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몽골비사에 na-da(나에게)가 11번 나왔다.
92, 02:32:03 numu sumu na-da
활과 살을 나에게
국어 1인칭대명사 '나'가 언어화석으로 박혀 있다.
(2)
남미 티티카카 호숫가에서도 쓰이는 볼리비아어(아이마라어) 1인칭대명사가 naya다. -ya는 공손의 표지로 쓰인다. na-naka는 1인칭대명사 복수 '우리'다. -naka는 국어 '-들'에 해당한다. *na(국어의 '나')가 보석처럼 언어화석으로 들어 있다.
(3)
몽골어와 볼리비아어는 만 년도 전에 분리되었다. 석기 시대에 인류가 구대륙에서 신대륙으로 확산되었다.
(4)
인도 타밀어 Nīyum nāṉum (너와 나, you and I).
석기시대 1인칭대명사로 *naa를 추정한다.
석기시대 인칭대명사를 언어화석으로 찾아보았다....
몽골비사에 na-da(나에게)가 11번 나왔다.
92, 02:32:03 numu sumu na-da
활과 살을 나에게
국어 1인칭대명사 '나'가 언어화석으로 박혀 있다.
(2)
남미 티티카카 호숫가에서도 쓰이는 볼리비아어(아이마라어) 1인칭대명사가 naya다. -ya는 공손의 표지로 쓰인다. na-naka는 1인칭대명사 복수 '우리'다. -naka는 국어 '-들'에 해당한다. *na(국어의 '나')가 보석처럼 언어화석으로 들어 있다.
(3)
몽골어와 볼리비아어는 만 년도 전에 분리되었다. 석기 시대에 인류가 구대륙에서 신대륙으로 확산되었다.
(4)
인도 타밀어 Nīyum nāṉum (너와 나, you and I).
석기시대 1인칭대명사로 *naa를 추정한다.
석기시대 인칭대명사를 언어화석으로 찾아보았다....
@리사 석기시대에 인류 확산으로 시작되었다는 가설을 세우고 있습니다.
1인칭 "나"라는 발음은 신기하게도 거의 다 비슷하게 내네요 ^^
1인칭 "나"라는 발음은 신기하게도 거의 다 비슷하게 내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