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위눌림, 귀신/유령, 그리고 액막이의 효과

steinsein
steinsein · 종교학 공부인과 연구인을 방황하는 자
2023/08/14
요즘은 '가위눌림'이라는 말에서 일상의 도구 '가위'를 떠올리는 것 같습니다만...
출처: 한겨레 신문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가위눌림에서 귀신/유령/악령을 떠올립니다.
헨리 푸젤리의 '악몽' (출처: http://www.astronomer.rocks)

많은 사람들이 '가위눌림'에서 '가위'를 귀신으로 봅니다. 그러나 제가 '염매에 관한 글'에서 이미 지적한 바 있듯이 가위눌림에 대한 최고(最古)의 용례를 볼 수 있는 《월인석보》의 "약사여래 명호의 공덕 4"에 쓰인 표현을 보면 '가위=귀신'으로 볼 수 없습니다.

(원어) 厭魅 오누르 鬼神이니 鳩槃茶니라 [아래아는 'ㅏ'로 표기/굵게+밑줄]
(현대어) 염매는 가위눌리게 하는 귀신이니 구반다이다. 

비슷한 용례가 《능엄경언해8》에서 '아귀'를 설명하는 부분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원어) 魘은 오누르 귓거시라 [아래아는 'ㅏ'로 표기/ 굵게+밑줄 ]
‘염’은 가위눌리게 하는 귀신이다.

'가오누르다'와 '귀신'이 따로 표기된 것으로 볼 때, '가위=귀신'은 성립되기 어려워 보입니다. 아마 귀신이 '위에서 누르는' 모습을 표현한 말일 겁니다. 여기에 함께 등장하는 한자 '魘(염)'도 '염매 글'에서 말씀드렸습니다만, 누를 압(壓)에서 아래 토변(土)이 귀변(鬼)으로 바뀐 모습입니다. 이 염자를 '가위누를 염'이라 합니다. 귀신이 누르는 형상으로 귀신에 씌는 것을 표현한 것입니다.

영어에서 '가위눌림'에 대응하는 말은 딱히 없습니다만, 보통 유령과 악령이 출몰하는 꿈을 일컫는 'nightmare'(악몽)을 떠올리게 됩니다. 위의 두 번째 이미지(헨리 푸젤리의 '악몽')가 악몽에서 사람의 몸 위에 올라 탄 악령이 떠올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간혹 '가위눌림'을 영어로 'Old Hag' 혹은 'Old Hag Syndrome'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종교(문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모색하는 공부인입니다. 종교보다 종교적 인간, 종교문화, 미신 등 인간의 종교적 특성을 볼 수 있는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비종교 현상에서 종교적 특성을 읽어내기를 좋아합니다.
115
팔로워 598
팔로잉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