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파일링 리뷰: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1

이기원
이기원 인증된 계정 · 드라마작가, 소설가, 스토리 컨설턴트
2023/07/14
영화가 한 편 나오면, 기다렸다는 듯이 영화 평론가, 칼럼니스트, 기자, 인플루언서, 유튜버 등이 평론과 리뷰들을 쏟아냅니다. 저도 거기에 제 이름을 걸고 숟가락을 하나 얹어 보려 합니다. 

다만, 저는 조금은 색 다르게 창작자의 입장에서 작품을 리뷰해 보려고요. 극본 작가에 빙의해서 집필 과정을 따라가 보며 왜 저렇게 썼을까 알아보는 스타일의 글입니다.    

그래서 타이틀도 '프로파일링 리뷰'라고 지었습니다.    

뱁새가 어찌 봉황의 뜻을 알겠습니까만은, 저의 있는 재주 없는 재주를 총동원해서 작가의 작업을 프로파일링 해 보겠습니다. 

*주의사항*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프로파일링. 그 첫 번째 작품은 바로 <미션 임파서블 7 : 데드 레코닝 part 1>입니다.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파트 1 포스터
미션 임파서블 7을 기획할 때 작가(감독이기도 합니다) 크리스토퍼 맥쿼리의 첫 번째 고민은 빌런을 누구로 해야 할까 하는 것이었을 겁니다. 왜냐하면, 지난 6편 <폴 아웃>에서 5편 <로그네이션>부터 등장했던 솔로몬 레인이 죽었기 때문입니다. 

모든 권선징악물에서 악당처럼 중요한 인물은 없습니다. 심지어 주인공보다 더 중요할 때도 있습니다. 빌런이 주인공의 존재감을 빛나게 해 주니까요. 그래서 빌런이 주인공보다 강하면 강할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개성 있는 빌런을 만드는 일은 정말 어렵습니다. 잔인하기만 한 빌런은 매력이 없거든요. 

작가는 고민하다가 요즘 핫한 소재이자, 트렌드이기도 한 AI(인공지능)을 빌런으로 정합니다. 하지만 바로 고민에 휩싸이게 됩니다. 인공지능은 캐릭터적으로 매력이 없거든요. 매력이라는 게 참 이상해서 뭔가 인간적인 행동이나 모습을 보여야만 생기거든요. 

예를 들어, 터미네이터 1편을 보면 무자비한 살인로봇이 화장실에서 셀프 수리를 하고는 밖으로 나가기 전에 거울을 보며 윙크를 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바로 그 순간, 관객들은 피식 웃으며 터미네이터...
이기원
이기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취미는 작법 연구. <하얀 거탑>, <제중원> 집필. 드라마를 베이스로 ‘세상의 모든 작법’ 을 쉽고 분명하게 알려 드립니다. ‘공모에 당선되는 극본 쓰기’, ‘원포인트레슨’, ‘작가가 읽어주는 작법책’ 등등이 연재됩니다 이메일 keewon77@naver.com
68
팔로워 4K
팔로잉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