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는 바뀌지 않는다고 하던데요, 들으셨나요? 고등학교 다닐 때 다들 MBTI를 한 번씩은 해보셨을 텐데, 1시간이 넘는 정밀한 검사 결과는 자신의 변하지 않는 성향을 진단해 준다고 하더라고요. 알벗님은 0000 맞으시죠?’
사실 MBTI에 한창 관심을 가지고 주위 사람들에게 테스트 한번 해보라며 링크를 보내던 시절이 있었다. 10년이 넘은 것 같다. 에니어그램과 MBTI를 조합하면 상당히 정확하게 누군가의 성향을 알 수 있다든지, MBTI의 두 번째 성향(N/S)은 같고 나머지는 모두 다른 사람과 가장 잘 맞는다던지, 꽤 파고들었던 것 같다.
모임에 나가면, 첫 만남의 자리에서 어김없이 MBTI에 대한 대화가 이어진다. 외향적이실 것 같은데 사실은 I라든지, 서로 MBTI를 맞추는 놀이, 성향이 같은 사람들끼리 비교해 보는 등, 대개 레파토리가 정해져 있다. 생전 처음 만나는 사람들이 매우 높은 확률로 즐거운 대화를 할 수 있는 주제가 된 것 같다. 말하자면 ‘날씨’와 위상을 견줄 정도가 된 것이 아닐까. ‘오늘은 날씨가 좀 풀렸네요’는 좀 상투적이고 올드하게 느껴진다면, ‘MBTI 뭐에요?’라는 질문은 훨씬 더 젊고 힙하게 느껴진다. 문제는, 날씨는 매일 변화하기라도 하지만, 내 MBTI는 그렇게 자주 변하는 것이 아니어서, 참석하는 모임마다 1시간씩 같은 대화를 견뎌내야 한다는 것이다. 조금 다른 대화를 원한다면 모임마다 MBTI를 바꿔서 불러야 할지도 모른다.
MBTI가 과학적이거나 비과학적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은 아니다. 인간의 성격, 성향, 기질 등을 다양하게 분류해 데이터를 쌓은 과학적, 비과학적 체계는 정말 다양하고, 나름의 기능과 의미가 있는 것 같다. 고백한 것처럼 필자도 에니어그램과 MBTI를 좋아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인간을 성향대로 구분해 체계적으로 탐구할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꼈던 것 같다. 에니어그램, MBTI, ...
너무 공감합니다: "유독 한국의 청년 사이에서 MBTI가 패권적인 인기를 차지하게 된 것은, 삶의 경험에 앞서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해야 한다는 어떤 실존적 불안감 때문은 아닐까. 객관적으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다른 사람들은 어떤 성향을 가졌는지, 삶의 각 분야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패턴을 알려주는 지식체계가 필요한 것은, ‘내가 누구인지 모르기 때문’은 아닐까."
미국에서는 MBTI 회사에서 커리어 디벨롭먼 시간에 해본것 말고는 일상에서 거의 이야기하지않는것 같아요.
너무 공감합니다: "유독 한국의 청년 사이에서 MBTI가 패권적인 인기를 차지하게 된 것은, 삶의 경험에 앞서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해야 한다는 어떤 실존적 불안감 때문은 아닐까. 객관적으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다른 사람들은 어떤 성향을 가졌는지, 삶의 각 분야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패턴을 알려주는 지식체계가 필요한 것은, ‘내가 누구인지 모르기 때문’은 아닐까."
미국에서는 MBTI 회사에서 커리어 디벨롭먼 시간에 해본것 말고는 일상에서 거의 이야기하지않는것 같아요.
@가영 정말 그런 것 같죠? 저도 미국 있을 때 사람들과 MBTI 얘기를 해본 적이 거의 없었던 것 같아서요. '누구 닮았다'거나 '키크다' '외모칭찬' 'MBTI' 등 남의 것, 외부의 것들로 내적 정체성을 찾으려는 대화 주제에 대해 다들 의아해했던 것 같았습니다.
너무 공감합니다: "유독 한국의 청년 사이에서 MBTI가 패권적인 인기를 차지하게 된 것은, 삶의 경험에 앞서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해야 한다는 어떤 실존적 불안감 때문은 아닐까. 객관적으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다른 사람들은 어떤 성향을 가졌는지, 삶의 각 분야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패턴을 알려주는 지식체계가 필요한 것은, ‘내가 누구인지 모르기 때문’은 아닐까."
미국에서는 MBTI 회사에서 커리어 디벨롭먼 시간에 해본것 말고는 일상에서 거의 이야기하지않는것 같아요.
@davidrhee9 친절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피드백 부탁드려용 :))
일상 속에서 유행하는 것들은 세대가 느끼고 경험하는 것들이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해요. 읽어보고 곱씹어볼수록 더 생각하게끔 만드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너무 공감합니다: "유독 한국의 청년 사이에서 MBTI가 패권적인 인기를 차지하게 된 것은, 삶의 경험에 앞서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해야 한다는 어떤 실존적 불안감 때문은 아닐까. 객관적으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다른 사람들은 어떤 성향을 가졌는지, 삶의 각 분야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패턴을 알려주는 지식체계가 필요한 것은, ‘내가 누구인지 모르기 때문’은 아닐까."
미국에서는 MBTI 회사에서 커리어 디벨롭먼 시간에 해본것 말고는 일상에서 거의 이야기하지않는것 같아요.
일상 속에서 유행하는 것들은 세대가 느끼고 경험하는 것들이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해요. 읽어보고 곱씹어볼수록 더 생각하게끔 만드는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