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궁
세상의 일원
그럴 수도 있다. 너그럽게 보자.
전쟁의 실감과 판타지의 현실화 - 뉴스영화 내레이션의 효과
프로파간다, '오늘의 조작'을 통해 '내일의 실현'을 꾀하는 일
전쟁과 스펙터클, 그 매혹의 조건들 - 식민지 시기 말 총력전 체제 하의 뉴스영화
전쟁과 스펙터클, 그 매혹의 조건들 - 식민지 시기 말 총력전 체제 하의 뉴스영화
전쟁과 스펙터클, 그 매혹의 조건들 - 식민지 시기 말 총력전 체제 하의 뉴스영화
뉴스영화의 제한된 효과에도 불구하고 전쟁 동원 체제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만 했던 식민 당국은 뉴스영화의 제작과 보급에 더욱 열을 올릴 수밖에 없는 처지였다. ‘조선영화령’에 의해 극영화 상영을 제한하면서까지 확대한 뉴스영화의 보급은 이후 일정한 효과를 드러내기도 했다. 뉴스영화의 독특한 형식적 특징과 극영화와는 다른 차별적 요소들에 매력을 느끼게 된 관객들이 나타났다.
뉴스영화에 대한 사람들의 열망에 인하여 급속도로 발전하야저서 흥행적으로도 충분하게 존속할수잇는 뉴스전문관이 각도시에 상설되어서 사변이전과 비교하랴면 아조새로운 영관의 뉴스를 상영할뿐만 아니라 넓은 의미에서 문화영화를 들떠보지도 안턴 문화객층이 생겻다. 이러한 정세는 연하야는 문화영화의 영역에까지 큰영향을 주워왓다.(“지나사변이후에 문화영화 환영”, <동아일보>, 1940. 4. 30) 뉴스영화가 인기를 얻자 ...
식민지 시기 말 선전/뉴스영화의 범람과 전문 관객의 등장
식민지 시기 말 뉴스영화의 형식과 선전 · 동원의 중층성
기술지배와 테크노크라트 - 식민지 협력의 본원적 메커니즘
자본주의의 비밀과 모더니즘이라는 방법론 - 평양과 최명익
춤추는 여자는 위험하다 - '자유부인' 논란
알 수 없는 표정들 - 식민지 시기말 영화 <반도의 봄>
“감추기에 좋고, 미치기에 좋고, 넘치기에 좋고, 버리기에 좋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