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1인가구와 노년1인가구는 다르다.

최깨비
최깨비 · 빠르게 생각하고 느리게 행동하는 자.
2022/03/21
며칠 전 서울시로부터 '1인가구지원센터' 24개로 확대…봄 프로그램 119개에 대한 소식지를 받았습니다. 기사를 보는 찰나 삐딱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서울시1인가구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은 여기서 확인 가능합니다. 
  • 1인 가구는 죄다 청년인가.. 기사 속 홍보 그림에도 온통 청년이고 프로그램도 왜 청년 위주로 짜인 듯하지?
  • 어르신들을 프로그램은 왜 이렇게 적지?
  • 온라인 홍보라 그런걸까? 주민센터 등 오프라인 홍보물이 부착된 곳엔 많을까?
  • 전연령이라고 되어있지만 실제 참여자들의 연령비율이 어떠할까?
  • 줌 수업이 많던데.. 어르신들이 줌 수업을 들을 수 있을까?
  • 이런 프로그램과 정책이 실제로 필요한가?
  • 재밌어 보이는 프로그램이 많은데 1인가구로 있는 동안 왜 안해봤지, 나도 1인가구로 살며 프로그램에 참여해보고 싶다. 어? 이거 역차별 아닌가!? 특별히 1인가구가 아닌 사람이 들어도 좋을 강의가, 프로그램이 많아 보이는데!?

제 머리속엔 '전통적 1인가구'와 '신흥 1인가구'가 나뉘어 있는 듯 했습니다. 아마도 혼자 사시는 어르신들을 전통적 1인가구로, 20~30대 독립한 청년들을 신흥 1인가구로 분류한 듯 합니다. 여기에 중추 역할을 하는 미혼과 이혼 등의 이유로 1인가구가 된 30~50대까지 1인 가구가 된 이유도 연령도 제 각각인데 이상하게 청년위주의 프로그램만 눈에 띄는게 이상해 보였습니다.
 
이런 생각이 머리 속을 스쳐지나갔지만 흘려보냈습니다. 그리고 일상을 보내던 중 우연히 통계청 퀴즈 발견했습니다. 1인가구에 대한 통계를 참고해 질문에 답을 하는 것이었는데요, 우수 의견5건을 선정해 2만원 상품권을, 10명에겐 5천원 상품권을 준다는 말에 홀려 통계를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다가 오히려 엉뚱...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사람 냄새나는 글이 좋습니다. 당신의 따뜻함과 스마트함과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444
팔로워 511
팔로잉 201