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읽고 쓰는가
2022/12/28
왜 읽고 쓰는가. 너무 진부해서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글을 쓴다. 진부한 걸 알면서 왜 이 글을 쓰냐면, 읽고 쓰는 게 내 삶이기 때문이다. 한 해가 끝나가는 시점에 나는 내게 묻는다. 왜 이런 삶을 살고 있는가. 그걸 한번 말해보고 싶다. 나는 왜 읽고 쓰는가. 학위를 받을 것도 아니고, 읽고 쓰는 행위를 통해 대단한 부를 축적할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누가 시키지 않아도 읽고 싶은 책을 읽고, 쓰고 싶은 글을 쓴다. 나는 대체 왜 이렇게 사는가.
꾸준히 읽고 쓴다
꾸준히 읽고 쓴다
꾸준히 읽기 시작한 건, 4년쯤 되었다. 꾸준히 읽는다는 건 하루에 한 장이라도 책을 읽은 날을 말한다. 4년 전에는 꼭 읽어야 하는 책이 있거나, 읽고 싶은 책이 있을 때만 읽었다. 책을 아예 안 읽는 사람은 아니어서 일 년에 몇 권 정도는 읽었다. 4년쯤 전부터는 갑자기 무언가에 홀린 듯 끊이지 않게 책을 읽기 시작했다. 문학을 읽다가 인문사회과학 책을 읽다가... 분야는 이리저리 통통 튀어 다닌다. 특정한 무엇을 공부하겠다는 마음보다는 그때그때 관심사를 좇고, 읽히는 책을 읽다 보니 이렇게 되었다.
쓰는 것 역시 꾸준히 쓰기 시작한 건, 15개월쯤 되었다. 하루도 빠짐없이 500자 이상의 글을 쓴다. 홀로 정한 규칙이다. 공개할 수 있는 글을 쓰면 플랫폼에 올리고, 그렇지 않은 글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에 저장한다. 쓰는 것도 읽는 것처럼 꾸준하진 않아도 계속 쓰긴 해왔다. 예전에는 갑자기 무언가가 너무 쓰고 싶어질 때만 글을 썼다. 하지만 15개월 전부터는 매일 쓰고 있다. 에세이도 쓰고 가끔 소설을 쓰고, 현안에 대한 글을 쓰기도 한다.
앞에서도 언급했듯 나는 학위를 받을 사람도 아니고, 읽고 쓰는 행위로 사회에서 인정을 받아 돈을 벌 것도 아니다. 그런데 나는 왜 읽고 쓰는가.
재밌어서 읽는다
재밌어서 읽는다
나는 재밌어서 읽는다. 아...
@서툰댄서 위어드 재밌어요. 두꺼워서 이제야 절반 좀 넘게 읽었지만요;; ㅋㅋ 캐릭터가 다르지만 비슷하단 말에 공감합니다 ㅋㅋ 참 저는 춤에 재능과 흥미가 영 없습니다. 이건 넘 다른 점이네요 ㅋㅋ
위어드 읽고 싶네요. 서구와 비서구, 특히 우리가 잘 아는 편인 동아시아는 얼마나 다른가, 어떻게 다른가, 왜 다른가 하는 것이 항상 궁금했었어요.
독서와 글쓰기, 좀더 넓게는 배우는 것과 표현하는 것이 제 삶의 현재 목표이기도 해요. 현안님과 저는 상당히 캐릭터가 다르다는 느낌적인 느낌이 있지만 서로 공유하는 부분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춤도 잘 추고 싶네요. ^^
우와 <종의 기원>👏👏
죽기 전에 [밑줄] 가 보겠습니다!! ㅎㅎㅎㅎ
@콩사탕나무 오 내년에 읽기 도전하시면 [밑줄]가시죠! 저도 가능하면 따라갈게요!ㅋㅋ 전 내년 도전 책이 <종의 기원>입니다. ㅋㅋ 우리 죽기 전에 읽어보아요!ㅋㅋ
<<읽는 만큼 유연해지고, 쓰는 만큼 강해지는 걸 아직 찾지 못했다. >> 멋져요^_^
<총,균,쇠>는 도서관이고 서점에서 몇 번을 만지작 거리다 놓기를 수십번 하다 내가 읽을 수 있을까? 내려 놓았어요. ㅎ
죽기 전에 읽어야 할 책이라고 하니 죽기 전엔 읽겠지요? ㅎㅎ내년의 목표로 둬 볼까 싶기도 합니다. ^^
@박 스테파노 에고 과찬이세요. 스테파노님께 이런 말을 들으니 몸둘 바를 모르겠네요. 제게 스테파노님은 척척박사 같으신 분이거든요. 뭐든 물으면 바로 답이 튀어나오는 사람. 저는 여전히 겉핥기를 하고 있어요. 독서량도 많지 않지만 늘 읽으려 노력하는 사람일 뿐이고요. 어휘의 폭이 좁은 것 같아 늘 고민이에요;; 그런데 이런 과찬을.. 더 열심히 읽고 쓰라는 채찍과 당근으로 알아듣겠습니다. 넘 감사해요!
보통 책을 본다, 읽는다로 이야기하잖아요. 책은 읽어야 되는 것 같아요. 최재천 선생님의 "공부"에 대한 강의도 인상적이었는데, 독서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어요. 읽어 내는 힘도 대단한데, 쓰는 것도 대단한 일이지요. 읽어 내는 힘이 좋지며면 쓰는 힘도 느는 듯 하더군요. 요즘 많이 못 읽어서 글도잔잘 안되는 듯 한 요즘입니다.
어떤이들의 글은 거죽만 보이기도 합니다. 다 체득하지 못하는데 전언하는 느낌이 있지요. 읽어 내기도 힘든 경우인데, 현안 님의 글은 사진 하나 없어도 잘 읽힙니다. 비문이 거의 없고 어휘의 폭이 넓은 것에서 독서량을 가하해 보기도 했습니다.
늘 배우고 갑니다.
헉 제가 아는 분 중에 가장 많이 읽고 쓰시는!!
다들 그렇게 착각... 안 읽고 안 쓰......
@홈은 으앗!!ㅋㅋ 홈은님이 써주시는 후기글에도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저보다 더 빡세게 읽고 쓰시는 홈은님 존경합니다!
전 박현안님 글이 참 좋아요.
정제되어 있지만 하고자 하시는 의도가 제대로 표현되어 있는.
그런 글을 보면 사람향기가 잘 안날수도 있는데,
사람향기 가득한.
글의 소스도 아주 작은 일상이지만
파생되는 영향이 큰.
좋은 글 항상 잘 읽고 있어요.♡
@지미 소떼 ㅋㅋ 우리가 무리 중 하나였군요. 읽고 쓰는 삶에서 얼룩소라는 공간은 분명 축복입니다. 늘 읽고 써주셔서 감사해요!
@빅맥쎄트 육아휴직을 앞두고 생각이 많으실 것 같아요. 그 복잡다단한 생각을 읽고 쓰는 행위가 정리해주기를, 후회 없는 시간으로 만들어주기를 바랍니다. 응원할게요!!
@스테파니아 저 감동 받았어요 ㅠㅠ 넘 감사해요. 제가 얼룩소 안 할 때도 브런치에서 늘 제 글 읽어주신 거 잘 알아요. 모자란 사람의 모자란 글인데도 늘 공감주셔서 감사해요. 스테파니아님 글도 참 좋아요. 힘을 툭 빼고 쓰시면서도 중간중간 심지가 느껴져요. 아마 사람도 글을 닮았을 거라 상상해봅니다. 요즘 계속 쓰셔서 넘 좋아요!
늘 어려운 분야인데
여기서 쓰는 이유는
소떼님들 글 보는 재미가 좋소이다
현안님도 여기서 알게 되어
거기에 좀 알아간다고 인사도 하니
넘 좋소이다...
알라봉이요^^
덕분에(?) 쓰는 습관을 갖게 된 것 같습니다. 글의 퀄리티나 내용은 차치하더라도 꾸준히 쓴다는 것은 분명 의미가 있고 내 삶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많은 작가들이 읽고 쓰는 것을 둘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실행으로 옮기고 있는데, 바쁘다는 핑계로 열심히 읽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영상들을 보며 한 번 빡세게 읽는 삶도 도전해 보려구요.
박현안 작가님의 글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이 써주시길.
@박 스테파노 에고 과찬이세요. 스테파노님께 이런 말을 들으니 몸둘 바를 모르겠네요. 제게 스테파노님은 척척박사 같으신 분이거든요. 뭐든 물으면 바로 답이 튀어나오는 사람. 저는 여전히 겉핥기를 하고 있어요. 독서량도 많지 않지만 늘 읽으려 노력하는 사람일 뿐이고요. 어휘의 폭이 좁은 것 같아 늘 고민이에요;; 그런데 이런 과찬을.. 더 열심히 읽고 쓰라는 채찍과 당근으로 알아듣겠습니다. 넘 감사해요!
보통 책을 본다, 읽는다로 이야기하잖아요. 책은 읽어야 되는 것 같아요. 최재천 선생님의 "공부"에 대한 강의도 인상적이었는데, 독서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어요. 읽어 내는 힘도 대단한데, 쓰는 것도 대단한 일이지요. 읽어 내는 힘이 좋지며면 쓰는 힘도 느는 듯 하더군요. 요즘 많이 못 읽어서 글도잔잘 안되는 듯 한 요즘입니다.
어떤이들의 글은 거죽만 보이기도 합니다. 다 체득하지 못하는데 전언하는 느낌이 있지요. 읽어 내기도 힘든 경우인데, 현안 님의 글은 사진 하나 없어도 잘 읽힙니다. 비문이 거의 없고 어휘의 폭이 넓은 것에서 독서량을 가하해 보기도 했습니다.
늘 배우고 갑니다.
@서툰댄서 위어드 재밌어요. 두꺼워서 이제야 절반 좀 넘게 읽었지만요;; ㅋㅋ 캐릭터가 다르지만 비슷하단 말에 공감합니다 ㅋㅋ 참 저는 춤에 재능과 흥미가 영 없습니다. 이건 넘 다른 점이네요 ㅋㅋ
위어드 읽고 싶네요. 서구와 비서구, 특히 우리가 잘 아는 편인 동아시아는 얼마나 다른가, 어떻게 다른가, 왜 다른가 하는 것이 항상 궁금했었어요.
독서와 글쓰기, 좀더 넓게는 배우는 것과 표현하는 것이 제 삶의 현재 목표이기도 해요. 현안님과 저는 상당히 캐릭터가 다르다는 느낌적인 느낌이 있지만 서로 공유하는 부분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춤도 잘 추고 싶네요. ^^
우와 <종의 기원>👏👏
죽기 전에 [밑줄] 가 보겠습니다!! ㅎㅎㅎㅎ
@콩사탕나무 오 내년에 읽기 도전하시면 [밑줄]가시죠! 저도 가능하면 따라갈게요!ㅋㅋ 전 내년 도전 책이 <종의 기원>입니다. ㅋㅋ 우리 죽기 전에 읽어보아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