반응들도 많던데 설정의 실수를 알고보니 제목대로 이 천만영화가 부끄럽다는 생각도 드네요.
오컬트라는 장르영화로 대중의 흥행을 성공시킨
파묘의 천만돌파를 축하하고 장재현 감독의 다음 행보를 응원합니다.
직접 이야기를 쓰는 장재현 감독이니만큼
다음 이야기는 좀더 세심하고 정교하길 바래봅니다.
잘 읽었습니다!
@hw1104 정치영화라고 보기엔 사실 장르영화긴 하지요. 그저 몇몇 설정을 과하고 부적절하게 사용했을 뿐.
@박성준 불편하게 하는 글만의 유익함이 있지요.
영화의 재미가 중반부터 흐릿해지고 다 보고 나서는 뭔가 불편했던 이유가 이것이었나 봅니다. 천만 관객 돌파란 칭찬이 그리 좋아보이지 않는 사람들이 많았으면 하는데.
다음에서 기사 읽고 찾아왔습니다.
생각의 폭을 넓혀주는 글에 감탄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파묘는 아주 흥미롭게 본 영화였는데 설정에 이런 실수가 있었네요. 세키가하라 전투, 다이묘, 은어 등의 상징을 정확히 사용한 것을 보면 우연의 일치보다는 인물을 먼저 알고서 감춘 것이 더 설득됩니다.
역지사지의 가정으로 KBS사극 고려거란전쟁에서 조명된 양규 장군이 몽골의 어느 영화에서 프랑켄슈타인 같은 좀비괴물 취급을 받았다고 상상하니 참 기분 나쁠 일이군요.
파묘가 수출개봉한 나라들에서 좋은 반응을 받고있다고 들었습니다. 영화를 통해 일본과 한국과의 관계와 역사를 알았다는 반응들도 많던데 설정의 실수를 알고보니 제목대로 이 천만영화가 부끄럽다는 생각도 드네요.
오컬트라는 장르영화로 대중의 흥행을 성공시킨
파묘의 천만돌파를 축하하고 장재현 감독의 다음 행보를 응원합니다.
직접 이야기를 쓰는 장재현 감독이니만큼
다음 이야기는 좀더 세심하고 정교하길 바래봅니다.
불편해서 유쾌한 글이네요 잘읽었습니다
@이상수 일본과 일본의 역사며 문화를 달리 볼 수 있는 여유를 갖추는 게 더 나은 애국의 조건이라 생각합니다.
@아직오지않은서울의봄 애국에도 다양한 방식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같은 견지로 일본에서 이순신을 정령으로 삼는 영화를 만든다면 저 역시 반대할 겁니다. 그러나 천만영화에 대하여 본글과 같은 비평 한 편이 나오지 않은 채 비판하자면 내로남불이란 소리를 듣지 않겠어요?
역사인식이 부재하고 타국의 문화를 찬탈하고 아직도 침략근성을 드러내는 일본. 이들의 영웅과 문화를 어떻게 존중할 수 있는지. 동의할 수가 없네요
오마이뉴스에서 예전에 활동을 했네요. 영화 <파묘>에 대해 평론을 하신 글을 보고 찾아 왔습니다. 저도 관람 했습니다. 평론가님의 평에 저는 반대 하네요.
남의 나라에 대해 무례하고 무책임한 모습을 보여준건 일본 입니다. 일본 정부는 현재도 한국과의 과거사에 대해 한번도 사과한적도 진심으로 소통한적도 없습니다. 현재도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법적으로 주장하고, 교과서에도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 뿐 아니라 위안부 할머니, 강제 동원에 대해서도 대법원에서 판결을 했는데도 사과와 보상을 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 자위대를 외국으로 언제든 파견하여 또 다시 전쟁을 일으키려고 헌법을 바꾸려고 하고 있습니다.
문화적으로 모욕을 당한건 대한민국 입니다. 왜 우리는 아픈 과거사에 대해 참아야 하나요? 왜 말을 하지 말고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하나요? 역사에 대해서 모른척 하고 있어야 하나요? 일본은 이 시간에도 우리를 2차, 3차로 모욕하고 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hw1104 정치영화라고 보기엔 사실 장르영화긴 하지요. 그저 몇몇 설정을 과하고 부적절하게 사용했을 뿐.
@박성준 불편하게 하는 글만의 유익함이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