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센트, 마리아, 지중해 - 반 고흐가 남쪽으로 간 까닭은 (완결)

액화철인
액화철인 · 나밖에 쓸 수 없는 글을 쓸 수밖에
2023/04/26

4장 
반 고흐 그림 속의 빈센트 
 
갈대로 맺어진 동지애
아를의 남쪽에는 카마르그라는 습지가 있고 이 주변으로는 지천에 갈대가 자란다. 보통 ‘카마르그 갈대’라 불리는 이 골풀을 베어서 말리고 두드리면 제법 부드러워져 이걸 가로 세로로 꼬고 엮어 모자나 가방, 의자 시트 등 일상용 소품을 만들 수 있다. '미레이오'의 남자 주인공 빈센트는 그런 걸 만드는 사람이었다. 그런 일을 우리말로는 ‘짚을 삼는다’고 하는데 누구나 금방 배울 수 있는 기술이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보잘것없는 일의 상징이었다. 우리나라의 역사나 전통 문학 속에서 별다른 재주가 없는 사람, 특히 몰락한 양반이 짚신을 엮어 파는 이야기는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에서 웃음거리가 되는 시시한 남자 닉 보톰의 직업도 짚을 짜는 사람이다. 영국에선 짚으로 주로 의자 시트를 만들었는데 그 직업을 지칭해 궁둥이가 닿는 부분을 만드는 사람이란 의미로 '보토머'라 불렀다. 닉 보톰은 거기서 유래한 이름이다.
아를 근처 카마르그 습지에는 이런 갈대가 지천으로 자란다. (출처: Alamy)
카마르그 갈대는 시 속의 농민 빈센트와 화가 빈센트가 공유하는 또 다른 공통점이었다. 반 고흐가 아를 시절에 그린 소묘를 보면 붓도 아니고 펜도 아닌 마치 붓과 먹으로 끊어 그린 듯한 작품들이 있다. 이 작품은 바로 이 갈대로 만든 펜으로 그려졌다. 길가에 아무렇게나 자라는 갈대를 뽑아 주머니칼로 사선으로 날카롭게 자르면 훌륭한 펜이 된다. 속이 비어 있으니 잉크를 머금을 수 있고 다소 굵은 느낌이 있어 당시 유행하던 평붓의 느낌으로 스케치할 수 있었다. 두 빈센트는 모두 초라했고 둘 다 갈대를 이용해 뭔가 만드는 사람이었다. 그리고 둘 다 사랑에 실패했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남다른 광고를 하기 위해 미술사를 전공했다. 남다른 미술사 이야기를 하기 위해 일반 역사를 배웠다. 젊은 척하는 광고 카피를 쓰고 늙은 척하는 평론을 쓴다.
7
팔로워 23
팔로잉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